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국대 의생명공학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바이러스와의 전쟁
1.1. 스페인 독감에 대한 고찰
1.1.1. 스페인 독감의 이름 유래
1.1.2.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통점과 차이점
1.2. 생명공학기업(바이오 기업)의 특성과 과제
1.2.1. 생명공학기업(바이오 기업)의 경영적 특성
1.2.2. 생명공학기업(바이오 기업)의 당면 정책 과제
2. 현미경 실험을 통한 세포분열 관찰
2.1. 실험 목적 및 대상
2.2. 실험 방법
2.3. 실험 결과 및 논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바이러스와의 전쟁
1.1. 스페인 독감에 대한 고찰
1.1.1. 스페인 독감의 이름 유래
스페인 독감이 유행했던 1918년 당시에는 1차 세계대전 중이었다. 참전국들은 국민들에게 이 사실을 숨기기 위해 노력했는데, 유일하게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던 스페인만이 이 사실을 언론을 통해 보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 독감은 "스페인 독감"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당시 스페인에서는 800만 명이 독감에 걸렸는데, 여기에는 당시 국왕 역시 포함되었다. 즉 신분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유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2.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통점과 차이점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바이러스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한다.
첫째, 두 바이러스 모두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며 전염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스페인 독감은 조류 독감의 일종으로 인플루엔자 A바이러스 H1N1 아형에 의해 발생했으며,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호흡기 전염병이다. 두 바이러스 모두 급격하게 전파되어 팬데믹으로 이어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 증상 면에서도 유사성이 있다.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바이러스 모두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명률이 특정 연령대에 집중된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스페인 독감은 젊은층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는 고령층에서 치명률이 높게 나타났다는 차이점이 있다.
셋째, 두 바이러스 모두 백신 개발의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의학 기술로는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원인과 특성을 정확히 규명하기 어려웠고,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신종 바이러스라 백신 개발에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다. 이로 인해 예방과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다.
넷째,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바이러스 모두 인류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었다. 스페인 독감은 당시 인구의 약 5%에 해당하는 1억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켰고, 코로나 바이러스 또한 현재까지 수백만 명의 사망자를 야기하며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전염병 대유행이 되었다.
종합하면,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염성, 증상, 백신 개발의 어려움, 인명 피해 측면에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연령별 치명률 차이와 발생 시기의 의학 수준 차이 등이 구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1.2. 생명공학기업(바이오 기업)의 특성과 과제
1.2.1. 생명공학기업(바이오 기업)의 경영적 특성
생명공학기업, 즉 바이오 기업은 생명 공학 기술(Biotechnology)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유용물질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바이오산업은 정보통신(ICT) 산업에 이어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3343&cid=40942&categoryId=32322
두산백과, 두산, 동물세포 체세포 분열
http://geekslop.com/2014/big-bang-theory-intro-opening-sequence-frame-by-frame-analysis-reference/6cmabkq-imgur-jpg
The image of the ascaris bivalent.
https://en.wikipedia.org/wiki/Bivalent_(genetics)
Wikipedia about Bivalent.
https://en.wikipedia.org/wiki/Locust
Wikipedia about Locust.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7657&cid=60261&categoryId=60261
생명과학대사전, 강영희, 2014 (염색체 염색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3961&ref=y&cid=60261&categoryId=60261
생명과학대사전, 강영희, 2014 (헤마톡실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1745&ref=y&cid=60261&categoryId=60261
생명과학대사전, 강영희, 2014 (퀴나크린염색법)
이명석. "20세기 초 스페인 독감과 2020년 코로나19가 아프리카 지역에 끼친 영향에 대한 비교분석과 생태선교적 제언." 선교와 신학 52.- (2020): 139-170.
바이오 기업의 가치 관련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정우연(가톨릭대학교 경영학부 박사과정) / 2019. 06. 08 / 하계 국제학술 대회 글로벌 경영학회
바이오분야 산업화 촉진을 위한 중장기 전략 및 세부 추진방안 연구 / 최종훈(한국바이오협회) / 2010. 12 / 한국바이오협회 지식경제부
한국 바이오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 문선웅 / KIET 산업경제
바이오기술경영 및 규제에 대응하는 서울시의 바이오산업 추진 방향 고찰 / 한국바이오협회 김문기 상무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