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공연예술에 있어서 무대 위에서 움직이는 연기자의 역할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공연예술이 목표하는 바가 단순히 표피적 또는 상투적 즐거움의 생산과 표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 삶에 대한 철학적 정신의 정화를 추구하며, 이러한 역할 표현의 중심이 바로 공연자의 몫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공연예술은 단순히 기술적인 작업이 아니며, 한 나라의 정체성과 전통을 아우르는 문화적 창조 작업이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공연예술의 표현방법은 다분히 서구적 공연예술 양식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서구 지향의 공연예술 방법론을 극복하고, 보다 주체적이고 한국적인 공연예술의 창작과 동작연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제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춤의 근간을 이루는 호흡 및 운용에 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공연자의 동작연기를 위한 효과적 호흡법에 대해 알아본다."
2. 호흡의 중요성
2.1. 호흡의 개념
호흡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 인간은 자신이 의식을 하든, 안 하든 살아가면서 언제나 호흡을 하고 있으며, 그 호흡이란 것에 특별한 관심을 갖지 않아도 숨을 쉬고 사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다. 그러나 이처럼 생리적인 호흡이 동서고금을 통해 수없이 많은 논제를 제공하고 있는 점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여러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호흡은 우리 속에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우리의 본질적 구성인자이다. 둘째, 호흡은 삶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이며 기본적인 어떤 것이다. 셋째, 호흡은 우리와 우리 육체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의식적 호흡이란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일상적 개념으로부터 요가, 방술, 수행 등의 심신 수련을 위한 전문적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한국 춤에 있어서도 호흡의 적절한 운용에 대한 연구는 하나의 새로운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2. 호흡과 신체 움직임
신체의 움직임에서 호흡은 본능적으로 필요한 행위이다. 손가락을 오므리거나 펴는 등 신체를 움직일 때 호흡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숨은 우리가 코로 하는 들숨과 날숨의 운용이다. 여기에서 수축과 확산이라는 두 가지 상반되는 에너지를 볼 수 있다. 이는 말초적인 움직임으로부터 순차적 발전의 신체적 기능으로서의 움직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인간의 원초적 움직임은 탄생과 더불어 구체화된 상징적 신체의 움직임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상징적 신체의 움직임은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 원리와 연계된다고 할 수 있다. 호흡을 통한 신체의 움직임은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응집에 의한 확산이며, 이것이 신체의 동태 즉, 신체의 표현력 시각화를 탄생시키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이 어떤 사물에 대한 느낌을 가질 때 그것은 우주적 리듬에 대한 호응이며, 이를 신체의 팔과 다리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표현한다. 이처럼 호흡과 연계된 인간의 신체는 무엇인가를 표현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신체가 표현하는 것이 동작연기인 움직임인 것이다.
3. 한국춤의 호흡법
3.1. 정·중·동의 호흡
한국춤의 호흡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靜)·중(中)·동(動)의 호흡"이다. 이는 움직이지 않는 듯한 '정'의 정지된 움직임 속에서 '동'으로 표현되기 위한 '중'의 다스림의 호흡이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은 움직임이 멈춘 상태로, 무용수가 춤을 추기 전 준비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는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면서 자신의 내면을 집중시킨다. 이를 통해 무용수는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