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딥페이크서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의 개념과 발달
1.1. 인공지능(AI)과 딥러닝의 개념
1.2. 딥페이크 기술의 정의 및 원리
1.3. 딥페이크 기술의 역사적 발전
2. 딥페이크 기술의 활용과 부작용
2.1. 딥페이크 기술의 긍정적 활용 사례
2.2. 딥페이크 기술의 악용 사례
2.3. 딥페이크 기술로 인한 사회적 문제
3. 딥페이크 기술에 대한 규제와 대응
3.1. 국내외 딥페이크 규제 현황
3.2. 딥페이크 탐지 기술의 개발과 한계
3.3. 효과적인 딥페이크 규제 방안
4. 결론 및 향후 과제
4.1. 딥페이크 기술 발전에 따른 전망
4.2. 기술 개발자의 윤리적 책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의 개념과 발달
1.1. 인공지능(AI)과 딥러닝의 개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란 인간의 지능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문장이해, 영상인식, 음성인식, 학습 등의 기능을 컴퓨터가 실현하는 기술이다. 즉, 컴퓨터가 사람과 유사한 방식으로 지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자연언어처리, 전문가시스템, 영상 및 음성 인식, 이론 증명, 신경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딥러닝(Deep Learning)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인간의 뇌 구조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된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에 기반한 머신러닝 기법이다. 딥러닝은 입력 계층과 출력 계층 사이에 여러 개의 은닉 계층을 가지는 심층신경망, 나선형신경망, 재귀신경망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딥러닝은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성능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어 빅데이터 기술과 함께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단점이다.
1.2. 딥페이크 기술의 정의 및 원리
딥페이크 기술이란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하여 사람의 얼굴이나 특정 부위를 합성해 가공 제작한 영상을 의미한다. 딥페이크 기술은 모델 생성자와 모델 감별자가 상호작용하며 결과물을 내놓기 때문에 실제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로 영화계에서는 실제 촬영을 하지 않아도 생생한 영상을 구현해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마이헤리티지라는 사이트에서는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해 세상을 떠난 가족이나 조상의 사진을 영상으로 바꾸어 사람들에게 새로운 감동을 주기도 한다. 이처럼 딥페이크 기술은 신원보호가 필요한 사람에게 안전장치가 될 수도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 활용과 발전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
1.3. 딥페이크 기술의 역사적 발전
딥페이크 기술의 역사적 발전은 인공지능과 기술의 발달 과정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열망은 고대부터 존재해왔다고 볼 수 있다"" 종교적인 신념과 더불어 인간이 창조할 수 있는 존재를 만들고자 하는 욕구가 다양한 문학 작품에 반영되어 왔다""
이후 1800년대부터는 영화와 예술 작품을 통해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이 표현되기 시작했다"" 메트로폴리스나 아톰 같은 초기 SF영화들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이러한 상상의 기술들이 점차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공지능 윤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딥페이크 기술 또한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맥을 같이 한다"" 1997년 IBM의 '딥 블루'가 체스 챔피언을 이기면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능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고, 2011년 IBM의 '왓슨'이 퀴즈쇼 챔피언을 제치는 등 인공지능의 능력이 점차 향상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14년 딥페이크 기술이 등장하였고, 이후 점차 정교해지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초기에는 연예인 얼굴을 합성한 가짜 포르노 영상의 제작과 유포로부터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정치적 선동, 금융사기 등 다양한 악용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딥페이크 탐지 기술 개발에도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딥페이크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딥페이크가 야기하는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법적, 윤리적 규제와 함께 기술적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2. 딥페이크 기술의 활용과 부작용
2.1. 딥페이크 기술의 긍...
...
참고 자료
국경완. "인공지능 기술 및 산업 분야별 적용 사례." 주간기술동향 20 (2019): 15-27.
최예림, 김관호. (2016). 인공지능 개요 및 적용 사례. ie 매거진, 23(2), 23-29.
사진출처: LG CNS 블로그
사진출처: 로톡뉴스
구형일. (2018). 인공지능 및 딥러닝 동향. 전기의세계, 67(7), 7-12.
박준, 조영호. (2019). 딥페이크 영상 탐지 관련 기술 동향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724-726.
박소영. (2019). 인공지능의 역사. 인간·환경·미래, (22), 91-118.
인공지능가이드북(부산시교육청)
박준, 조영호. (2019). 딥페이크 영상 탐지 관련 기술 동향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724-726.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95595
딥페이크(deep fake)기술을 이용한 허위영상물 제작 및 반포죄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김재현, 한국입법학회, 2021, 입법학연구, Vol.18 No.1
딥페이크(deep fake)기술을 이용한 허위영상물 제작 및 반포죄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최순욱(너비의깊이), 오세욱(한국언론진흥재단), 이소은(서울대학교),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미디어, 젠더 & 문화미디어,젠더&문화, 제34권 제3호
https://blog.naver.com/pac3083/221982684562
http://m.ddaily.co.kr/m/m_article/?no=192660
https://www.hani.co.kr/arti/science/future/911878.html#csidx47cbe89c223350bba2a4e959718de0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