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의 리더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리더십 분석
1.1. 영화 속 리더십 분석
1.1.1. 줄스 오스틴의 권위적 리더십
1.1.2. 벤 휘태커의 섬기는 리더십
1.2. 나의 리더십
1.2.1. 섬기는 리더십의 공통점
1.2.2. 섬기는 리더십의 차이점
2. 카리스마 리더십
2.1. 카리스마 리더십의 정의
2.2. 카리스마 리더십의 문제점
2.2.1. 감성적이고 병약한 심리상태로 인한 문제
2.2.2. 비윤리적 행동으로 인한 문제
2.2.3. 급진적 개혁으로 인한 문제
3. 리더십의 중요성
3.1. 리더의 중요성
3.2. 리더십과 신뢰의 관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리더십 분석
1.1. 영화 속 리더십 분석
1.1.1. 줄스 오스틴의 권위적 리더십
줄스 오스틴의 권위적 리더십은 업무 중심적이며 권위주의적인 특성을 가진다. 첫째, 그는 구성원에게 단순히 따르기만을 강요한다. 둘째, 그의 리더십은 외적인 강제적 힘에 의해 구성원이 동기부여 된다고 믿는다. 셋째, 급변하는 환경에서도 업무에 매우 엄격하고 권위적인 태도를 고수한다. 이러한 권위적 리더십의 장점은 응급 상황이나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일 수 있으며, 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이 미숙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원이 리더를 신뢰한다면 이러한 리더십이 작동할 수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가 낮아져 책임의식과 만족감이 적어지며, 수동적인 근무태도와 의존성이 높아져 창의력 개발이 저해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줄스 오스틴의 권위적 리더십은 조직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구성원의 자발성과 혁신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한계를 보인다.
1.1.2. 벤 휘태커의 섬기는 리더십
벤 휘태커의 섬기는 리더십"은 구성원을 존중하고, 그들에게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성장을 돕고, 부서 혹은 팀이 진정한 공동체를 이루도록 이끌어 가는 리더십이다.
벤은 줄스와의 상호작용에서 구성원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태도를 보여준다. 벤은 줄스 앞에서 항상 정장을 입으며 두 손을 모아 예의를 갖추고, 줄스를 차에서 내려주고 인사를 한다. 또한 줄스의 개인비서에게 "보스"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예의를 지킨다.
뿐만 아니라 벤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모습을 보인다. 줄스가 CEO 면담을 위해 메시지를 전한 것을 기억하고 치킨 수프를 준비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줄스의 운전기사가 술을 마시고 운전하는 것을 알아차리고 말리는 등 상대방의 상황과 필요를 고려한다.
벤은 사실에 근거하여 설득력 있게 대응한다. 줄스가 차로 운전하는 것을 막으려고 했지만, 벤은 자신의 주행 경험을 바탕으로 최소 12분 일찍 도착할 수 있다고 설득하여 결과적으로 제시간에 도착할 수 있었다.
또한 벤은 동료의 장점을 부각시키며 그들을 옹호한다. 줄스의 비서 베키의 역할을 강조하고, 줄스가 업적을 달성한 것을 칭찬한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에게 신뢰와 존경을 얻고 있다.
이처럼 벤은 구성원에 대한 배려와 존중, 상대방의 입장에서의 공감, 사실에 근거한 설득력 있는 대응, 동료에 대한 옹호와 지원 등의 섬기는 리더십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벤의 모습은 부하직원들의 만족감과 자발성, 창의성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1.2. 나의 리더십
...
참고 자료
영화 인턴, 2015
염영희, 고명숙, 김기경, 김보열, 김유정, 신미자, 이미애 정 민, 정연옥, 조미경, 한기혜, 황지인 외 공저 『개정 7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2020). P 489~491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이론과 사례) 최은수(대학교수) 저 | 공동체 | 2016.06.30.
「부정적인 측면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 = Examination of negative sides of charismatic leadership through an empirical study in South Korea,
백유성(외), 카리스마 리더십과 혁신행동, 대한경영학회, 2011
최일용,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부정적 특성 및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