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팀 협력 모성 및 아동 긍정적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
1.1.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의 중요성
1.2.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을 위한 요건
1.2.1. 보건의료 팀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직업적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세 가지 기술이 필요하다.
1.2.2.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1.2.3. 보건의료 팀의 성공적인 협력을 위한 전략
1.3. 보건의료 팀 내에서 간호사의 역할
1.3.1. 서비스 전달의 중심역할에는 '조정자와 협력자' 의 역할이 있다.
1.3.2. 대상자 중심역할
1.3.3. 인구집단 중심역할
1.4.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 사례
2. 지역사회간호에서의 건강의 정의
3.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의 협력
4. 간호사와 협력자 간의 윤리
5. 간호사의 업무조정 역할의 중요성
5.1. 간호사와 간호사 간의 업무조정이 필요한 사례
5.2. 타 부서 보건의료 팀과의 윤리적 갈등으로 인해 업무조정이 필요한 사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
1.1.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의 중요성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환자의 안전이다. 환자의 기본적 권리는 자신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이며, 그 외에도 알 권리 및 자기 결정권, 비밀을 보호받을 권리, 상담-조정을 신청할 권리가 있다.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이 중요한 이유는 의료서비스의 전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부상이나 사고로부터의 예방을 위함이다.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환자의 보호 및 의료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환자의 안전은 보건의료 제공의 모든 구성원들의 의무이며, 안전한 환경에서 안전한 처치를 받는 것은 환자의 기본적 권리이다.
또한 환자와 관련된 안전사고는 의료서비스 질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모든 보건의료인들이 이에 대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협력해야 할 이유가 되는 것이다. 환자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팀 간의 조직 내 협조체계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보건의료인들의 자발적인 환자안전관리가 요구된다.
협동적인 상호작용, 즉 팀워크는 집단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차원의 태도로 측정할 수 있다. 의료기관의 팀워크는 상호보완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의료전문가가 환자의 건강을 목표로 사정, 계획, 평가하는 일련의 치료과정에서 서로 협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자안전과 관련하여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 보장 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팀워크는 환자 안전 보장 활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최근의 의료 환경은 팀에 의한 치료적 접근을 하고 있으며, 간호 인력은 병원 전체 인력의 50%를 넘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와 관련 부서 간 각자의 역할과 책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병원은 다양한 전문가와 직종들, 그리고 다양한 질병을 가진 환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업무 중복이나 역할 범위 모호가 발생할 수 있다. 한 부서의 변화가 다른 부서에 큰 영향을 줄 수도 있으므로, 조직 내 부서 간 업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협력을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힘을 합하여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각자의 역할에 대한 혼란과 불확실성은 타 부서 직원들과의 윤리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안전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 즉 팀워크의 중요성이 대두된다고 할 수 있다.
1.2.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을 위한 요건
1.2.1. 보건의료 팀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직업적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세 가지 기술이 필요하다.
첫째, 기능적 기술이다. 이는 자기가 맡은 전문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말한다. 보건의료 팀은 다양한 전문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개념적 기술이다. 이는 단순히 자기가 맡은 구체적인 전문업무가 아니라 자기가 속해 있는 부서나 조직 전체의 일을 총괄하여 조직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업무를 기획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위하여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고 업무를 적절히 분배함으로써 거시적으로 조직 전체의 목표 달성과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셋째, 대인관계 기술이다. 이는 일보다는 직장의 동료, 상사, 부하들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보건의료 팀은 다양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은 물론 타인들의 욕구와 성격 특성을 이해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기술은 보건의료 팀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직업적 성공을 거두기 위해 필수적이다.
1.2.2.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의사소통이란 상대방에게 감정, 태도, 생각을 전달하는 과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실제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오해는 주로 의사소통의 부재 또는 표현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보건의료 팀 간의 협력을 위해서는 사전에 어느 정도 수준에서 의사소통을 할 것인지 결정하고, 냉정하고 이성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타 부서 보건의료 팀이 명백한 잘못을 했다고 하더라도 즉각적으로 화를 내기보다는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접근하여, 구체적으로 무엇을 잘못했는지를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 이때 부정적인 감정이나 비난, 질타 대신 긍정적인 메시지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대방의 잘못된 점을 일반화하지 말고, 현재 문제점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알려주며 이해시켜야 한다. 그리고 너무 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상대방이 스스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보건의료 팀의 협력을 위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신뢰, 공감, 격려, 지지의 자세가 전제되어야 한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그 상황과 배경,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상호간 이해의 폭을 넓혀 갈등을 해소하고 원활한 협조가 이루...
참고 자료
김춘미. 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장금성.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안효자.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수문사
문은식. 대인관계 심리학, 공동체
박은진, 한지영(2018), 병원 종사자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 보장 활동에 미치는 영향, 38권 제2호
의사 대신 수술한 나는 '유령 간호사', 경향신문, 2021.05.22.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105220907001
김춘미-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19~21p,31~34p, 456~458p
장금성-간호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53~85p,134~142p, 146p
고명숙-간호학개론, 수문사, 17~26p, 59p, 77~79p, 345~366p, 399~405p
안효자-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수문사, 9~21p, 140p, 204p
문은식-대인관계심리학, 공동체, 263~287p, 295~325p
이연복,이혜경(2015),병원간호사의 역할갈등 및 갈등관리 유형, 23권 제3호, 148~157p
박은진,한지영(2018),병원종사자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보장활동에 미치는 영향, 38권 제2호 474~498p
KOCW,“보건의료조직관리”, 20.6.3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6/sahmyook/sohnaeree/0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