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양 플라스틱 오염 및 분야간 협력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플라스틱의 정의 및 문제 제기
1.2. 연구 목적과 방법
2. 미세 플라스틱과 환경 문제
2.1.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과 거동
2.2. 미세 플라스틱의 환경 및 건강 영향
3. 미세 플라스틱 관리와 정책 현황
3.1. 국내외 미세 플라스틱 관리 정책
3.2. 주요 국가 및 국제기구의 대응 현황
4. 미세 플라스틱 융합 비즈니스 모델
4.1. 융합 비즈니스 모델의 필요성
4.2. 융합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구성 요소
4.3.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고려사항
5. 미세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
5.1.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 강화
5.2. 국제 협력 및 거버넌스 구축
6. 결론 및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플라스틱의 정의 및 문제 제기
플라스틱은 그리스어 "plastikos"에서 유래한 것으로 성형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 세기 동안 인류는 성형이 쉬우며,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꿈의 소재인 플라스틱을 다양한 종류로, 저렴한 가격에 맘껏 소비하는 행운을 누렸다. 이로 인해서 플라스틱은 대규모로 무분별하게 사용이 되었다. 사용량은 1950년 연간 2백만 톤 규모에서 2015년 연간 407백만 톤으로 약 200배 이상 비약적으로 증가하였고, 시장은 2015년 기준으로 미화 1조 달러 (한화 1,200조 원)가 넘는 천문학적 규모에 이르고 있다. 위와 같은 상황이라고 하면, 2050년에는 플라스틱 생산량이 약 1,124백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대량생산과 소비가 된 플라스틱이 적절한 재활용, 처리가 없이 무분별하게 폐기가 되면서 자연환경의 오염은 물론 생태계의 교란과 인류의 삶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었다. 미세 플라스틱은 환경에 대한 심각한 문제로 여겨진다. 작은 입자로 분쇄된 플라스틱은 수질, 해양 생태계, 동식물 및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대한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1.2. 연구 목적과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종합적이고 혁신적인 대안으로써의 융합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환경에 맞는 미세플라스틱 발생 및 거동을 파악할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 배출량의 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매립과 소각 방식을 탈피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 분해와 자원화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적으로 미세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 접근과 더불어 국가와 사회적으로는 미세 플라스틱 검출률 향상과 자원화 기술 적용을 통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대체 소재 및 기술 생산 관련 기업과 미세플라스틱 생분해와 재활용기술 선점으로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관련 분야의 신규 사업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 미세 플라스틱과 환경 문제
2.1.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과 거동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과 거동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다. 미세 플라스틱은 주로 대기, 수질, 토양 등에서 발견되며, 큰 플라스틱 폐기물이 분해되거나 작은 입자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고, 화학 및 산업 공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섬유류 세탁 과정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이버, 화장품이나 클렌징 제품에서 사용되는 비소성 플라스틱 입자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환경에 방출된다.
미세 플라스틱은 작은 크기로 인해 물고기, 조개, 바다 생물 등에 흡수되어 식물이나 동물의 내부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생태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를 섭취한 사람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2차 미세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환경에 노출되면서 햇빛과 미생물 등의 작용에 의해 쪼개지면서 발생한다.
해양에서 발견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크기를 살펴보면, 크기가 작아질수록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과 거동은 복잡한 문제로, 다양한 원인과 경로를 통해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 미세 플라스틱의 환경 및 건강 영향
미세 플라스틱의 환경 및 건강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미세 플라스틱은 주로 대기, 수질, 토양 등에서 발견되며, 큰 플라스틱 폐기물이 분해되거나 작은 입자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화학 및 산업 공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물고기, 조개, 바다 생물 등에 흡수되어 식물이나 동물의 내부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생태계에 손상을 입히고, 사람들이 이러한 동물을 섭취할 때 인간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리적 독성 측면에서 미세 플라스틱은 사람의 호흡기와 소화기 상피세포를 통해서 체내로 흡수된다. 흡수된 미세 플라스틱은 조직염증, 세포증식, 괴사, 면역세포 억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호흡기에 노출되면 미세 플라스틱 입자 독성, 화학적 독성 등에 의해서 간질성 폐 질환을 유발하여 기침, 호흡곤란, 폐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나노 플라스틱은 인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이동하여 인체의 상피세포, 점막, 장관, 혈액을 타고 림프계와 간담도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된 나노 플라스틱은 태반과 혈액 뇌 장벽, 장관, 폐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화학적 독성 측면에서 플라스틱의 영향은 플라스틱 자체의 구성성분에 의한 직접적인...
참고 자료
Geyer, R., Jambeck, J. R., & Law, K. L. (2017). Production, use, and fate of all plastics ever made. Science Advances, 3(7), e1700782.
Wright, S. L., & Kelly, F. J. (2017). Plastic and human health: A micro issu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1(12), 6634-6647.
Lebreton, L. C. M., van der Zwet, J., Damsteeg, J. W., Slat, B., Andrady, A., & Reisser, J. (2017). River plastic emissions to the world's oceans. Nature Communications, 8, 15611.
Jambeck, J. R., Geyer, R., Wilcox, C., Siegler, T. R., Perryman, M., Andrady, A., ... & Law, K. L. (2015). Plastic waste inputs from land into the ocean. Science, 347(6223), 768-771.
Ellen MacArthur Foundation. (2016). The New Plastics Economy: Rethinking the future of plastics. [Report]
이충호, 김지윤, & 정연섭. (2020). 미세 플라스틱 흡수소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평가. 한국환경기술학회지, 21(3), 297-303.
문현주, & 최경심. (2021).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미세 플라스틱 감소를 위한 연구. 한국폴리머학회지, 45(3), 409-416.
박찬열, 김정한, & 양미경. (2020). 미세 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친환경 소재 활용.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3(1), 23-31.
네이버, 환경 보전을 위한 환경 관련 기구 및 국제 협력의 중요성,
천재 학습백과, https://koc.chunjae.co.kr/Dic/dicDetail.do?idx=36495 , 2020.6.10.
경상북도 재난/안전/환경/재해, https://www.gb.go.kr/Main/open_contents/section/disaster/index.html
(환경재해 – 국제기구현황, 국제 환경협약 현황), 2020.6.10.
죽은 새 배에 가득찬 이 물건... 인간을 향한 무서운 '경고', 오마이뉴스(시민기자)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530734&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 2020.6.11.
홍영습. (2018). 미세플라스틱의 인체건강위협. 대한의학회 e-뉴스레터, 100. http://kams.or.kr/webzine/18vol100/index.php?main_num=4
한선기. (2020).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보건학회지, 46(5), 610-626. https://www.e-jehs.org/journal/view.html?pn=search&uid=1992&vmd=Full&all_k=plastic
자원순환. (n.d.). 환경부. https://me.go.kr/home/web/index.do?menuId=10265
정책실명제. (n.d.). 환경부. https://www.me.go.kr/home/web/index.do?menuId=10536
법령. (n.d.).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main.html
이성희. (2022). 국제사회의 플라스틱 규제 현황과 시사점. KIEP 세계경제포커스,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