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프로그램 기획안 금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청소년 흡연 문제의 심각성
1.2. 기존 금연 프로그램의 한계
2. 금연 프로그램의 목적
2.1. 흡연율 감소
2.2. 금연 실천율 제고
2.3. 금연 후 재흡연 예방
3. 금연 프로그램의 대상 및 범위
3.1. 대상: 진천군 20-30대 금연 희망자
3.2. 범위: 진천군 보건소 강당
4. 금연 프로그램의 내용
4.1. 금연 동기부여 교육
4.2. 금단증상 파악 및 대처방법 교육
4.3.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4.4. 음악 프로그램
4.5. 금연체조 프로그램
4.6. 변화된 건강상태 평가
5. 금연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5.1. 6회기, 2주 간격 운영
5.2. 자조모임 상담 진행
5.3. 추후 정기적 모니터링
6. 금연 프로그램의 기대효과
6.1. 금연 실천 및 유지
6.2. 건강 증진
7. 금연 프로그램의 예산
7.1. 인건비
7.2. 직접비
7.3. 총계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청소년 흡연 문제의 심각성
청소년의 흡연은 어른의 흡연보다 그 위험성이 높다. 첫째, 청소년기에 흡연을 시작한 경우 성인이 되어 시작한 경우보다 니코틴 중독이 빠르게 나타난다. 동물실험에 의하면 쥐를 니코틴에 노출시켰을 경우, 성인 쥐에 비해 어린 쥐에서 더 오랫동안 니코틴 수용체의 변화가 관찰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의 뇌가 성인과 차이가 있으며 니코틴이라는 자극 물질에 더 민감하고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니코틴 중독으로 인해 청소년 흡연자의 대부분은 성인이 되어도 흡연을 지속하게 되며 각종 질병으로 인해 20년 정도 수명이 짧아진다.
둘째, 청소년기 흡연은 폐 기능을 저하시킨다. 폐 기능은 청소년 초기까지 직선적인 성장을 하며, 남자는 24세까지 여자의 경우 18세 정도까지 증가하여 최고치에 이른다. 그런데 청소년 시기에 흡연을 하게 되면 담배의 독성 물질이, 분열하며 성장하고 있는 폐 세포에 손상을 주고 결국 비흡연자가 도달하는 폐 기능의 최고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 같은 폐 기능 장애는 20-30대의 젊은 시절에는 뚜렷한 증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나이가 들면서 호흡곤란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 청소년기에 흡연을 시작하면 흡연 기간이 길어져서 폐암의 위험도가 높아지며, 청소년기에 5년 흡연한 것은 성인이 되어 5년 흡연 한 것 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더 크다. 성장하고 있는 일부 폐 세포가 DNA의 손상을 받게 되면 손상된 세포는 폐의 더 넓은 부위를 점령하고 폐암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청소년기의 흡연은 우울증, 불안장애, 행동 장애 등 각종 정신과적 질환과 관련이 깊다. 청소년기 우울증 증상이 생길 위험은 흡연자가 비흡연자 보다 4배 정도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청소년기에 1갑 이상 흡연을 하는 경우 공황장애에 걸릴 위험은 15배, 불안 장애에 거릴 위험은 5배 정도 높다고 보고되었다.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흡연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다. 청소년의 뇌는 성인과 다르고 니코틴에 취약하며, 니코틴은 콜린계, 노아아드레날린, 도파민, 세로토닌 등 신경 전달물질 체계를 변화시켜 이차적으로 정신 질환들도 더 쉽게 유발될 수 있다.
이처럼 청소년기의 흡연은 니코틴 중독, 폐 기능 저하, 정신 질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인 흡연보다 더 큰 폐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청소년 대상 금연 교육과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1.2. 기존 금연 프로그램의 한계
기존 금연 프로그램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기존 흡연관련 징계의 문제이다. 현재 학교에서는 흡연에 대한 징계로서 벌점제도와 더불어 사회봉사제도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벌점제도와 사회봉사제도의 처벌은 근본적인 흡연의 문제에 대해 접근하기 보다는 1회적인 처벌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 기존의 실효성 없는 지식위주의 금연교육 프로그램이 문제이다. 흡연에 대한 태도를 기존의 긍정적인 태도에서 부정적인 태도로 바꾸게 하고, 그 결과로 흡연율 감소라는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였으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들의 심리 정서적인 부분의 개입이 미흡하였고 사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금연 프로그램의 목적
2.1. 흡연율 감소
금연 프로그램의 목적 중 하나는 진천군의 현재 흡연율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진천군의 2021년 현재 흡연율(표준화율)은 25.3%로 충북(21.0%)와 전국(19.1%)에 비해 높은 편이다. 전체 연령에서의 흡연율은 남자 42.0%, 여자 5.2%로 남자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 25.9%, 30대 29.6%, 40대 35.4%, 50대 27.5%로 젊은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금연 프로그램은 진천군의 흡연율, 특히 젊은층의 흡연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흡연은 예방 가능한 사망의 가장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직접적인 소비뿐만 아니라 간접흡연에 의한 노출로 인해서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매년 약 600만 명이 담배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그 중 60만 명 이상은 간접흡연 노출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모든 폐암 사망의 71%, 만성 호흡기 질환의 42%, 심혈관 질환의 10%는 흡연에서 기인한다. 그 뿐만 아니라 흡연은 결핵 및 하기도 호흡기 감염 등 감염성 질환의 주요한 원인으로도 작용한다. 더욱이 흡연은 자신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는데, 장기적인 간접흡연은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위험을 20~30% 증가시키고 심장 질환의 위험도를 25~35%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흡연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진천군의 현재 흡연율이 전국 및 충북 대비 높은 수준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젊은층의 경우 흡연으로 인한 폐 기능 저하, 정신건강 악화 등 장기적인 건강 문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 교육 및 프로그램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금연 프로그램은 진천군의 현재 흡연율, 특히 20-30대 젊은층의 흡연율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2.2. 금연 실천율 제고
금연 실천율 제고는 진천군의 금연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금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첫째, 금연 동기부여 교육을 통해 대상자들의 금연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다. 교육에서는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금연 후 신체 변화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대상자들의 금연 결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둘째, 금단증상 파악 및 대처방법 교육을 실시하여 금연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양치하기, 스트레칭, 간식 먹기 등 구체적인 대처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금연에 어려움을 겪는 대상자들의 실천력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을 통해 금단증상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마음챙김명상은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자기 조절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음악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기분과 충동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음악 감상, 리듬 연주, 노래 부르기 등의 활동은 금연 후 나타나는 ...
참고 자료
정수정(2013). 흡연청소년에 대한 금연교육이 금연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흡연청소년에 대한 금연교육이 금연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19(2). 155-163.
김상욱(2013). 흡연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흡연거절기술이 청소년 흡연행동에 미치는 영향.18(3). 273-283.
윤순녕 외 공저(2014), 「제2판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수문사
이경희 외 공저(2011), 「보건교육」, 수문사
보건복지부, www.mw.go.kr, (2014. 10. 14.)
금연길라잡이, www.nosmokeguide.or.kr/mbs/nosmokeguide/, (2014. 10. 14.)
“미국 금연광고”, http://www.youtube.com/watch?v=rJxozUGsC-g, (2014. 10. 14.)
“미국 금연광고”, http://www.youtube.com/watch?v=FZZglHTjoRc, (2014. 10. 14.)
“신사의 품격”, http://www.youtube.com/watch?v=35dqQSjJEcA, (2014. 10. 14.)
금연길라잡이, 음악프로그램, 금연체조 https://www.nosmokeguide.go.kr/index.do
김도연, 손정락.(2008).마음챙김명상이 금연유지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금연클리닉 이용자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건강,13(4),1009-1022.
보건복지부. 202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금연).
진천군 홈페이지 (2022년 9월말 기준 진천군 인구현황).
조현아.(2021).호흡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 금연프로그램의 효과.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38(3),23-38.
충청북도 진천군. 2021 지역사회 건강통계.
최연희, 홍해숙, 김미애 (2008).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금연자조모임이 흡연지식과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간호과학지, 12(1), 65-73.
Bartlett, D., D. Kaufman., & Smeltekop, Roger. (1993)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and perceived sensory experiences on the immune system as measured by interleukin-1 and cortison. journal of music therapy, 30(4),194-20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5: raising taxes on tobacco. World Health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