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산소요법의 정의
산소요법은 산소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요법이다. 숨을 들이마실 때 산소농도가 낮을 경우, 폐포로부터 혈액으로 산소운반이 잘 되지 않을 경우나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나쁠 경우에 적용한다. 즉, 산소요법은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이다.
1.2. 산소요법의 목적
산소요법의 목적은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흡입산소농도(fraction of inspired oxygen, FiO₂)를 동맥혈의 산소분압이 60-100mmHg를 유지하도록 결정하는 것이다. 대기 중의 산소는 20.95%로 존재하는데, 신체의 산소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더 높은 농도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저산소증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나쁠 경우나 폐포로부터 혈액으로의 산소운반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 산소요법을 통해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즉, 산소요법의 기본적인 목적은 저산소증 상태를 개선하여 조직세포의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2. 산소요법의 종류
2.1. 저유량법
2.1.1. 비강캐뉼라
비강캐뉼라는 낮은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는 저유량법 중 하나이다. 비강캐뉼라는 분당 1~6리터 이하의 산소를 공급하며, 산소 1리터 투여 시 FiO₂(흡입산소농도)가 4%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비강캐뉼라는 간편하고 안전하여 널리 사용되며, 산소 공급과 동시에 식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확한 흡입 산소농도를 공급하기 어렵고, 환자가 명료하고 협조적이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강캐뉼라는 저농도 산소가 필요한 환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2.1.2. 산소마스크
산소마스크는 중간정도의 단기 산소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분당 5-10리터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 환자의 점막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일부 이산화탄소 재호흡으로 인해 단기간만 사용할 수 있으며, 식사가 불가능하고 답답하다는 단점이 있다.""
2.1.3. 재호흡 방지형 저장백 마스크
재호흡 방지형 저장백 마스크는 60%이상의 산소흡입 농도가 필요할 때, 고농도의 산소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산소 공급 장치이다. 분당 10-15리터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마스크와 저장백 사이에 있는 일방향 밸브로 인해 호기 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다시 들어오지 않아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재호흡 방지형 저장백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고농도의 일정한 산소 공급이 가능하다. 둘째, 저장백과 마스크 사이에 있는 일방향 밸브로 인해 호기 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다시 들어오지 않는다. 이를 통해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재호흡 방지형 저장백 마스크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우선 마스크를 환자에게 적용하기 전 반드시 저장백을 산소로 가득 채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저장백이 완전히 수축하면 산소 공급이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저장백이 부풀려져 있는지 자주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증류수를 채울 필요는 없으며, 응급상황인 경우가 많으므로 증류수를 채우지 않아도 쉽게 점막이 건조해지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재호흡 방지형 저장백 마스크는 고농도의 일정한 산소 공급이 필요한 환자에게 적절한 산소요법이며, 사용 시 주의사항을 준수하면 효과적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장치라 할 수 있다.
2.2. 고유량법
2.2.1. T자 연결관
T자 연결관(t-pi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