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핵 늑막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결핵성 늑막염
2.1. 늑막의 해부 및 생리
2.2. 병태생리
2.3. 원인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및 간호
3. 사례 연구
3.1. 간호 사정
3.2. 간호 진단
3.3. 간호 계획 및 중재
3.4. 간호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에서 환경오염과 흡연으로 인해 폐렴과 폐암 등 호흡기 질환이 늘어남과 동시에 늑막염의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늑막에 발생하는 염증 질환인 늑막염은 적절한 치료시 완치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농흉을 유발하거나 세균성 염증이 전신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늑막의 섬유화로 유착되거나 호흡곤란을 일으켜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핵성 늑막염 환자의 간호 연구를 통하여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가족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도모하며 지식을 함양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늑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측흉막과 가슴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벽측흉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흉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강이라 부른다. 정상적으로 양측 늑막 사이에는 얇은 액체막만이 존재하여 두 흉막은 거의 서로 붙어 있다. 이런 흉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흉막염이라고 한다. 즉 흉곽 내에서 폐를 둘러싸고 있는 막에 생기는 염증을 말한다. 염증은 흉막을 자극하여 가슴에 통증을 일으키고 분비물(삼출액)이 생기며, 이러한 분비물이 흉막강 내에 고여서 흉수가 된다"
늑막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늑막에 염증이 발생하면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림프관으로의 배액이 감소하여 삼출액이 급증하게 된다. 삼출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폐조직이 압박되고 폐의 용량이 감소된다. 손상된 부위에 환기가 감소되지만 관류는 어느 정도 정상상태를 유지하여, 결과적으로 환기-관류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저산소혈증이 된다. 환자의 삼출액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삼출액은 환자가 똑바른 자세에 있을 때에 하엽으로 이동하고, 누워 있을 때에는 폐 후엽으로 이동한다"
늑막염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여출성 흉막염의 원인으로 울혈성 심부전증, 만성 신부전증과 간경화증이 가장 많으며, 삼출성 흉막염은 결핵, 폐렴이나 악성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전신적인 정수압 상승, 종창압의 감소,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 림프계 기능장애 등이 그 원인이 된다"
이상과 같이 늑막염의 병태생리와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2. 결핵성 늑막염
2.1. 늑막의 해부 및 생리
늑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측늑막과 가슴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벽측늑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늑막 사이의 공간을 늑막강이라 부른다. 정상적으로 양측 늑막 사이에는 얇은 액체막만 존재하여 두 늑막은 거의 서로 붙어 있다.
늑막은 발생학적으로 내측체강에서 생겨난 장막이다. 늑막은 크게 벽측늑막과 장측늑막으로 나뉘는데, 벽측늑막은 흉강 내벽을 덮고 있고 장측늑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다.
늑막의 신경 지배는 체성 신경인 늑간신경이 담당하고 있어 늑막에 접하는 장기들에 통증을 전달한다. 그러나 장측늑막은 체성 신경 지배를 받지 않아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정상적으로 늑막강에는 10-30mL의 소량의 흉막액이 존재하며, 이 흉막액은 윤활작용을 하여 늑막 운동을 도와준다. 이 흉막액은 벽측늑막에서 생성되어 장측늑막으로 흡수된다.
벽측늑막의 정수압은 30cmH2O, 팽창압은 25cmH2O이고 늑막강의 내압은 -5cmH2O, 팽창압은 6cmH2O이며 장측늑막의 정수압은 10cmH2O, 팽창압은 25cmH2O이다. 따라서 벽측늑막에서 늑막강으로는 16cmH2O의 압력차가, 그리고 늑막강에서 장측늑막으로는 4cmH2O의 압력차가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차로 인해 흉막액은 벽측늑막에서 생성되어 장측늑막으로 흡수된다.
2.2. 병태생리
늑막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측흉막과 가슴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벽측흉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흉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강이라 부른다. 정상적으로 양측 늑막 사이에는 얇은 액체막 만이 존재하여 두 흉막은 거의 서로 붙어 있다.
그러나 이런 흉막에 염증이 발생하면 흉막염이라고 한다. 즉 흉곽 내에서 폐를 둘러싸고 있는 막에 생기는 염증을 말한다. 흉막의 염증으로 인해 흉막을 자극하여 가슴에 통증을 일으키고 분비물(삼출액)이 생기며, 이러한 분비물이 흉막강 내에 고여서 흉수가 된다.
또한 염증으로 인해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림프관으로의 배액이 감소하여 흉막강 내에 삼출액이 급증하게 된다. 삼출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폐조직이 압박되고 폐의 용량이 감소된다. 이로 인해 손상된 부위의 환기가 감소되지만 관류는 어느 정도 정상상태를 유지하여, 결과적으로 환기-관류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저산소혈증이 된다.
따라서 늑막염의 병태생리는 흉막에 발생한 염증으로 인해 가슴에 통증, 분비물 생성, 삼출액 축적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호흡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 -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상 - 현문사, 전시자 외
내과실습지침서- 수문사, 장은정
NANDA 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 김정애,장은정
김근순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1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 호흡기학, 서울대학교 출판부(2016)
학술 편찬국, 성인간호학, 퍼시픽(2004)
한국간호교육학회편, 질환·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 한우리(2014)
김조자 외,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대한간호협회(2018)
서울아산병원→건강정보→질환백과 (http://healthinfo.amc.seoul.kr/healthinfo/medical/diseaseView.do?kind=C000019&contentId=32183&diseaseId=H003622&cPage=5)
가톨릭대학교→건강정보→질병정보 (http://www.cmc.or.kr/healthinfo/desease.lst.jsp?DEPTH=05010000&nowBlock=0&page=4&keyWord=&HiContentID=50772&bbs_grop=&bbs_page=view&hiSite=&hiCategoryID=999999&SM=2&hiDept=&T=&SK=hiTitle&Dept=&CI=54)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KM base - 김춘섭 외, 늑막염의 임상적 고찰 (http://kmbase.medric.or.kr/Main.aspx?d=KMBASE&m=VIEW&i=0383819930400050584)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성인간호학 상 - 수문사 이향련외
성인간호학 상 - 현문사 전시자외
내과실습지침서- 수문사 장은정
NANDA 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 김정애,장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