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의 성 행동에 대한 이해
1.1. 성 행동의 개념과 접근
성 행동의 개념과 접근은 다음과 같다. 성은 지속적인 발달 과정으로, 생물학적 발달과 사회문화적 학습을 통해 성 행동이 구성되어간다. 성 행동은 성 개념의 발달 수준을 반영하며, 성 개념 획득 과정에서 다양한 탐색행동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성 탐색행동은 남아와 여아 차이가 거의 없으며 성에 대한 수치심이나 죄책감 없이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따라서 성 행동에 대한 접근은 발달단계에 따른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1.2. 유아기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성 행동
유아기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성 행동은 다음과 같다.
유아는 만 0~1세 때 신체에 대한 탐색 행동을 보인다. 우연한 상황 등에서 신체의 감각적 느낌을 탐색하며, 기저귀를 갈거나 몸을 씻겨줄 때 감각적인 느낌에 반응하기도 하고 자신의 성기를 보거나 만지기도 한다. 만 2~3세 때는 자신을 남자 또는 여자라고 인식하고 다른 사람의 성을 구분할 수 있게 되며, 벗고 돌아다니기, 가족이나 또래의 벗은 모습에 호기심을 나타내며 자신의 성기를 보거나 만지기도 한다. 만 4~5세에는 자신의 성이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을 것임을 알게 되며, 엄마 아빠 놀이 시 행동을 모방하고 아기가 태어나는 과정이나 의사놀이 시 옷을 벗기려고 하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일시적으로 화장실을 엿보거나 자신의 성기를 보거나 만지기도 한다. 만 6~7세에는 외모나 행동, 옷 등 외형적인 변화가 있어도 성이 변하지 않음을 인식하고, 이성에 대한 호감을 가까이 앉거나 서기, 껴안거나 뽀뽀하기 등으로 표현하며 그림을 그릴 때 성기를 묘사하거나 일상적 대화 소재로 삼기도 한다. 또한 일시적으로 화장실을 엿보거나 자신의 성기를 만지기도 한다."
1.3. 성 행동 관련 용어 사용
유아의 성 행동 관련 용어 사용은 다음과 같다""
'유아의 성 행동'은 유아가 성장 발달하면서 나타내는 성과 관련된 행동을 의미한다""
'유아의 성 행동문제'는 유아가 해당 연령의 자연스러운 발달 특성에서 벗어나 우려하거나 위험한 수준의, 혹은 문제가 될 수 있는 성 행동 또는 행동에 따른 문제를 뜻한다""
'피해 유아'는 또래의 성 행동문제로 심리적 혹은 신체적 피해를 입은 유아를 말한다""
'행위 유아'는 성 행동문제로 또래에게 피해를 입힌 유아로, 낙인이 되지 않도록 '가해 유아'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2. 유아의 성 행동 수준별 지도 및 대응
2.1. 영유아 성 행동 수준
영유아의 성 행동 수준은 일상적인 수준, 우려할 수준, 위험한 수준으로 구분된다.
일상적인 수준의 성 행동은 다른 관심사로 주의 전환이 가능하고, 교사에 의해 중지하거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는 수준의 행동이다. 이는 성 개념의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성 탐색 행동으로, 남녀 간 차이가 거의 없으며 수치심이나 죄책감 없이 나타난다.
우려할 수준의 성 행동은 교사의 지도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거나 행동에 몰두하는 경우, 또래에게 불편감을 주는 경우, 피해 유아가 피하려 해도 계속되는 경우, 성인의 눈을 벗어나는 장소에서 시도하려는 경향이 있는 경우 등이다. 이는 지속성, 반복성, 은밀한 행동 등의 특징을 보인다.
위험한 수준의 성 행동은 우려할 수준의 행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다른 놀이에 대한 관심이 현저히 낮거나 거의 참여하지 않는 경우, 유아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려 할 때 저항하거나 분노 행동을 보이는 경우, 또래에 대한 강요나 폭력적 성향이 나타나는 경우, 피해 유아의 신체나 정서에 상처가 발생하는 경우 등이다. 이는 지속성, 반복성, 은밀한 행동, 강요 및 폭력성, 심신의 피해 발생 등의 특징을 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