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균 형질전환 실험보고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대장균 형질전환 실험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장균의 특성과 중요성
1.2. DNA 기술의 응용
1.3. 실험의 목적

2. 본론
2.1. 대장균 배양
2.1.1. 배지 성분과 역할
2.1.2. 순수배양법
2.1.2.1. 쿼드런트 획선법
2.1.2.2. 연속적 획선법
2.2. 대장균의 형질전환
2.2.1. 형질전환의 원리
2.2.2.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 활용
2.2.3. 형질전환 결과 확인
2.3. Plasmid DNA 분리
2.3.1. Alkaline lysis method
2.3.2. Plasmid DNA의 특성
2.4. Plasmid DNA 전기영동
2.4.1. 전기영동의 원리
2.4.2. DNA 형태에 따른 이동도

3. 결론
3.1. 실험 결과 요약
3.2. 생명공학 연구에서의 활용
3.3. 향후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장균의 특성과 중요성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그람음성의 간균이며, 포자 생성을 하지 않고 섭씨 37도에서 쉽게 자랄 수 있다. 대장균은 Theodor Esherich의 이름을 따서 발견되어 명명되었으며, 크기는 1-2 microns x 30-30 micron (1 micron = 0.001 mm)이다. 정상적인 인간의 장에는 감염되지 않는 대장균이 1kg 가량 들어 있는데, 이는 장내 세균총의 일부로 건강에 유익하다. 하지만 대장균 박테리아는 배설물과 함께 나와 식중독과 같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대장균은 배지에서 쉽게 자라고 배양이 용이하며, 세포분열 주기가 짧아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원핵생물 모델이다. 또한 유전적 정보가 잘 알려져 있어 DNA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생명공학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장균은 생물학, 유전학, 분자생물학 등 여러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험 모델 생물로 자리잡고 있다.


1.2. DNA 기술의 응용

DNA 기술의 응용은 매우 다양하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생물공학과 의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분리하고 복제할 수 있으며, 이를 다른 생물체에 삽입하여 새로운 형질을 만들어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인슐린 생산이 있다. 이전에는 동물의 췌장에서 인슐린을 추출하여 사용했지만,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대장균에 인슐린 유전자를 삽입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

또한 유전자 치료법도 DNA 기술의 주요 응용 분야이다. 유전자 치료법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정상 유전자로 대체하는 방법으로, 선천성 유전 질환이나 암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상 유전자를 분리하고 효과적으로 환자 세포 내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데, 바이러스 벡터나 나노 입자 등을 이용한 유전자 전달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DNA 기술은 범죄 수사나 법의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DNA 감식을 통해 범죄 현장에서 채취한 증거물의 정보를 분석하여 용의자를 식별하거나 친자 확인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대 인류의 유전적 특성을 밝혀내는 데에도 DNA 분석 기술이 이용된다"".

나아가 유전체 해독 기술의 발달로 개인의 유전정보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면서 맞춤형 의료, 약물 반응 예측 등 정밀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도 기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맞는 질병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DNA 기술은 생명공학, 의학, 범죄수사, 법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DNA 기술의 응용 범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1.3. 실험의 목적

이번 실험의 목적은 대장균(E.coli)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DNA 기술을 실습하고 체험하는 것이다."

실험 1에서는 대장균을 배양하는 방법을 익히고, 쿼드런트 획선법과 연속적 획선법을 통해 단일 콜로니를 분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지닌 plasmid를 이용하여 대장균을 형질전환시키고, 항생제가 포함된 배지에서 형질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3에서는 형질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plasmid DNA를 추출하는 alkaline lysis 방법을 익히고, 추출한 DNA를 전기영동으로 분석하여 DNA의 크기와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장균 배양, 형질전환, plasmid DNA 추출 및 전기영동 등 다양한 DNA 기술을 체험하고 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2. 본론
2.1. 대장균 배양
2.1.1. 배지 성분과 역할

배지의 성분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배지는 미생물이나 세포등을 성장시키는데 이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배지는 액체 영양배지나 LB배지로, 액체 배지를 Agar와 섞어 페트리 접시에 부어 굳히면 고체배지로 사용할 수 있다. LB배지는 tryptone 1%, yeast extract 0.5%, NaCl 1%, 포도당 0.1%(H20), pH는 1N으로 7.0으로 조정하여 사용된다.

tryptone은 질소 공급원으로, 단백질을 산이나 알칼리 효소에 의해 분해하여 가용성 물질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주로 대장균에게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해준다. yeast extract는 배지에 필요한 종합 영양분으로, 효모를 갈아서 만든 것이다. NaCl은 능동, 수동 수송에 중요한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된다. 삼투압이 맞지 않으면 균이 터지거나 쪼그라들 수 있다. 또한 배지의 염농도를 맞추거나 미량 원소의 공급원으로도 작용한다. 포도당은 탄소원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LB배지는 대장균의 성장에 필요한 질소원, 탄소원, 무기물 등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어 대장균을 배양하는데 적합한 배지이다.


2.1.2. 순수배양법
2.1.2.1. 쿼드런트 획선법

쿼드런트 획선법은 고체 배지를 네 개의 구역으로 나눠 순차적으로 획선하는 방법이다. 액체 배지에서 자란 대장균을 꺼내 고체 배지의 첫 번째 구역에 획선을 그은 뒤, 루프를 소독하여 다음 구역으로 이동하여 다시 획선을 그리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렇게 구역을 넘어갈수록 대장균 군락이 희미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균주가 점점 더 희석되어 단일 콜로니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쿼드런트 획선법은 루프를 소독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획선을 할 때마다 균주가 희석되기 때문에 마지막 구역에서는 대장균 콜로니가 거의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2.1.2.2. 연속적 획선법

"연속적 획선법은 loop를 불에 달구어 소독하는 과정 없이 대장균이 자란 액체 배지에서 곧바로 고체 배지에 지그재그로 획선을 그리는 방법이다. 액체 배지에서 대장균을 loop에 묻혀 고체 배지의 한 부분에 획선을 그린 뒤, loop를...


참고 자료

심규철 외 5명. 2012. 생명과학Ⅱ. 비상교육. pp.136-137, pp.177-180
Bertani, G.. 1951. Studies on lysogenesis. I. The mode of phage liberation by lysogenic Escherichia coli. J. Bacteriol. 62 (3): 293
Brody J. and Kern S.. 2004. History and principles of conductive media for standard DNA electrophoresis. Anal. Biochem. 333 (1): 1–13.
Chang D.. 2006. Electroporation and Electrofusion. R.A. Meyers (Ed.)
Gooch J.. 2011. Encyclopedic Dictionary of Polymers. Springer, New York, NY. p.728, p.731, pp.743-744
Haberl, S. and others. 2013. Comparison of Alkaline Lysis with Electroextraction and Optimization of Electric Pulses to Extract Plasmid DNA from Escherichia coli. Journal of Membrane Biology, vol. 246, no. 11, pp. 861-7.
Hans Günter Schlegel. 1993. General Micro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 459.
Hiroaki Inoue, Hiroshi Nojima and Hiroto Okayama. 1990. High efficiency transformation of Escherichia coli with plasmids. Elsevier. pp.23-28
Holmes R. and Jobling M.. 1996. Medical Microbiology. 4th edition. Galveston (TX):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Chapter 5.
John L.. 2004. Encyclopedia of Entomology. Springer, Dordrecht. p.219
Lodish H. and others. 2000. Molecular Cell Biology. 4th edition. New York: W. H. Freeman. Section 7.1
Pidcock A. and Piotrowski A.. 2020. Magill’s Medical Guide. Salem Press. p.5
Taylor R. and others. 2018. Campbell biology : concepts & connections Ninth edition. Pearson. p.209, p.247
Viroj Wiwanitkit. 2011. Escherichia Coli Infections. iMedPub. p.9
Brown, T. A. 강종백, 김정국, 이광호, 이병무, 최진 공역. (2003). Gene Cloning. (4th edition). Oxford: Blackwell Publishing Ltd
Watson, J. D., Michael, G., Witkowski, J., Zoller, M. 박영순, 백상기, 이원호, 이정주, 전순배, 추종길 공역. (1992). Recombinant DNA. NY: W. H. Freeman and Company
Robert, S. F. (1986). Genetics & Molecular Biology. Masachusetts: Addison – Wesley Publishing Company.
Petri, W. A. (2011). Penicillins, cephalosporins, and other β-lactam antibiotic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2th ed. New York, NY: McGraw-Hill, 1477-504.
Misumi, M., & Tanaka, N. (1980). Mechanism of inhibition of translocation by kanamycin and viomycin: a comparative study with fusidic acid.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92(2), 647-654.
Sanger F; Coulson AR (May 1975). "A rapid method for determining sequences in DNA by primed synthesis with DNA polymerase". J. Mol. Biol. 94(3): 441–8. doi:10.1016/0022-2836(75)90213-2. PMID1100841.
Bentley, D. R. (2000). The human genome project - an overview. Medicional research reviews, 20(3), 189-196
Saiki, R. et al. (1985) Enzymatic amplification of beta-globin genomic sequences and restriction site analysis for diagnosis of sickle cell anemia. Science, 230(4732): 1350–1354.
Brouns, S. J. et al. (2008). Small CRISPR RNAs guide antiviral defense in prokaryotes. Science, 321(5891), 960-964
Tilanus, M. G. J. (2006). Short tandem repeat markers in diagnostics: what's in a repeat?.
Campbell. 2013. Campbell Biology. pp.413-414
Chao Ji, Lingyun Zhang, and Pengye Wang. 2015. Configuration Transitions of Free Circular DNA System Induced by Nicks, Journal of Nanomaterials, Article ID 546851.
Flowers, G. P., & Crews, C. M. 2015. Generating and identifying axolotls with targeted mutations using Cas9 RNA-guided nuclease. In Salamanders in Regeneration Research Humana Press, New York, NY. pp.279-295.
Lennox, E. S. 1955. Transduction of linked genetic characters of the host by bacteriophage P1. Virology. 1 (2) pp.190–206.
Luria, S. E.; Adams, J. N.; Ting, R. C. 1960. Transduction of lactose-utilizing ability among strain of E. coli and S. dysenteriae and the properties of the transducing phage particles. Virology. 12 (3) pp.348–390
Miller, J. H. 1972. Experiments in molecular genetic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ew York.
Smillie C, Garcillán-Barcia MP, Francia MV, Rocha EP, de la Cruz F. 2010. Mobility of plasmids.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74 (3) pp.434–452.
https://www.neb-online.de/en/competent-cells/chemical-transformation-tips/ Accessed 2020.05.08.
https://www.snapgene.com/resources/plasmid-files/?set=crispr_plasmids&plasmid= pDR274 Accessed 2020.05.0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