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습 목적에 따른 한국어 교재를 하나 선정하고 분석해 보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재의 분석과 평가
2.1. 교재 분석의 중요성
2.2. 교재 평가 모형
2.2.1. 교수학습 상황분석
2.2.2. 외적 구성 평가
2.2.3. 내적 구성 평가
3. 특수목적 한국어교재 분석
3.1.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재 분석
3.1.1. 교재의 선정과 특징
3.1.2. 교재의 장단점
3.2. 세종 한국어 2 교재 분석
3.2.1. 외적 특징
3.2.2. 내적 특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만큼, 그들의 목적 역시 과거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이때 특수 목적 언어교육(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LSP)이란 특화된 영역에서의 수요를 위한 언어교육을 의미하며, 한국어 교육 역시 이러한 특수 목적 언어교육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따라 여러 가지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재가 출간되고 있는데, 아래에서는 시중에 출판된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를 한 권 선택한 후, 해당 교재가 갖고 있는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해당 교재의 장점과 단점을 더불어 분석함으로써,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겠다.
2. 한국어교재의 분석과 평가
2.1. 교재 분석의 중요성
교재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고 지원하면서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돕는다"". 목적의 맞는 올바른 교재의 선택을 통해 학습자는 언어 학습의 구조적인 안내를 받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언어 학습의 기반을 다지고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문장 및 문화를 학습하며 전반적인 언어 활용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특히 외국어 학습에서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자 기본적인 지침서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목적과 수준에 맞게 효율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많은 기업과 학교들이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 다양한 교재를 개발하고 정부 차원에서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해 양질의 교재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알리며 외국인들의 한국어 교육에 힘쓰고 있다"".
2.2. 교재 평가 모형
2.2.1. 교수학습 상황분석
교수학습 상황분석은 교육 기관, 학습자, 교사라는 세부 범주를 고려하여 기본적인 학급의 규모와 학습자의 연령대 및 학습수준, 교사의 숙련도 및 교육의 정도 등의 각각 세부 항목을 설정하는 것이다"
교수학습 상황분석은 교육의 주체와 객체, 그리고 교육을 실행하는 주체인 교사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 기관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교사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재 선정과 활용,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등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육 기관의 경우 기관의 유형, 규모, 시설 등을 검토하고, 학습자의 경우 ...
참고 자료
이란, 특수목적 한국어교육의 범위와 유형에 관한 연구-선교목적 한국어교육에서 대상자에 따른 유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이미향(외), 이민자를 위한 특수 목적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 연구-상담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어문논총, 2018
이정희,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1, 한국이민재단, 2015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교안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교안
서울대학교 한국어 문학 연구소, 국어교육연구소, 언어교육원 공편.‘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체’.p.471-510
국립국어원, ‘세종 한국어 2’,2021.01.07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교안
네이버 백과사전.
다우리 http://www.kddwsa.net/
희망나래 www.coophn.co.kr
연리지 http://www.yeonliji.com/.
송형근, 2013년, 세종한국어1, 세종학당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