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행동수정 포함된 언어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사소통장애의 개요
1.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1.2. 의사소통장애의 유형
2.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2.1. 구어장애의 원인
2.1.1. 조음음운장애의 원인
2.1.2. 유창성장애의 원인
2.1.3. 음성장애의 원인
2.2. 언어발달장애의 원인
3. 의사소통장애의 치료방법
3.1. 구어장애 치료
3.1.1. 조음음운장애 치료
3.1.2. 유창성장애 치료
3.1.3. 음성장애 치료
3.2. 언어장애 치료
3.2.1. 언어이전 활동에 초점을 맞추는 치료
3.2.2.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를 증가시키는 치료
3.2.3. 의사소통능력을 확장하는 치료
3.2.4. 보완대체의사소통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사소통장애의 개요
1.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의사소통장애는 구어, 언어, 청각, 읽기 및 쓰기 기술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신경학적, 감각적, 인지적, 또는 정서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의사소통장애의 정의는 개인이 타인과 정보, 사상, 감정 등을 교환하는 능력에 심각한 결함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의 결함으로 인해 개인의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이 저하되는 특징을 보인다. 의사소통장애에는 청각장애, 언어발달지체, 말더듬, 조음장애, 음성장애 등이 포함된다.
1.2. 의사소통장애의 유형
의사소통장애의 유형에는 구어장애와 언어장애가 포함된다. 구어장애는 발성, 조음, 유창성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이며, 언어장애는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이다.
구어장애에는 조음음운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가 포함된다. 조음음운장애는 말소리 산출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이며, 유창성장애는 말더듬과 같이 말의 흐름이 유창하지 않은 장애이다. 음성장애는 목소리의 질이나 강도, 음도, 음질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언어장애에는 언어발달지연, 언어이해 및 표현 능력 저하, 화용언어 사용의 어려움 등이 포함된다. 언어발달지연은 아동의 언어발달이 또래에 비해 늦어지는 경우이며, 언어이해 및 표현 능력 저하는 단어, 문장, 담화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화용언어 사용의 어려움은 언어를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이 의사소통장애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각의 장애는 발생 원인과 특성, 치료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개별화된 치료가 필요하다.
2.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2.1. 구어장애의 원인
2.1.1. 조음음운장애의 원인
조음음운장애의 원인은 조음기관의 문제뿐 아니라 지적장애, 청각장애, 구순구개열, 뇌성마비, 적절한 발음습관을 배울 수 있는 모델이 없는 경우 등 매우 다양하다. 조음기관이란 음소를 산출하는 데 관련된 안면의 여러 구조로써 치아, 혀, 입술, 경구개, 연구개 등의 구조로, 이러한 구조들에 결함이 생기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어 조음장애를 나타낸다. 조음기관의 근육을 통제하는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근육의 움직임 등에 문제가 나타나는 신경운동결함은 조음장애를 일으키며, 조음장애에는 마비성 구어장애(darthria), 구어실행증(apraxia), 발달성 구어실행증(developmental verbal dyspraxia)등이 있다. 조음음운장애 원인으로는 말소리를 구분하여 듣지 못하는 말소리의 지각의 문제, 구강감각 기능의 문제 그리고 개인적 요인으로 연령, 지능, 성별, 형제, 언어발달 등이 포함된다. 대략 8세까지는 조음음운능력과 연령 간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지적장애아동에게서 더 많은 조음음운장애가 발생하며, 여아보다는 남아에게서 다소 높은 조음음운장애 발생률을 보인다. 또한 언어장애가 있는 아동은 조음음운장애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2.1.2. 유창성장애의 원인
유창성장애의 원인은 생리학적 요인, 심리-언어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등으로 다양하다.
생리학적 요인으로는 구어 산출 시 양측 대뇌의 지배를 받아서 언어와 관련된 중추신경계의 충돌로 구어 산출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유연하게 전달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말 정보처리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말이 산출되기 직전에 내적오류를 자연스럽게 수정하지 못하여 음, 음절, 낱말 등을 반복하거나 연장하거나 막힘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전학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심리-언어적 요인의 경우, 말더듬은 특정 언어 환경은 다른 환경보다 더 많은 언어운동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언어 환경에서 더 많...
참고 자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유창성장애, 이승환
최신 언어치료학개론, 정옥란, 김하경, 황영진 역
이짐어보기, 사례로 알아보는 말더듬 : 유창성 장애치료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argym&logNo=221326809018&parentCategoryNo=&categoryNo=9&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심리학개론> 교안,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2022
“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춘경/이수연/이윤주/정종진/최중용, 학지사, 2016
“행동수정 및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해”, 김미경, 박영스토리, 2019
임수현.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p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