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재고관리
1.1. 정량주문
1.1.1. 경제적 주문량
경제적 주문량(EOQ: Economic Order Quantity)이란 재고조달기간 중 발생하는 총재고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주문량을 의미한다. 재고비용에는 주문비용, 재고유지비용, 자본비용, 재고부족비용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주문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재고관련 비용과 각 비용의 규칙을 고려해야 한다. 주문량이 커지면 재고유지비용과 자본비용은 증가하지만 주문비용과 재고부족비용은 감소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으로 경제적 주문량이 결정된다. 경제적 주문량 모형은 기업마다 재고관련 비용 구조가 달라 결정과정이 상이하다.
1.1.2. 주문점
주문점이란 재고수준이 감소하여 주문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재고수준을 말한다. 재고를 주문하여 납품업자가 납품을 완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남아 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문점은 재고의 조달기간 동안의 재고사용량과 일치하여야 한다. 재고의 조달과 소비가 확정적인 경우에는 안전재고가 필요 없지만 조달기간 중에 수요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납품업자의 조달지연 등이 발생하면 재고부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은 일정한 양의 추가재고를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재고의 보유는 재고부족비용을 감소시키지만 재고유지비용이나 금융비용을 추가로 발생시키게 된다. 안전재고는 재고부족비용과 재고유지비용 등의 재고비용을 최소화하도록 결정되어야 하며, 안전재고를 보유하는 경우에 기업의 주문점은 안전재고와 조달기간 동안의 재고사용량을 합한 수량이 된다. 주문점 = 안전재고 + (조달기간의 일수 * 일일사용량)이다.
1.2. 정기주문
정기주문방식은 장래의 재고소비를 예측하여 사전에 결정된 최대재고량에 부족한 수량을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주문하는 방식이다.""
정기주문방식에서는 보관중인 재고품목의 재고수준이 일정한 기간마다 검토되며 정기적으로 최대재고량에 부족한 수량을 주문한다. 최대재고량은 주문기간 동안의 재고소비량과 안전재고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주문기간은 재고가 안전재고수준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결정된다. 주문량은 주문시점의 재고수준에서 주문 후 조달기간 동안의 사용량을 제한 수량이 최대재고량보다 부족한 만큼이 된다."
1.3. 재고 입출고 장부 기록
재고의 입출고에 관한 장부의 기록은 기업이 재고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재고에 대해서는 그 변동에 대해 계속적인 기록이 이루어져야 구매수량, 사용수량, 현재수량 등의 재고관련 사실들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현재의 재고수량은 주문점이나 주문량의 결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사용수량은 생산제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