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카네만의 전망이론과 행동적 의사결정론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행동적 의사결정론
1.1. 기대효용이론의 한계
1.2. 제한된 합리성
1.3. 행동적 의사결정론의 등장
2. 전망이론(Prospect Theory)
2.1. 준거 의존성
2.2. 민감도 체감성
2.3. 손실회피
2.4. 전망이론의 가치함수
3. 행동적 의사결정론의 적용
3.1. 마케팅 전략
3.1.1. 이익은 나누고 손실은 합하는 전략
3.1.2. 손실회피성향에 주목하는 전략
3.2. 금융 투자
4. 행동적 의사결정론의 대표 학자
4.1. Daniel Kahneman과 Amos Tversky
4.2. Richard H. Thaler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행동적 의사결정론
1.1. 기대효용이론의 한계
기대효용이론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기대효용이론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자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 사람들의 의사결정 행동은 이러한 가정과 부합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첫째, 기대효용이론은 의사결정자의 선택이 논리적으로 일관되어야 한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선택 상황에서도 선호가 역전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이득의 경우 확실한 선택을 선호하지만, 손실의 경우 불확실한 선택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기대효용이론은 의사결정자들이 선택 대안에 대한 정보를 완전히 알고 있으며, 목적 함수에 따라 그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 의사결정자들은 인지적 한계로 인해 모든 대안과 정보를 고려할 수 없으며, 불완전한 정보에 기초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셋째, 기대효용이론은 의사결정자들이 결과에 대한 객관적 확률을 완벽하게 알고 있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사람들이 주관적으로 확률을 판단하고 이를 왜곡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낮은 확률의 사건은 과대평가되고, 높은 확률의 사건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행동적 의사결정론은 이러한 기대효용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했으며, 실제 사람들의 의사결정 행동을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1.2. 제한된 합리성
제한된 합리성이란, 전통적인 경제학에서 가정했던 완전한 합리성과는 달리 인간이 실제로는 정보를 완전히 처리할 수 없으며 제한적인 능력과 자원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개념이다. 즉, 인간은 모든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의 능력과 상황에 맞는 만족스러운 수준의 선택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된 합리성 개념은 행동경제학자 Herbert Simon이 주장한 것으로, 그는 인간이 합리적이지만 정보처리능력과 시간,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완전한 합리성을 가지지 못한다고 보았다.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인간을 완전히 합리적인 존재로 가정했지만, 실제로는 인간이 주어진 정보만을 사용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는 "만족화(satisficing)"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한된 합리성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합리적인 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은 완전한 정보와 무한한 계산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만족스러운 수준의 결정을 내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된 합리성 개념은 행동적 의사결정론의 기반이 되었다.
1.3. 행동적 의사결정론의 등장
행동적 의사결정론의 등장은 기대효용이론의 한계를 지적하며 시작되었다"" 기대효용이론은 경제학...
참고 자료
현대외교정책론, 김계동 외 16인 저, 명인문화사, 2016
소비자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이학식·안광호·하영원·석관호, 2020, 집현재
행동적 의사결정론, 안서원·안광호, 2019, 법문사
프로스펙트 이론 : 이익은 나누고 손실은 합하라, 2012, 곽준식
NAVER 지식백과 ,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경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