소개글
"미용산업 현장의 공중 위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용 관련 분야에서의 소독 및 전염병학 적용
1.1. 개인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
1.2. 시설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
1.3. 국가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
2. 미용 현장의 직업병
2.1. 각각의 미용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업병들과 직업병의 발생원인
2.1.1. 미용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업병과 직업병의 발생원인
2.1.2. 피부관리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업병과 직업병의 발생원인
2.2. 공중보건학적 질병의 예방 차원에서의 예방단계
2.2.1. 1차적 예방단계 - 질병발생 억제 단계
2.2.2. 2차적 예방단계 - 조기발견과 조기치료 단계
2.2.3. 3차적 예방단계 - 재활 및 사회 복귀 단계
3. 피부 미용사의 업무 범위와 문제점
3.1. 피부 미용사 업무 범위
3.2. 피부 미용사 업무의 문제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용 관련 분야에서의 소독 및 전염병학 적용
1.1. 개인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
개인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은 전염병 예방에 있어 핵심적이다. 전염병은 병원체가 인간 혹은 동물의 외부에서 침입해 내부에서 증식하며 일어나는 감염병 중에서도 전염성이 높은 몇몇 질병이다. 전염병은 생물끼리의 접촉뿐만 아니라 물이나 공기 등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병원체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예방과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개인 차원의 위생 관리는 전염병 예방에 있어 필수적이다.
먼저, 물리적으로 병원체의 이동과 접촉, 침입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불특정 다수의 고객과 연속적으로 접촉해야 하는 미용 관련 종사자의 경우 유니폼과 장갑을 착용해 고객과의 신체적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고객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소독을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전염력이 높은 경우 호흡기로도 병원체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비말 차단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화학적 소독 과정도 중요하다. 사용하는 미용 기기와 기구, 부자재들, 타월 등을 소독할 수 있는 설비와 소독 이후 개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물리적, 화학적으로 병원체의 이동과 증식을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종사자 개인의 위생 인식 향상이다. 위생에 대한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안을 알고 기본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개인의 실천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시설, 제도적으로 준비되어있는 위생 방안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개인 차원에서 위생 인식을 높이고 관리를 위한 방안들을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2. 시설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
시설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은 전염병의 감염 위험이 종사자-고객 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종사자-종사자, 고객-고객 간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우선 밀폐된 공간을 불특정 다수가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호흡기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환기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미용 기구의 경우 머리나 피부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공동 사용은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일회용 기구를 이용하거나 혹은 사용 이후 바로 소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미용 기기와 기구, 부자재들, 타월 등을 소독할 수 있는 설비와 소독 이후 개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실내의 청결 유지 역시 중요하다. 병원체의 증식을 막을 수 있도록 실내 가구와 설비를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또 개인 간의 접촉을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고객 응대 공간을 최대한 세분화시켜 공간을 분리해 두는 것이 좋다. 이는 병원체의 이동과 확산을 물리적으로 막을 뿐만 아니라 소독 과정을 더욱 간편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1.3. 국가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
국가 차원의 위생 관리 방안은 개인과 시설의 실제적인 실천 이전에 선제적으로 필요한 과정이다. 국가는 법적인 제재와 ...
참고 자료
COVID-19에 대한 인식이 미용실 이용고객의 위생인식과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진아, 건양대학교, 2023
미용실 위생 실태가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진수, 동덕여자대학교, 2009
이순덕, 미용실 종사자의 작업환경과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장애 양상, 동덕여자대학교 미용보건대학원 석사 논문, 2009.
이정윤, 피부미용사의 직무환경·건강상태·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 논문, 2016.
권은숙, 2013, 피부미용사의 개인위생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p.7~8
배윤희, 2011, 피부미용의 국가자격제도 및 업무실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p.5~8
류연옥, 2010,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湖南大學校 産業經營大學阮, p.4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