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2 기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심분리기의 원리와 종류
1.1. 원심분리기의 정의
1.2. 원심분리기의 수학적 원리
1.3. 원심분리기의 종류
1.3.1. 분석용 원심분리기
1.3.2. 제조용 원심분리기
1.3.3. 저속, 고속, 초고속 원심분리기
2. 데카르트의 위대한 발견
2.1. 데카르트는 누구인가?
2.2. 데카르트의 수학적 업적
2.2.1. 데카르트의 좌표계(=직교좌표계)의 탄생
2.2.2. 직교좌표계의 정의와 쓰임
2.3. 데카르트의 영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원심분리기의 원리와 종류
1.1. 원심분리기의 정의
원심분리기의 정의는 "어떤 입자들이 원심력장 내에 놓이게 될 때, 이들의 움직임이 각 입자의 밀도, 크기 또는 형태의 영향을 받아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이다."라고 할 수 있다.
원심분리기 내의 회전자에는 분리할 시료를 넣는 시험관이 있는데 보통 12개의 시험관이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회전자는 균형이 잘 맞아야 하며, 균형이 깨질 경우 회전축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종류와 무게가 같은 시료를 원심 분리하기 위해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시료를 넣어야 한다.
1.2. 원심분리기의 수학적 원리
물체가 원운동을 하면 관성의 원리에 의해 원의 중심방향에서 원 바깥 방향으로 나가려는 힘이 원심력이다. 원심력의 크기는 질량*반지름*각속도의 제곱이므로 각속도를 조절하면 원심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원심분리기는 원심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물질간의 상대적 밀도차를 조절한다.
평면에서 축을 시점, 각각의 시료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를 생각해보면 종류와 무게가 같은 세 개의 시료를 원심 분리할 때 세 벡터의 합이 ->0이 되면 시료를 바르게 넣은 것이고 세 벡터의 합이 ->0이 아니면 시료를 잘못 넣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분리기의 수학적 원리는 물체의 원운동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조절하여 물질간의 상대적 밀도차를 이용해 시료를 분리하는 것이다.
1.3. 원심분리기의 종류
1.3.1. 분석용 원심분리기
분석용 원심분리기는 용질이 용해된 시료가 소량(1㎖ 필요)이고, 원심력장에서 용질의 농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광학장치가 있어 용액 내의 성분, 고분자의 종류, 농도, 분자량, 고분자와 저분자 사이의 반응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
참고 자료
기하 실생활, 벡터 실생활 활용! 10가지 소..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원심분리기 정의, 원리, 분류 (tistory.com)
[연구안전 서포터스] 원심분리기의 원리, 종류..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김영환, 윤지섭, 정재후, 홍동희, 박기용.(2001).밀도 차를 이용한 경액과 중액의 연속 순간 원심분리기 개발.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655-659.
김종립, 윤기찬, 박종권.(1998).초고속 원심분리 회전축계의 최적설계.한국정밀공학회지,15(6),145-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