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색의 이해
1.1. 색의 정의와 현상
빛깔[색깔]은 빛이 사물에 비춰 드러난 물체의 성격을 말한다. 예를들어 "색깔 있는 집단"이라고 흔히 말한다. 여기서 "깔"은 집단의 특성, 즉 개성을 의미한다. '빛깔이 곱다',빛깔이 좋다'라는 표현은 그 대상의 보이는 모습의 상태가 좋다 또는 내 마음에 든다 등으로 해석된다.
현상색이란, 색이라는 것이 인간이 느끼는 지각에 앞서서 어떠한 광원에 따른 물체의 여러 가지 현상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을 말하는 것. 그러한 물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여러 현상이 시간이나 공간안에 표현이 되고 그 현상을 우리가 눈으로 지각하게 됩니다. 광원에 따라서 물체의 여러 가지 물리적인 현상들이 일어났을 때 그러한 현상들이 시간이나 공간안에 표현이 되고 그러한 현상을 우리가 지각하게 되는 것을 빛에 의해서 시공간에 일어나는 현상을 새의 현상성이라고 하고 현상색이라고 한다.
유리잔,투명한 물체와 같은 3차원공간에서 덩어리감이나 부피감으로 꽉 차 보이는 색을 공간색이라 한다. 빛을 투과시키는 물체를 통과해서 나오는 빛의 의해서 지각이 되는 색을 말한다. 공간색은 물체색처럼 투명한 상태에서 일정한 두께가 형성될 때 지각되는 색이다. 눈앞에 있는 3차원공간을 어떠한 색이 가득 채우고 있을 때 그 공간에 있는 색이 눈으로 지각되는 것을 말한다.
1.2. 색의 속성
색의 속성은 크게 색상, 명도, 채도로 구분할 수 있다.
색상이란 그 색채만이 고유하게 지니고 있는 고유의 색상을 의미한다. 사람은 약 100가지의 색상을 구분할 수 있으며, 색상환을 통해 계통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색상환에는 유사색과 반대색이 존재하는데, 유사색은 색상차가 작은 것이고 반대색은 색상차가 큰 것이다.
명도는 빛의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광속에 따른 밝기의 차이를 느끼는 것이 명도이며, 명도가 높을수록 밝고 명도가 낮을수록 어둡게 느껴진다.
채도는 색깔의 순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채도가 높으면 색이 선명하고 채도가 낮으면 탁하게 느껴진다. 순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고, 흰색·회색·검정색이 섞일수록 채도가 낮아진다. 고채도와 저채도의 차이를 통해 다양한 감정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이처럼 색상, 명도, 채도는 색의 3속성으로, 이들 각각의 특성과 조화를 통해 다양한 색채를 구현할 수 있다.
1.3. 색의 심리와 감정
색에 대한 각 개인의 감정이나 연상은 일생을 통해 쌓아온 일반적인 경험, 어린 시절부터의 언어와 사고에 깊이 뿌리박힌 경험의 산물이기 때문에 심리적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다"". 색은 자극을 줄 수도 있고, 사람을 평온하게 할 수도 있으며, 흥분시키거나 진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더운 느낌이나 추운 느낌, 짜증스러움이나 즐거움 등을 전달하기도 한다. 나아가 정열을 불러일으키거나 정신력을 높여주기도 하고, 진정을 시켜주기도 한다. 따라서 색이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색의 심리적 효과는 크게 감정에 대한 효과와 그 외의 감각에 대한 효과, 즉 공감각 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감정에 대한 효과는 색이 눈, 귀, 코, 혀, 피부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으면 이 자극이 마음에 영향을 주어 "뜨겁다", "차갑다" 또는 "기쁘다", "슬프다" 등의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리고 공감각 효과는 색을 보면 소리, 맛, 질감 등 다른 감각이 연관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노란색을 보면 맑고 밝은 음색이 연상되고, 빨간색을 보면 뜨겁고 날카로운 소리가 들리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색의 3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심리적 효과를 나타낸다. 색상에 따라 따듯한 느낌의 난색계열(빨강, 주황, 노랑 등)과 차가운 느낌의 한색계열(파랑, 초록, 보라 등)로 나뉜다. 명도에 따라서는 명도가 높은 밝은색은 가벼운 느낌을, 명도가 낮은 어두운색은 무거운 느낌을 준다. 채도에 따라서는 채도가 높은 선명한 색은 화려하고 활동적인 느낌을, 채도가 낮은 탁한 색은 부드럽고 정적인 느낌을 주게 된다"".
이처럼 색이 심리와 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이를 적극 활용한 컬러 마케팅 전략을 펴고 있다. 색은 순간적으로 제품에 대한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이미지와 잘 부합하는 색상을 선택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자 한다"".
2. 색의 대비 효과
2.1. 동시 대비
동시 대비란 두 가지 이상의 색채가 동시에 존재할 때 상호간의 색채가 두드러져 보이는 현상이다.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이상의 색채는 주변에 의해 서로 영향을 끼쳐 그들의 고유한 성질과는 다르게 보이게 된다. 특히 사물의 크기가 작을수록, 그리고 관찰자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러한 대비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이는 망막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으로 설명되는데, 색채가 인접한 경우 그 색채 간의 대비가 심해짐에 따라 색채 고유의 특성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시 대비 효과는 시각적 착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때로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색채 활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2.2. 계시 대비
계시 대비란 계시적 색 대비로 시간차이에 의한 대비이다. 강한 색을 보고 난 후에는 반대색이 잔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계시 대비의 특징이다. 연속적으로 2가지 이상의 색을 보았을 때 동시대비와 상반되며 계속대비 연속대비라고도 한다. 유채색의 음성적 잔상효과가 계시 대비의 특징이다.
계시 대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강한 색을 보고 난 후에는 반대색이 잔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빨간색을 본 후 노란색을 보게 되면 빨간색의 보색인 청록색의 잔상이 황록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처럼 시간차이에 의해 반대색이 지각되는 것이 계시 대비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2.3. 색상 대비
색상 대비는 색상차이에 따른 대비 효과를 의미한다. 같은 색이라도 배경색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며, 색상 간의 차이가 클수록 그 대비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색상 대비에서 가장 강렬한 대비 효과를 보이는 것은 보색 관계에 있는 색상들 간의 대비이다. 보색은 색상환상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색상으로, 빨강-녹색, 노랑-청색, 파랑-주황색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보색 대비는 매우 대조적이면서도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한편, 유사색 대비는 색상차이가 작은 색상들 간의 대비로, 부드럽고 조화로운 이미지를 연출한다. 예를 들어 노랑과 주황, 파랑과 청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색상 대비는 색의 대비 효과를 활용하여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거나, 원하는 분위기와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렬한 보색 대비는 주목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유사색 대비는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색상 대비는 시각적 효과와 표현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디자인, 예술,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4. 명도 대비
명도 대비는 색채 간의 밝고 어두운 정도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대비 효과이다. 배경이 되는 색이 밝으면 그 위에 있는 색은 어둡게 보이고, 배경이 어두우면 그 위에 있는 색은 밝게 보이는 현상이다. 이러한 명도 대비 효과는 색채 구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배경이 밝으면 그 위에 있는 색은 어둡게 보이는데, 이는 사물의 윤곽을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해준다. 반대로 배경이 어두우면 그 위에 있는 색은 밝게 보인다. 이처럼 밝고 어두운 정도의 대비가 색채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