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논문에 병리학적변화와 주요증상 검사방법과채료가 기록된 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만성질환의 정의 및 특성
1.2. 만성질환 아동의 현황
1.3. 간호사의 역할
2. 만성질환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2.1. 만성질환 아동의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2.2. 만성질환 아동의 대인관계
2.3. 만성질환 아동의 가족 적응
3. 만성질환 아동 양육자의 경험
3.1. 양육자의 부담
3.2. 양육자의 정서적 스트레스
3.3. 양육자와 형제자매의 관계
4. 간호 중재
4.1.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간호
4.2. 양육자와 가족에 대한 간호 지원
4.3. 학교 및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
5. 간호정책 및 법적 제도
5.1. 만성질환 아동을 위한 법적 체계
5.2. 건강관리체계 변화에 따른 간호 지원
6. 결론 및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만성질환의 정의 및 특성
만성질환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질환으로, 완치가 어렵고 장기간의 의학적 치료와 환자 스스로의 관리가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만성질환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발병과 경과가 서서히 진행되어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둘째, 완치되기보다는 증상의 조절이나 관리가 중요하며, 지속적인 치료와 관찰이 필요하다. 셋째, 합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환자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질병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적응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의료진의 지원이 필요하다.
만성질환은 점진적이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환자와 의료체계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만성질환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환자와 가족에게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1.2. 만성질환 아동의 현황
현재 국내 소아・청소년(1~14.9세)에서 제1형 당뇨병의 발생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소아과학회에 따르면 연간 발생률은 1.36명으로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학령기 아동 1,000명 중 약 2명 정도로 발생하고 있으며, 주로 사춘기 연령에서 가장 많이 발병하고 있다. 또한 6~7세에도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하는 당뇨병은 성인과 달리 제2형 당뇨병보다는 제1형 당뇨병이 흔하며, 케톤산증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고, 치료 면에서도 인슐린 주사가 주요한 치료 방법이다. 더불어 혈당 관리 정도가 본인의 노력보다는 보호자의 능력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아 성인보다 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이에 당뇨병이 있는 자녀를 둔 부모와 당사자에 대한 교육, 지지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1.3. 간호사의 역할
간호사의 역할은 만성질환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포괄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간호사는 만성질환 아동의 질병 관리와 치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자가관리 능력 증진을 위한 지도를 한다. 또한 만성질환으로 인한 아동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나아가 만성질환 아동의 가족에게도 돌봄 부담 경감과 적응을 위한 간호 지원을 실시한다. 더불어 만성질환 아동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도모하기 위해 교육기관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다학제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2. 만성질환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2.1. 만성질환 아동의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만성질환 아동의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은 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은 신체적 제한과 잦은 병원 방문 등으로 인해 또래 아동들과 차이가 있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게 될 수 있다. 특히 발달 단계상 자아가 형성되는 학령기 아동들의 경우 자신의 질병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부정적 자아개념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낼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만성질환 아동의 자아개념은 또래 아동들에 비해 낮은 편이며, 자아존중감 역시 낮은 경향을 보인다. 만성질환의 가시성 정도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나는데, 질병이 눈에 띄지 않는 경우 오히려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병의 가시성 부족으로 인해 타인의 편견과 오해를 받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만성질환 아동은 질병으로 인해 또래 활동에 제한을 받거나 신체적 차이를 경험하면서 또래로부터 배척당하거나 놀림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는 아동의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사회활동과 또래관계 형성이 중요한 시기인 학령기 아동의 경우 더욱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편 가족의 지지와 이해는 만성질환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족이 아동의 질병을 수용하고 이해하며 지지해 줄 때, 아동은 자신의 질병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가족의 부정적 태도나 과보호는 아동의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만성질환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는 아동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간호사의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아동과 가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질병 관리와 치료에 대한 교육 및 상담을...
참고 자료
대한당뇨병교육 간호사회 https://www.kadne.or.kr
대한당뇨병학회 www.diabetes.or.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scienceon.kisti.re.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대학내과학회지 제77권 제6호 2009 당뇨병성 신증의 병태생리(박정탁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황옥남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박금주 외)
[네이버 지식백과] 소아청소년기의 제1형 당뇨병 관리 (당뇨병, 습관을 바꾸면 극복할 수 있다, 대한당뇨병학회)
정영희 외 1명(2008). 소아 및 청소년에서 혈중 유리 insulin-like groth factor-Ⅰ 농도치와 임상적 의의, 인제대학교 외과대학 소아과학교실, Korean Journal of Padiatrics, 51(1), 47-53.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박지윤 외 2명, 2011. 소아의 1형 및 2형 당뇨병 감별에 있어서 임상적 특징 및 자가 항체 검사의 유용성.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16(2), 119-127.
박은숙 외 공저(2016). 근거기반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상권). 현문사
박은숙 외 공저(2016). 근거기반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하권).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9). 핵심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9). 기본간호학 1.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9). 기본간호학 2. 현문사
원종순 외 공저(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아동청소년 간호학I」, 김희순 외 옮김, 수문사, 2017년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과 가족의 극복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백경원, 2005년 6월, 석사학위 논문
http://dcollection.cau.ac.kr/public_resource/pdf/000000007418_2*************.pdf
「아동청소년 만성질환자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이고은, 2017년 6월, 석사학위 논문
http://dcollection.snu.ac.kr/public_resource/pdf/000000146511_*************3.pdf
특수교육진흥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3965&cid=40942&categoryId=31702
미국장애인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83584&cid=42128&categoryId=4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