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수인계 보고서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는 67세 여성 성**님으로, 2022년 8월 10일 Diarrhea, fever, chill, abd pain, nausea, cough, sputum 등의 증상으로 외래를 통해 혼자 도보로 입원하였다. 과거력으로는 2010년도에 위용종 제거 수술을 받았다. ""대상자는 현재 담관염(cholangitis) 진단을 받고 입원 치료 중으로, 과거력상 2010년도에 위용종 제거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다.""
1.2. 간호문제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이다. 환자는 담관염 진단을 받아 향후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병력상 2010년도 위용종을 제거한 경험이 있어 이번 담관염 진단에 대한 걱정이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지속되는 발열, 오한, 복통 등의 증상으로 인해 불편감이 크고 예후에 대한 걱정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제한된 식사와 관련된 영양 부족이다. 환자는 담관염으로 인해 지속적인 복통과 오심 등의 증상으로 인해 식사량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도록 교육받아 선택할 수 있는 음식이 제한되어 영양 섭취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체중 감소와 피부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담석과 관련된 급성 통증이다. 환자는 담관염으로 인한 급성 복통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는 담석으로 인한 급성 증상으로 볼 수 있다. 복통의 양상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번지는 쥐어짜는 듯한 통증으로 NRS 8점 정도로 심한 편이다. 이로 인해 활동 제한과 불편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지식 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자가 건강관리이다. 환자는 담관염에 대한 이해와 관리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증상 악화 시 대처가 적절하지 않고, 식이 조절, 활동 수준 조절 등의 자가 관리가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교육과 정보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양 부족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이다. 환자는 담관염으로 인한 지속적인 식사량 감소와 체중 감소로 영양 부족 상태에 놓여있다. 이는 피부 통합성 저하와 피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 된다. 특히 현재 영양검색 결과 저위험군으로 나타나 추후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1.3. 간호중재 및 반응
대상자의 간호중재 및 반응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을 호소하고 있으므로, 간호사는 대상자의 불안을 낮추기 위해 정기적인 면담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불안감을 해소하도록 돕고 있다. 또한 대상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