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한국어] 시리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과 관련지어 분석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과정
2.1. 세종학당 개요
2.2. 세종학당 교육과정 체계
3. '세종한국어' 시리즈 교재 분석
3.1. '세종한국어3' 단원 배열 및 구성
3.2. '세종한국어2' 교수요목 구성
4. '세종한국어8(4B)' 교재 분석
4.1. 교육시간 및 단원 구성
4.2. 세종학당 교육과정 연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세종학당은 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화 보급사업을 총괄하기 위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공공기관이다. 세종학당은 2007년에 처음 시작하였으며, 2021년 6월 기준 전 세계 82개국, 234개소까지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전 세계로 널리 퍼져있는 세종학당은 우리나라의 언어와 문화의 대외적 확장성을 높이고 있다. 2018년의 세종학당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세종학당의 수강생 수는 약 61,000명이 넘는다. 세종학당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기본 교재는 [세종한국어]로 채택되어 있다. [세종한국어]는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국가와 한국의 문화가 교류하고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최종 목표를 언어문화 교류로 삼아 개발된 교재이다. 이러한 세종학당의 노력으로 인해 최근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학습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2.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과정
2.1. 세종학당 개요
세종학당은 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화 보급사업을 총괄하기 위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공공기관이다"" 세종학당은 2007년에 처음 시작하였고, 처음 시작한 당시엔 3개국, 13개소로 시작하였다. 2021년 6월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전 세계 82개국, 234개소까지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세종학당은 우리나라의 언어인 한글을 외국인들에게 가르치고,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세종학당은 단순히 한국어 교육에 그치지 않고, 한국문화의 전파와 교류를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기관이다""
2.2. 세종학당 교육과정 체계
세종학당의 교육과정 체계는 다음과 같다.
세종학당의 교육과정은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된다. 기본과정에는 1급부터 6급까지의 과정이 있으며,...
참고 자료
서종학 외. 한국어 교재론, 한국문화사. 2017.
이미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진흥원격연수원, 2017.
김정숙, "세종한국어 1~8"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이중언어학회, 2014.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3, 하우출판사, 2013.
세종학당 재단소개 : 국어기본법 제 19조의 2에 근거, 세계 곳곳 세종학당 내용 참고
세종학당재단 새소식 : 제 48호(2017년 8월), 제 71호(2019년 5월), 제 88호(2020년 10월)
세종한국어 1,2 활용안내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운영지침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키워드로 보는 정책,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