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과정기말고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과정과 간호평가
1.1. 간호평가의 개념과 특성
1.2. 간호평가의 단계
1.3. 간호기록에 활용된 간호 분류 체계
2. 간호사정과 면담기법
2.1. 간호사정을 위한 면담의 단계
2.2. 효과적인 면담을 위한 기술
3. 신체사정
3.1. 타진음의 종류와 특성
3.2. 간, 신장 촉진 방법
3.3. 근육강도 평가 및 반사 활동 평가
3.4. 신경계 검사
4.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4.1. 간호진단과 간호중재의 사례 1
4.2. 간호진단과 간호중재의 사례 2
5. 간호연구의 기초
5.1. 외생변수 통제 방법
5.2. 측정도구의 신뢰도
5.3. 통계적 분석 개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과정과 간호평가
1.1. 간호평가의 개념과 특성
간호평가는 간호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대상자의 간호목표 달성 여부와 간호중재의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간호평가의 개념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간호평가는 대상자의 간호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간호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사정하고 간호중재의 효과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간호사는 간호평가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진척 상황을 파악하고, 향후 간호계획을 수정하거나 조절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간호평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평가는 간호과정 내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즉각적인 재사정, 재진단, 재계획으로 이어진다. 둘째, 간호평가는 대상자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간호평가는 사전에 수립된 대상자의 간호목표와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실시된다. 넷째, 간호평가에서는 대상자의 주관적·객관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한다. 다섯째, 간호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계획을 수정하고 조절한다.
1.2. 간호평가의 단계
간호평가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자의 목표와 평가기준을 재검토하는데, 간호사는 각 간호진단을 위해 개발된 평가기준과 대상자의 간호목표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목표달성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수집 단계에서는 간호중재에 반응하는 환자의 행위를 판단하기 위해 주관적, 객관적 정보를 수집하게 되고 체계적인 정보수집은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목표달성의 측정 단계에서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목표가 완전히 성취되었는지, 부분적으로 성취되었는지, 완전히 충족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문제 혹은 간호진단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목표달성의 판단이나 측정에 대한 기록은 수집된 자료 및 목표달성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록하게 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간호계획의 수정과 조절은 회환(feedback) 단계로서 해결된 간호진단은의 간호중재는 제외하는 등 간호활동을 조저러하는 것이다.
1.3. 간호기록에 활용된 간호 분류 체계
간호기록에 활용된 간호 분류 체계"는 간호사들이 간호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간호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활용하는 다양한 간호분류체계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간호분류체계로는 NANDA 간호진단분류, NIC 간호중재분류, NOC 간호결과분류, ICNP(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 등이 있다.
NANDA 간호진단분류체계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 건강증진요구, 생활양식 변화 필요성을 확인하고 진단하는데 활용된다. 이는 간호진단의 표준화와 의사소통 증진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NIC 간호중재분류체계는 간호사가 수행하는 간호중재를 표준화하고 분류한 것이며, NOC 간호결과분류체계는 간호결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ICNP(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는 국제간호협의회(ICN)에서 개발한 간호용어 분류체계로, 간호사-간호사, 간호사-타 의료진 간 의사소통 증진, 간호실무 데이터 비교, 간호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목적으로 한다. ICNP는 간호실무, 교육, 연구, 행정 등 다양한 간호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간호기록에 활용된 간호 분류체계는 간호과정의 각 단계에서 간호실무를 체계화하고 표준화하여 질적인 간호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 중심의 간호를 실천하고 간호에 대한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2. 간호사정과 면담기법
2.1. 간호사정을 위한 면담의 단계
간호사정을 위한 면담의 단계는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준비단계, 도입단계, 유지단계, 종결단계가 그것이다.
준비단계에서는 환자와 인사를 나누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전반적인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면담 전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적절한 질문을 준비하여 면담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한다.
도입단계에서는 면담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여 환자의 이해와 협조를 구한다. 면담의 내용, 시간, 범위 등을 미리 알려줌으로써 환자가 안심하고 면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유지단계에서는 주된 면담 내용을 도출하는 단계로, 환자의 건강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고 경청하며 환자의 감정을 인정하는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한다....
참고 자료
공정희, 이광미, 이세나. (2018). 다발성골수종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ICNP)를 이용한 전자간호기록의 분석: 말초혈액조혈모세포채집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Health & Nursing (구 간호과학), 30(2), 33-44.
류선희, 홍해숙, 박상연, & 이은주. (2004). ICNP 를 이용한 간호현상, 간호활동 분석-정형외과 간호기록 중심으로. 가정간호학회지, 11(1), 14-22.
이선옥, 김금순, 최윤경(2013). 간호과정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조인숙, & 박현애. (2002). ICNP 활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위한 수작업 간호기록내용 분석: 모성간호기록을 중심으로.
정유미, 이은화, 방연주, 황선영, 전윤경, 김영아, 김명자. (2012). ICNP 기반의 군병원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개발. 군진간호연구, 30(2), 1-15.
이상미, 정성희(2015).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주미(2019). 고급간호연구의 유용성. 간호연구와 두드림
네이버 지식백과.
이상미,정성희(2017).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정연정,윤여각(2018).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iMBC 캠퍼스 독학학위제 연구회(2016). 간호연구방법론. 지식과미래
윤정규(2011). 알기 쉬운 연구방법론. 범문에듀케이션
이충휘(2016). 연구방법론. 계축문화사
김영종(2007).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노경섭(2021). 제대로 시작하는 기초 통계학(Excel 활용). 한빛아카데미
한상숙,이상철(2012). 간호보건통계분석. 한나래
최종덕(2005). 통계학이론. 문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