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간 본성에 관한 철학적 접근
1.1. 성선설과 성악설
1.1.1. 맹자의 성선설
1.1.2. 순자의 성악설
1.2. 중립적 인간 본성
1.2.1. 공자의 인간관
1.3. 비관적 인간 본성
1.3.1. 파스칼의 인간 본성론
1.4. 선택과 책임의 인간 본성
1.4.1. 야스퍼스의 인간 본성론
2. 인간 본성에 관한 종합적 고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간 본성에 관한 철학적 접근
1.1. 성선설과 성악설
1.1.1. 맹자의 성선설
맹자의 성선설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한다. 맹자는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내재함을 근거로 들면서, 사람이 모두 이러한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면 깜짝 놀라며 측은한 마음이 들게 되는데, 이는 그 마음이 어린아이의 부모나 마을 사람들의 인정을 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선천적으로 내재한 선한 본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이다.
맹자는 이처럼 인간에게는 선한 본성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군주나 제도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이 필요 없다고 본다. 오히려 인간의 본래 선한 본성을 교화하고 계발하는 게 중요하다고 여긴다. 그렇기 때문에 맹자는 수양과 교육을 통해 선한 본성을 회복하고 계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이 근본적으로 선하다는 입장으로, 이를 통해 인간에게 선한 본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인간에게 내재된 선함을 계발하고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1.1.2. 순자의 성악설
순자는 모든 사람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한다. 순자가 말한 악한 본성은 생리적 욕구에 기인한 이기심이다. 배고프면 먹고 싶고, 추워지면 따뜻하게 하고 싶고, 피곤하면 쉬고 싶은 것이 인간의 자연적이고 생리적인 욕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리적 욕구대로 산다면 인간들은 필연적으로 다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다툼은 춘추 전국시대 혼란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세상은 어지럽고 혼란 속에 빠지게 되었지만, 문명이 진화하고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인간의 힘이었다. 즉, ...
참고 자료
김교빈·이현구, 『동양철학에세이』, (파주: 동녘, 2013)
이현복 외, 『인간본성에 관한 철학 이야기』, (서울: 아카넷, 2007)
로저 트리그, 『인간 본성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 (서울: 자작나무, 2000)
[네이버 지식백과]영국의 경험론(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2008. 7. 15., 강성률, 반석)
[네이버 지식백과]순자[荀子] - 성왕이 다스리는 나라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2006. 5. 22., 장현근, 김승일, 권중달, 김한규, 손예철, 윤찬원, 이근우, 이인호, 조병한, 이승환, 김호동, 심경호, 김석근, 황희경, 김원중)
[네이버 지식백과]인간의 본성은 선(善)한가, 악(惡)한가(2천 년을 이어져온 논쟁, 2006. 8. 21., 고전연구회)
위키백과, ‘성선설, 성악설’, https://ko.wikipedia.org/wiki/
주혜연, 2013, ‘야스퍼스의 실존조명과 임상철학적 의의’, 한국유럽철학연구
장성민, 2004, ‘블레즈 파스칼의 행복론’, 총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