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교사학생및함께하는참여식재난안전교육프로그램이나커리큘럼의사례들을 조사하고우수사례3가지이상적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을교육공동체와 학교의 관계
1.1. 마을에서 학교의 중요성 및 관계
1.2.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유형
1.3. 마을교육공동체 사례: 세종시 마을교육공동체 세종마을학교
1.4.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의 의미와 시사점
2.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2.1. 학교폭력 정책
2.2. 사이버 폭력 개입전략
3. 유치원 연수
3.1. 유치원 연수의 개념 및 유형
3.2. 지역의 유아교육 전문성 지원 연수프로그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을교육공동체와 학교의 관계
1.1. 마을에서 학교의 중요성 및 관계
마을에서 학교의 중요성 및 관계는 다음과 같다. 마을교육공동체란 마을이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 마을이 배움터가 되며 아이들이 주인이 되는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다. 마을이 아이들을 함께 키운다는 의미는 마을의 주민들이 교육에 대해 공동으로 책임과 권한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협력하여 아이들이 안전하게 학습을 이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에서부터 교육공동체를 만들어 아이들의 생활과 교육, 복지 등의 다양한 영역에 참여하는 협력을 한다는 것을 뜻한다. 더불어 마을이 아이들의 배움터가 된다는 것은 학교에서 나아가 지역의 자연과 사회, 삶 속에서의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적 공간과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뜻하며, 아이들이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올바른 시민으로서 성장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구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동체로서 마을은 마을과 학교, 교육청, 지방자치단체,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분리되지 않으며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공간으로 지역사회 학교라는 개념을 가지고, 여기에서 교육은 공동체의 가치인 더불어 사는 삶을 가르치는 것이 된다. 마을교육공동체에서 학교와 마을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서로 교류하면서 변화해 나간다고 할 수 있다.
1.2.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유형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유형은 다음과 같다.
마을교육공동체란 마을이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 마을이 배움터가 되며 아이들이 주인이 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마을이 아이들을 함께 키운다는 것은 마을의 주민들이 교육에 대해 공동으로 책임과 권한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협력하여 아이들이 안전하게 학습을 이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에서부터 교육공동체를 만들어 아이들의 생활과 교육, 복지 등의 다양한 영역에 참여하는 협력을 한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마을이 아이들의 배움터가 된다는 것은 학교에서 나아가 지역의 자연과 사회, 삶 속에서의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적 공간과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아이들이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올바른 시민으로서 성장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구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크게 지역중심형, 학교연계형, 마을교육협의체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지역중심형은 지역의 교육 환경과 전문성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자체적인 공간을 확보하거나 소규모 공간을 방문하여 진행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학교연계형은 마을과 인접한 학교의 교육과정과 방과 후 학교 자유학년제 등의 연계 프로그램으로 교육청에서 학교를 연계하고 학생모집을 지원하고 있다. 마을교육협의체형은 2개교 이상의 학교와 지역주민센터, 관련 기관 등과 협의체를 만들어 학교와 지역사회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3. 마을교육공동체 사례: 세종시 마을교육공동체 세종마을학교
세종시 마을교육공동체 세종마을학교는 세종시청과 교육청이 협력하여 만든 허브기관인 세종행복교육지원센터를 중점으로 마을교육프로그램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마을교육프로그램은 다양한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대상도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부터 학교 밖 청소년과 세종시민 전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그 목적도...
참고 자료
정윤아(2019), 교사들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세종행복교육지원센터(https://www.sejong.go.kr/happyedu)
세종시교육청, 학습도시 세종, 마을교육공동체로 견인하다[2022년도 제7회 기자회견], 세종시교육청(2022.04.19.)(https://m.blog.naver.com/sje_go_kr/)
박제원(2021), 마을교육공동체는 교육의 답이 될 수 있는가, 교육을바꾸는사람들(https://21erick.org/column/6552/?ckattempt=2)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대책에 대한 효과 평가 연구, 박효정, 정미경, 학국교육개발원, 200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교폭력예방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학폭 10건 중 3건이 사이버폭력..“학생 참여 예방교육 실시해야”, 소가윤, 뉴스핌, 2022.11.03.
‘중1도 형사처벌’ 촉법소년 만13세로 하향.. 소년법, 형법 입법예고, 이기사, 뉴시스, 2022.11.02.
사이버폭력 역대 최고..대책은? 전하연, EBSNEWS, 2022.10.11.
놀이를 통한 정서발달, 정미라, 경원대학교, 2012
이영애ㆍ신은수(2018),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양지애(2017), 유치원 교사를 위한 유초연계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심성경ㆍ백영애ㆍ송화진ㆍ변길희(2017), 영유아교사론, 정민사
장인영(2013), 교원연수제도와 역량개발, 한국학술정보
이상욱ㆍ정희영ㆍ최영해 외 8인 공저(2011),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p239-p240
김영옥ㆍ윤경선ㆍ이현경(2011), 유치원 교직실무, 학지사
2019년 유아교육 전문성 지원 직무연수(심화) https://iece.knue.ac.kr/yunsu-3.brd/_82.1703.e71bfb9/?shell=/index.shell: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