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1.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자체(보건소)가 지역사회의 특성과 주민의 요구가 반영된 프로그램과 서비스 등을 기획 및 추진하는 사업을 말한다. 이 사업은 계획, 실행, 평가, 환류 단계별로 체계적인 사업운영 관리를 통하여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수행을 도모하고자 한다. 수요자 중심의 기술지원이나 지자체의 역량을 강화하면서 지자체 주도의 사업을 운영하고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적?사회적으로 환경을 분석하는 등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정책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1.2.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주요사업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주요사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기획 및 운영에서는 사업을 계획하고 실적을 관리하면서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있다.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안내서를 개정하고 이와 관련한 설명회를 운영하고 있다.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점검을 통해 지자체를 모니터링하고 컨설팅도 하고 있다.
둘째,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사업의 평가 및 환류 기능을 통해 지자체 중심의 성과관리와 평가체계를 수립하게 된다. 통합건강증진사업을 평가하고 매뉴얼을 개정하는 과정을 통해 지자체 건강증진사업의 환류를 이끌고 통합성과대회 및 콘퍼런스도 운영하게 된다.
셋째,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우수사례도 발굴하면서 이러한 사업을 확산하고자 한다. 이러한 환류 및 확산은 지자체와 시·도 지원단 등의 전문가 네트워크를 운영하면서 이루어지고 있다.
2. 영양 플러스사업
2.1. 영양 플러스사업의 이해
영양 플러스사업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에서 영양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자체에서 계획된 국민영양관리 시행계획에 포함하여 실시하고 있다"" 영양 분야에서는 건강식생활 실천 국민 인식제고, 맞춤형 영양관리 서비스, 환경조성으로 분류되며, 여기서 맞춤형 영양관리 서비스에는 임산부 및 영유아, 어린이 및 청소년, 성인, 노인, 기타로 분류된다""
'영양 플러스사업'은 임산부 및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이다""
2.2. 영양 플러스사업의 정의
영양 플러스사업의 정의는 "가구 규모별 기준, 중위소득의 80% 이하 임산부 및 영유아 중에서 영향 위험요인인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불량 등을 가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