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바이오헬스 산업
1.1. 개요
바이오산업(생물산업;Biotechnology Industry, Bioindustry)은 생물공학기술(바이오기술 :Biotechnology)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또한, 생물공학기술 이용여부에 기준하여 화학, 전자, 에너지, 의약, 환경, 농업, 식품 등 여러 산업부문에 생물공학기술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창출하는 횡적 산업군이라 할 수 있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기술개발은 현재 의약(Healthcare)부문에서 가장 활발하며, 점차 농업(Agriculture)을 거쳐 산업(Industry)으로 나아가는 추세이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발전 트렌드와 BT기술이 접목되는 분야의 고유한 색깔에 따라 바이오의약품·바이오의료 등의 의약산업을 'Red Bio-Tech'로, 유전자변형농축산물·유전자변형식품·유전자변형의약품 등 농업관련 산업을 'Green Bio-Tech'로, 바이오에너지·생촉매공정·바이오고분자 등의 산업관련 바이오분야를 'White Bio-Tech'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지식경제부가 바이오산업의 범위를 바이오의약, 바이오화학, 바이오식품, 바이오환경, 바이오전자, 바이오공정 및 기기,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 바이오검정·정보개발서비스 및 연구개발 등 8개 부문으로 분류하였고, 2008년 1월 산업표준분류로 확정한 바 있다. 바이오산업은 장기간의 막대한 R&D 투자가 필수, 1만개중 하나만이 상품화에 성공하는 고위험-고수익, 임상시험에 따른 엄격한 규제, 세계시장 단위에서 규모의 경제 발생, 원천기술의 확보가 산업적 도약의 관건 등의 특성을 갖는 기술집약적 지식기반산업중의 하나이다.
1.2. 바이오 산업 동향
1.2.1. 세계 바이오 산업 현황
세계 바이오 산업은 약 2,009억 달러('09년, Datamonitor 2010) 규모로 연평균 10.2%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바이오산업은 화학, 전자, 에너지, 의약, 환경, 농업, 식품 등 여러 산업부문에 생물공학기술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창출하는 횡적 산업군이다. 특히 신약의 경우 기존 화합물 신약은 줄고 상대적으로 바이오 신약 위주로 변화 중이며, 신종 인플루엔자 등 감염질환 대응을 위한 백신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최근 유가 상승으로 바이오매스 기반의 화학제품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1.2.2. 국내 바이오 산업 현황
국내 바이오 산업은 약 5.6조원('09년) 규모로 전년대비 24.9%(제조업 평균 2.8%) 급증하고 있는 고성장 산업이다. 국내 바이오 산업은 의약(49.2%), 식품(27.7%)이 전체의 약 76.9%를 차지하고 있으며, 석·박사 학위자가 36.7%로 고학력자 위주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세계시장보다 높은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바이오 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1.3. 헬스산업 동향
1.3.1. 헬스산업의 정의 및 분류
헬스산업의 정의 및 분류는 다음과 같다.
헬스 또는 헬스케어는 질병제거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의 건강증진과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사후관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Health Technology(HT)는 이러한 헬스케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제도를 포괄하는 수단으로서 정보통신기술, 기계·로봇기술, 소재기술 등까지도 포함하게 된다. 헬스 산업 또는 헬스케어 산업은 Health Technology 등을 통해 헬스케어를 실현할 수 있는 관련된 산업으로서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의 제품산업과 의료서비스, 건강서비스와 같은 서비스산업 등을 포함한다.
1.3.2. 헬스산업 시장 현황
헬스산업 시장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세계 의료시장은 2009년 약 3.4조 달러 규모였으며, 2015년에는 약 5.2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의 경우 2009년 의료시장 규모가 약 507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1인당 의료비 지출 증가율이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11.6%를 기록할 정도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향후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도시형 생활에 따른 개인의 자발적 체력 증진 의지, 식이·영양관리와 높은 수준의 감성적·미적 만족 욕구가 증대되면서, IT, BT, 로봇기술 등을 결합한 융합형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wellness)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wellness 시장은 약 67.5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불어 유전자 분석의 발전 등으로 일괄적 질병 치료 중심에서 개별 환자 중심의 예방·예측·건강관리로 변화되고 있으며, 세포 치료제·인공장기 등 특정 환자군에 맞는 생명과학 응용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1.4. 정부정책 및 지원
1.4.1. HT산업 글로벌진출 전략
정부는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동력을 책임질 새로운 전략산업으로 첨단산업인 BT(Bio Technology), IT(Information Technology), NT(Nano Technology)산업과 함께 HT(Health Technology)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HT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크고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한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세계 각국이 정책적으로 지원 및 육성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하나이다.
HT산업의 국민적 관심 제고가 필요한데, 2009년 기준 HT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약 3조 2,000억달러로 IT시장의 2.3배에 달하며, 한국은 의료비 지출이 OECD국가 중 가장 빠르게 늘고 있다. HT산업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등의 활동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으나, 사회적으로 HT산업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