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승모판협착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승모판협착증
1.1. 정의 및 원인
1.2. 병태생리 기전
1.3. 진단방법
1.3.1. 심장 초음파 검사
1.3.2. 심도자술
1.4. 증상
1.5. 치료와 간호
1.5.1. 내과적 치료
1.5.2. 경피적 승모판 성형술
1.5.3. 판막 성형술
1.5.4. 판막 치환술
1.6. 예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승모판협착증
1.1. 정의 및 원인
승모판협착증은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판막이 좁아지게 되면 판막이 잘 열리지 않아 심장의 이완기에 혈류가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흐르는 것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승모판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류마티스 열이다. 류마티스 열이 심내막을 침범한 류마티스 심내막염에서는 승모판막이 섬유화되어 두꺼워지거나 석회화되는데 이 경우 승모판구가 좁아져서 혈류 장애를 일으킨다. 판막이 손상을 받으면 점차 좁아져 좌심방에서 좌심실 쪽으로 혈액의 이동이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좌심방 내압이 상승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좌심방벽이 비대해진다. 또한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발생 빈도가 높다.
1.2. 병태생리 기전
승모판협착증의 병태생리 기전은 다음과 같다.
류마티스 열은 칼슘의 축적과 조직의 섬유화를 통해서 승모판막을 비대하게 한다. 점차적으로 승모판막의 소엽들이 융합되고 경직되면서 좁아지고 운동성이 적은 판막으로 진행된다. 건삭도 또한 짧아지며 두꺼워지고, 그 결과 승모판의 개구부가 정상적으로 4~6㎠이던 것이 1㎠보다 적어진다.
승모판이 점진적으로 협착되면서 좌심방내에 남아있는 혈액의 양이 늘어나므로 좌심방의 압력이 증가된다. 협착된 판막을 통해 혈액을 밀어내는데 필요한 수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상작용으로 좌심방 비대가 나타난다. 증가된 좌심방압력은 폐고혈압과 울혈을 야기한다.
혈압이 더욱 심해짐에 따라 더욱 높아진 폐동맥 압력은 우심실의 기능을 방해하고 우심부전을 촉진한다. 좌심실은 이완기 동안에 불충분한 혈액을 공급받기 때문에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결국은 좌심실의 위축을 가져온다.
승모판협착증이 있는 사람의 약 50%에서 심방세동이 나타난다. 심방세동이 나타나면 한번의 통합된 심방수축으로부터 이루어진 정상적인 이완기말 박출은 없어지고 적은 양의 혈액이 심방수축기동안 심실을 채우게 된다. 효과적인 심방의 수축 없이 혈액은 심방내에 고이게 되고 결국 혈전이 형성되어 뇌·신장·비장·사지에 색전증을 발생시킨다.
1.3. 진단방법
1.3.1. 심장 초음파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는 대...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상권) - 현문사 2019년 / 유해영 발행
서울아산병원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59
세브란스병원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department/cardiology/disease/view.asp?con_no=20304&page=1&SearchField=&SearchWord=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nuh.org/intro.do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8b&CONT_SRC=CMS&CONT_ID=1778&CONT_CLS_CD=0010200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