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론적 배경
1.1. 문해교육의 개념
유네스코는 1962년에 비문해자 교육 전문가 회의에서 건의문을 채택할 때에 문해의 정의를 집단이나 지역사회 안에서 효과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상태이며 2-3년간의 초등학교 수준에 해당하는 읽기, 쓰기, 셈하기의 기술을 가진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러나 사실상 문해의 기준은 시대와 국가의 사정에 따라서 달리 적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도 한국교육개발원이 실시한 사회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문해 수준은 초등학교 6학년의 수학능력 정도로 보아야 할 것으로 나타난 바 있으나 200년대에는 국민의 의무교육 수준인 중학교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해의 개념 변화는 곧 기초문맹이나 문자문맹이라는 전통적 의미의 문맹에서부터 기능적 문맹 더 나아가서는 사회적 문맹, 구조적 문맹, 의식의 문맹 단계로까지 그리고 그 반대 급부적인 의미에서의 문해의 개념으로 전환,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1.2. 성인 문해교육의 이해와 특성
성인 문해교육의 이해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인 문해교육은 영·미에서는 'adult education', 독일에서는 'Erwachsenbildung', 프랑스에서는 'éducation des adults'라고 불리며, 이는 공통적으로 교육의 대상이 아동이나 청소년이 아닌 성인을 위한 교육을 의미한다. 성인 문해교육은 자발성, 비제도화, 경험 관련성, 목적지향성, 참여성, 자각적 자기교육 등의 특성을 지닌다.
첫째, 자발성은 성인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강좌를 스스로 판단해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들은 자기 동기적, 자기 계획적,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에 접근한다.
둘째, 비제도화는 성인 학습이 대부분 비제도권에서 이루어지며, 학습자들이 학습목표 개발, 주제 선정, 학습방법 등을 결정하는데 직·간접적으로 참여한다는 특성이다.
셋째, 경험 관련성은 성인교육이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경험과 관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인교육자는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수업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목적지향성은 성인학습자들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학습상황에 참여한다는 것을 뜻한다. 목적 지향적 학습자, 활동 지향적 학습자, 학습 지향적 학습자로 구분된다.
다섯째, 참여성은 성인학습자가 자신의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교육자는 학습의 장면에 학습자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
여섯째, 자각적 자기교육은 성인교육의 본질이 자각적인 자발성에 기초한 자기교육이라는 특성을 뜻한다. 성인교육은 최고의 단계인 자유로운 이성의지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성인 문해교육의 특성은 성인교육과 아동교육의 차이를 잘 보여준다. 성인학습자는 자기 주도적이고 경험을 중요시하는 반면, 아동학습자는 의존적이며 경험보다는 교과과정이 중요하다. 성인학습자의 학습준비도는 개인차가 크지만 아동의 학습준비도는 표준화된다. 또한 성인교육은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성과 지향적인 반면, 아동교육은 미래 성인을 대비하는 교과목 지향적이다.
1.3. 문해교육의 필요성
문해교육의 필요성은 개인의 해방과 자유를 위한 측면, 교육의 권리로서의 측면, 그리고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한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문해교육은 개인의 해방과 자유를 위해 필요하다. 문해교육을 통해 비문해자들은 문화세계를 만드는 주체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깨닫고, 문화를 습득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창조하고 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이를 통해 개인의 해방과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다.
둘째, 문해교육은 교육받을 권리의 차원에서 필요하다. 대한민국 헌법 31조에는 모든 국민은 적어도 초등교육과 법률이 정하는 교육을 받을 의무를 지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즉, 문해교육은 개인의 권리로서 인정되어야 하며, 학령기에 의무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이들에게도 성인이 된 이후에라도 보상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문해교육은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해 필요하다. 문해교육을 통해 개인은 자신이 속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게 된다. 문해력은 단순한 읽기, 쓰기 능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다하기 위한 기본 능력이기 때문에, 문해교육은 개인의 사회문화적 참여와 적응을 위해 필수적이다.
종합하면, 문해교육은 개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