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질병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과 간호사의 역할
1.1. 보건의료팀의 정의와 협력의 중요성
1.2. 보건의료 팀 간 협력관계의 유형
1.3. 보건의료 팀 간 협력을 위한 요건
1.4. 보건의료 팀 내에서 간호사의 역할
1.5. 간호사의 업무조정 역할의 중요성
2. 엠폭스(원숭이두창) 국내 발생 현황과 재난관리
2.1. 엠폭스의 개념과 국내 발생 과정
2.2. 엠폭스 감염 관련 문제점 분석
2.3. 엠폭스 예방 및 대응 정책
2.4. 엠폭스 감시체계와 의료대응 체계
3. 질 향상 활동(QI) 방법론
3.1. QI의 개념과 구성요소
3.2. QI 활동 방법론
3.3. QI 분석도구 활용
3.4. 사례 적용: 욕창 관리 QI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과 간호사의 역할
1.1. 보건의료팀의 정의와 협력의 중요성
보건의료팀은 의사, 치과의사, 조산사, 한의사 등의 의료인과 약사, 간호조무사, 방사선사, 임상검사기사, 산업위생사 등의 보건의료 전문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을 통해 환자에게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팀을 의미한다.
협력(collaboration)이란 두 명 이상의 사람이나 조직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간호수행에서 협력의 활용 사례로는 청소년 보호시설의 청소년을 위해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가족과 친구 네트워크와 협력하는 것, 지방정부 조직의 공원 및 운동장 관리부서와 협력하여 자전거 도로 조성 사업을 계획하는 것 등이 있다.
보건의료팀은 전문 분야가 다양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다학제팀이다. 이들은 전인적인 환자 돌봄을 위해 협력한다. 그러나 산업계의 팀과 달리 보건의료팀 구성원들은 팀 내에서의 이중적인 지위와 책임, 의무를 가지고 있다. 이에 팀워크를 위해서는 상호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키고 임파워먼트된 리더십이 필요하다.
보건의료팀 간의 협력은 의료의 질과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내외 연구에서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팀제 도입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팀워크는 과업 달성을 위한 상호작용이므로 환자안전 관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건의료팀 간의 협력은 전인적인 환자 돌봄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보건의료 팀 간 협력관계의 유형
보건의료 팀 간 협력관계의 유형에는 의사소통에 따른 유형, 협력자에 따른 유형, 질병에 따른 유형 등이 있다.
첫째, 의사소통에 따른 유형으로는 간접적이고 교묘한 상호 소통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간접적이고 교묘한 상호 소통의 경우 간호사는 단지 환자에 대한 정보를 의사에게 전달하는 종속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간호사는 정보의 상호적 이해를 토대로 협력적 업무수행을 한다"".
둘째, 협력자에 따른 유형으로는 간호사와 의사, 간호조무사, 행정직원, 약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물리치료사 등 다양한 보건의료 분야의 전문가들 간의 협력관계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팀워크를 발휘하여 환자 진료와 간호에 기여한다"".
셋째, 질병에 따른 유형으로는 암환자의 다학제 통합진료가 대표적이다. 여기에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영양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환자의 전인적 돌봄을 제공한다"".
이처럼 보건의료 팀 간 협력관계는 의사소통, 협력자, 질병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1.3. 보건의료 팀 간 협력을 위한 요건
보건의료 팀 간 협력을 위한 요건은 구조적 측면, 제도적 측면, 운영 전략 프로세스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구조적 측면에서, 첫째 팀 내 협력의 유지관리가 중요하다. 팀은 다원적이고 이질적인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성원 상호간의 협력을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진료팀의 경우 진료에 관한 의사결정과 진료과정을 스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협력은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구성원들 간의 갈등과 이견을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지식/목표와 성과의 공유가 필요하다. 다양한 전공과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모여있는 팀의 특성상, 정보와 지식, 목표와 성과를 공유하지 않으면 의사결정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팀 구성원들 간의 정보와 지식, 목표와 성과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병원은 환자 중심의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 보건의료직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즉, 의사와 간호사, 행정직 등 다양한 직종 간의 수직적, 수평적 의사소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제도적 측면에서, 첫째 평가제도나 인사관리의 공정성 및 객관성 확보가 필요하다. 팀제 운영에 있어 구성원들의 공정한 평가와 합리적인 인사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팀 내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진료, 서비스 체계가 필요하다. 환자 중심의 진료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직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셋째, 수평조직, 네트워크 조직의 도입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수직적 조직구조에서 탈피하여 수평조직이나 네트워크 조직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보건의료직 간의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운영 전략 프로세스 측면에서, 첫째 팀 내 협력의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팀 내 의사결정에 있어 협력을 유지하고, 진료과정에서의 협력을 관리해야 한다. 또한 팀워크 향상을 위한 교육과 훈련, 팀워크에 관한 성과지표 활용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지식, 목표, 성과의 공유가 필요하다. 진료와 관리 과정에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목표 설정과 성과 측정 및 보상 과정에 팀 구성원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셋째, 팀 내외의 의사소통 활성화가 필요하다. 병원 정책에 대한 논의와 토론, 정기적이고 개방적인 의사소통, 환자와의 의사소통, 다양한 직종 간의 의사소통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강화와 리더십이 필요하다. 성과에 기반한 보상제도 운영, 인센티브 제도 운영, 경영진의 동기부...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엠폭스 고위험군 대상 예방접종 확대 실시(5.8.월)’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20000&bid=0015&list_no=722482&cg_code=C01&act=view&nPage=1 (검색일 : 2023년 5월 10일)
‘엠폭스 확진 누적 60명… 낙인 없어야 확산 막을 수 있다’ <한국일보 오피니언> 2023년 05월 09일자.
‘국내 엠폭스 환자 52명, 대부분 남성· 성접촉 공통점’ <조선일보> 023년 05월 04일자.
‘엠폭스 환자 4명 추가, 누적 68명…이틀 연속 4명’ <동아일보> 2023년 05월 10일자.
‘ 광주광역시 첫 엠폭스 감염자 발생… 국내 감염 추정’ <한국일보>2023년 05월 8일자.
서울특별시 생활의료보건 감염병 ‘「엠폭스」 예방·행동수칙 및 대응체계’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43566 (검색일 : 2023년 5월 10일)
유병남, (2012), 진료팀에 있어 팀워크의 중재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4(3), p.291~29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다학제팀, 2020/06/10,
http://www.hospicecare.or.kr/team/sub02.html
김춘미, 이홍자, 최정명, 현혜진, 전경숙, 박은옥, 김숙영, 최경원, 진영란, 고영, 윤주영 외 공저, (2019), 제 2판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파주시
김종래, (2009),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석사, 서울특별시
金泰龍, (2007), 한국형 팀제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19(1), p.1~21
박광옥, (2012), 병원조직에서 간호팀장의 팀제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3), p.486~498
유붕식, 유병남, (2007), 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을 위한 전략요인과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팀제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15, p.457~473
황병적 외, (2007), 병원관리학 총론, 수문사, 서울
박은진, 한지영, (2018), 병원종사자의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 보장활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8(2), p.474~498
간호와 경영
간호학대사전, (1996), 보건의료종사자, 2020/06/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92030&cid=60408&categoryId=55558
제3판 간호관리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