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재소요 계획 mrp"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재소요계획(MRP) 시스템
1.1. MRP 시스템의 개념과 발전과정
1.2. MRP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특징
1.2.1. 기능
1.2.2. 구성요소
1.2.3. 특징
1.2.4. 효과
1.2.5. 문제점
1.3. MRP 시스템의 도입과 적용 사례
1.3.1. 도입방식
1.3.2. 도입·적용의 성공사례
1.3.3. 도입·적용의 어려움
1.4. MRP 시스템의 발전 방향
1.4.1. ERP로의 발전
1.4.2. DDMRP로의 발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재소요계획(MRP) 시스템
1.1. MRP 시스템의 개념과 발전과정
MRP 시스템의 개념과 발전과정은 다음과 같다.
MRP(Materials Requirements Planning)는 최종품목에 대한 예측수요를 토대로 그것을 생산하는데 요구되는 부품이나 조립품들이 언제, 얼마만큼 필요한지 그리고 이들을 언제 발주하여 언제 받아야 하는지를 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보시스템이다. 즉, 최종품목의 생산수량과 시기를 나타내는 기본생산일정계획을 근거로 대규모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그 최종품목을 생산하는데 요구되는 특정 자재와 부품들의 정확한 양과 자재를 주문하여 받아야 하는 시기를 밝혀주는 생산일정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자재소요계획이다.
MRP 시스템은 단순자재소요계획으로 시작해 주문점/주문량 결정시스템, MRP, 폐쇄순환(폐쇄경로) MRP, MRPⅡ까지 연계하여 발전되어 왔다.
단순자재소요계획은 자재관리 초기에 제시되었던 부품 소요계획으로, 최종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구성부품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순한 계획방법이었다. 이후 주문점/주문량 결정시스템이 등장했는데, 이는 특정주문점수량을 기준점으로 구성부품의 소요수량을 재고수준이 주문점수량에 도달할 때의 수량으로 간주하여 주문하도록 하는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자재소요시기결정에 매우 큰 난점을 지니고 있어 재고자산에의 과도한 투자가 나타나거나, 재고 고갈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속수요품목의 효과적인 생산 및 자재관리 시스템을 원리로 1960년대 중반 등장한 MRP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MRP 시스템은 주문점/주문량 결정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기법으로, 주생산일정계획과 자재명세서 등을 이용하여 최종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부품 및 자재의 총소요량을 산출하고 재고기록철에 기록된 보유재고량을 차감하여 순소요량을 결정하며 자재를 보충하는데 소요되는 조달기간을 차감하여 순소요시기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후 MRP 시스템은 생산능력을 감안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폐쇄회로 MRP 시스템으로 발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이나 스케줄링 알고리즘 등 생산활동을 분석하는 도구로 인해 대체적 계획들에 대한 비용들을 계상할 수 있게 된 MRPⅡ시스템이 등장하였다.
1.2. MRP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특징
1.2.1. 기능
MRP 시스템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요한 물자를 언제, 얼마를 주문할 것인지를 알려준다. MRP 시스템은 최종제품의 생산수량 및 일정을 기준으로 그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부품 등의 모든 자재의 소요량 및 소요시기를 역산하여 자재조달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일정관리와 재고관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둘째, 경영자가 주문 내지 제조 계획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다. MRP 시스템은 경영자에게 주문 및 제조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전에 검토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언제 주문을 독촉하고 늦출 것인지를 알려준다. MRP 시스템은 납기일을 관리하고 필요시 주문 독촉 및 지연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생산 및 조달 활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상황변화에 따라 주문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MRP 시스템은 수요, 공급, 조달능력 등의 변화에 따라 주문을 변경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대응력을 높인다.
다섯째, 상황의 완급도에 따라 자본조달 및 생산작업을 적절히 진행시킨다. MRP 시스템은 납기 완급도를 고려하여 자재 조달과 생산 작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여섯째, 능력계획에 도움을 준다. MRP 시스템은 필요 자재의 소요량과 시기를 제공함으로써 생산 능력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준다.
1.2.2. 구성요소
MRP 시스템의 구성요소에는 주생산일정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ing),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 File) 등이 있다.
주생산일정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ing)은 최종제품의 제품별 생산량과 생산완료시기를 나타내는 생산계획으로, 계획기간을 단위시간(time bucket)으로 나누어 수립한다. 이를 통해 모든 최종 품목에 대한 생산 계획의 윤곽을 파악할 수 있다.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는 제품을 구성하는 자재와 자재의 결합방법 등 각 품목에 관한 정보와 소요량을 제시하는 표이다. 제품별로 계층적으로 작성되며, 필요한 하위단계 ...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함용석, 박현성 (2017), ”MRP실습강의 효과성 제고 방안“, 상품연구, 36-37
이광빈 (2017), ”Industury 4.0과 MRP의 문제점“, 대한산업공학회, 11-17
강금식 (1982), ”MRP:Beyond the Order-Launching-Only System“, 한국경영과학회, 61-62
김형욱 (1988), ”MRP의 현황, 전망 및 국내개발전략–중소기업형 MRP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이정숙, 장성용 (2014),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한 MRP와 Demond Drive MRP의 성과 비교에 관하나 연구“, 한국SCM학회, 126-129
전용일 (1983), ”工程管理를 위한 MRP시스템의 機能에 관한 小考“, 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 131-140
이홍배 (19890), ”예측오차로 인한 MRP 불확실성 및 그 평가에 관한 고찰“, 한국산업경제학회, 78-80
김도환 (1986), ”종합생산관리시스템 MRP System Approach“ 한국경영과학회, 65-70
박진우 (1996), ”통합정보관리(ERP, MRP)기술전략“ 한국정보과학회. 83-90
하충식 (1994), ”자재소요계획기법(MRP)의 도입효과 연구“, 대구대학교, 20-35
박진균 (1993), ”MRP 시스템의 현실적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20-27, 50-60
이순룡(2008), 제품 서비스 생산관리론, 법문사.
김성철(2005), 디지털시대의 생산운영관리, 시그마프레스.
정남기(2013), TOC 재고관리, 시그마 프레스.
박대홍, "건설 현장 자원소요예측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공학석사학위논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