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반복문 실습
1.1. whilebasic.c
'whilebasic.c'는 반복문 중 하나인 while문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초기값이 1인 변수 i를 1씩 증가시키며 화면에 출력하는 예제이다.
먼저 이 프로그램은 main 함수에서 시작된다. int i = 1;을 통해 변수 i에 초기값 1을 할당한다. 그리고 while(i <= 5) 문을 통해 i가 5보다 작거나 같은 동안 반복문을 수행한다.
반복문 내부에서는 printf("%d ", i);를 통해 현재 i의 값을 출력하고, i++; 문을 통해 i를 1 증가시킨다. 이 과정이 i가 5보다 커질 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1 2 3 4 5 "가 출력된다. while문을 통해 변수 i의 값을 1씩 증가시키며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while문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반복문 활용 방식을 익힐 수 있다.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과 출력 결과를 이해함으로써 기초적인 반복문 사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
1.2. 반복문 for을 이용한 출력
'1.2. 반복문 for을 이용한 출력'은 반복문 for을 사용하여 특정 값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배열이나 변수의 값들을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습예제 9-3에서는 전처리기 지시어를 이용해 2행 3열의 이차원 배열 td를 선언하고, 각 원소에 1부터 6까지의 값을 저장하였다. 이후 이중 for문을 사용하여 td 배열의 모든 값을 행 단위로 출력하였다. 구체적으로 "td[0][0] == 1 td[0][1] == 2 td[0][2] == 3 td[1][0] == 4 td[1][1] == 5 td[1][2] == 6"와 같은 형태로 출력되었다. 이를 통해 반복문 for을 활용하면 배열의 모든 원소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습예제 9-4에서는 역시 전처리기 지시어를 통해 2행 3열의 이차원 배열 td를 선언하고, 초기값을 저장하였다. 이후 이중 for문을 사용하여 td 배열의 모든 값을 출력하였다. 출력 결과는 "1 0 0 1 2 3"으로, 이차원 배열의 각 행과 열의 원소들이 순서대로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복문 for을 활용하면 배열이나 변수의 값들을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중 for문을 통해 다차원 배열의 모든 원소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의 효율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이다.
2. 배열 실습
2.1. 배열 선언과 초기화
'2.1. 배열 선언과 초기화'는 배열을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배열은 같은 데이터 타입의 원소들이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는 자료구조이다.
배열을 선언할 때는 타입과 배열 이름, 그리고 배열의 크기를 명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int score[5];"와 같이 선언하면 정수형 배열 score를 생성하고 그 크기를 5로 지정한 것이다. 배열의 크기는 상수 값이어야 하며, 실행 중에 변경할 수 없다.
배열을 초기화할 때는 선언과 함께 중괄호 {}를 사용하여 원소 값들을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nt score[5] = {78, 97, 85, 0, 91};"와 같이 초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score 배열의 5개 원소가 각각 78, 97, 85, 0, 91로 초기화된다. 초기화 시 원소 개수가 배열 크기보다 작으면 나머지는 0으로 초기화된다.
배열의 원소에 개별적으로 값을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core[0] = 78; score[1] = 97; score[2] = 85; score[4] = 91;"와 같이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score[3] 원소는 초기화되지 않아 기본값인 0이 저장된다.
배열은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배열의 선언과 초기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배열을 활용하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된다."이다.
2.2. 배열 원소의 합과 평균 계산
'2.2. 배열 원소의 합과 평균 계산'은 배열의 각 원소들의 합과 평균을 계산하는 것을 다루고 있다. 실습예제 9-2에서는 크기가 6인 실수형 배열 score에 각각 89.3, 79.2, 8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