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해외직접투자의 의미와 현황
해외직접투자란 투자하는 기업이 경영에 직접 참가함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즉 기업이 투자대상기업의 경영에 직접 참가함을 목적으로 유형의 경영자원인 자본과 인력뿐만 아니라 무형의 경영자원인 경영관리상의 지식, 노하우, 기술 등의 생산요소를 복합적으로 해외에 이전시키는 기업 활동을 의미한다.
최근 해외직접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부터 2015년 1분기까지의 주요 국가별 투자 동향을 보면 베트남과 홍콩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투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시아 최대 투자국인 중국의 투자가 전년 대비 30.2% 감소한 4.9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업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감소세를 보였으며, 제조업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29.0% 감소했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해외직접투자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부 국가와 업종에서는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기업소개(토니모리, 미오기)
토니모리는 '아름다움을 담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아 2006년 탄생한 글로벌 토탈 브랜드이다. 토니모리는 대한민국 최초 화장품 브랜드로 '멋진, 맵시 있는'과 '마법의 숲'을 합성한 '아름다운 숲'이라는 콘셉트로 자연의 풍경과 아름다운 곡선 등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아르누보 스타일 매장에서 피부의 휴식과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공간을 지향한다.
미오기는 전통적인 한국의 '美'의 방식과 한국의 기술력에 의한 글로벌브랜드로의 성장을 목표로 하며, 전문적인 피부 관리 프로그램과 라인별 기능성제품을 바탕으로 일반 스킨케어에서 에스테틱, 코스메슈티컬 케어를 제공하고 있다. 미오기는 2005년 명품시장의 각축장인 홍콩에서 먼저 론칭되어 제품력 및 품질을 인정받은 한국의 브랜드이다.
1.3. 기업의 선정동기
기업의 선정동기는 홍콩 시장 진출이 주목받는 이유 때문이다. 홍콩은 중국과 체결한 CEPA(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협정에 따라 외국기업이 홍콩에 진출하면 중국 시장 진출의 수월한 통로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홍콩은 모든 수입품에 관세가 없고 부가가치세와 물품세도 없어 중국보다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판매할 수 있어 중국 진출의 발판이 되고 있다. 또한 홍콩은 홍콩인뿐만 아니라 중국 관광객들의 소비가 전체 소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화장품 수요가 높은 지역이다. 토니모리와 미오기는 홍콩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중국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홍콩은 화장품과 관련된 규제가 중국보다 낮아 신제품 출시나 유통에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홍콩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토니모리와 미오기가 홍콩 시장을 선택한 주된 동기라고 할 수 있다."
2. 홍콩 시장 분석
2.1. 홍콩의 FDI 현황
최근 홍콩 내 외국계기업의 회사설립이 증가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CEPA협정(홍콩과 중국 간 긴밀한 경제협정체결)의 역할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CEPA 협정 하에서 외국기업이 홍콩기업으로 인정될 경우 중국시장 진출에 수혜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회사들의 홍콩 투자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다. 이는 홍콩을 전초기지로 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려는 것이며, 또한 중국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던 각종 인허가권이 지방정부에 이양되면서 중국기업의 홍콩에 대한 투자가 한결 쉬워진 까닭이기도 하다.
2014년 기준 홍콩에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