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그램의 기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인의 성격적 특성
1.1. 긍정적 성격
1.1.1. 빨리빨리 성격
1.1.2. 성실함
1.1.3. 단결력
1.1.4. 연장자/상사에 대한 존중
1.2. 부정적 성격
1.2.1. 자기중심적 사고
1.2.2. 편협한 정(情)문화
2.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1. 간호리더의 감성리더십
2.2.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2.3. 간호사의 조직몰입
3. 직장생활을 위한 마음가짐
3.1. 긍정적 마인드와 열정적인 태도
3.2. 시간관리와 열정관리
3.3. 소통과 공감의 중요성
3.4. 재충전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인의 성격적 특성
1.1. 긍정적 성격
1.1.1. 빨리빨리 성격
한국인의 빨리빨리 성격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지니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짧은 기간 내에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어낸 "한강의 기적"을 들 수 있다. 한국인의 급한 성격은 세계적으로 최상위권의 인터넷 속도와 스마트폰 보급률을 달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한국인의 빨리빨리 성격은 기록을 세우고 세계적인 성과를 이루어내는 데 장점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빨리빨리 성격은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했다. 1990년대 잇달아 발생했던 각종 건물 붕괴 사고는 부실공사로 인한 참사였는데, 이러한 부실공사에는 한국인의 급한 성격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안전보다는 속도에 더 치중하다 보니 제대로 된 준비와 검토 없이 공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큰 사고로 이어졌다.
이처럼 한국인의 빨리빨리 성격은 장단점이 공존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긍정적인 면에서는 빠른 변화와 성장을 이룰 수 있었지만, 부정적인 면에서는 안전과 질에 대한 소홀로 이어져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기도 했다. 따라서 한국인의 빨리빨리 성격은 균형 잡힌 관리가 필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1.1.2. 성실함
한국인의 성실함은 눈에 띄는 성격적 특성 중 하나이다. 2017년 실시된 전 세계 국가별 노동시간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2위를 차지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근로 시간은 2,113시간이다. 근로 시간이 길다는 것이 반드시 성실함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인들은 대체로 자신에게 맡겨진 일에 책임감을 다하며 성실하다.
이러한 한국인 특유의 성격은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높이 평가 받는다. 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부여받은 업무에 대해 책임감 있게 완수하며 성실하게 행동한다고 인정하고 있다. 특히 팀 단위로 움직이는 업무 환경에서 한국인들의 성실성은 돋보이는데,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동료들과 협력하여 팀 목표를 달성하려 노력하는 모습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성실함은 때로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긍정적으로는 한국인들의 성실성이 빠른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개인의 성과와 역량 향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부정적으로는 업무에 대한 과도한 몰입으로 인해 삶과 일의 균형을 잃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상사나 동료에 대한 맹목적인 순종으로 이어질 수 있어, 때로는 불합리한 의사결정에도 동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성실함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균형있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동시에 삶과 일의 균형을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상명하달식 의사결정 구조에서 벗어나 상호 존중과 공감의 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1.1.3. 단결력
한국인은 국가적인 위기나 국가적인 축제 앞에서 이념이나 사상, 세대를 불문하고 단결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의 금 모으기 운동과 2002년 한일월드컵, 2016년 촛불집회가 대표적인 예이다. 한국인들은 어떠한 사건이나 사고 앞에서 뛰어난 단결력과 높은 시민의식을 보여 왔다. 이러한 단결력은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폭발력 있게 해결하는 원동력이 되곤 한다. 한국인들의 이러한 단결력은 국가 위기 상황에서 잘 드러나며,...
참고 자료
아주경제, 김종호, 2018.7.16. 한글과컴퓨터, 5천 억 규모 ICT 융복합 그룹으로 도약
머니투데이, 한규석, 2018.1.11. 토종 소프트웨어의 역사
바른투자, 2018.9.7. [1분 토픽] 세계 각국의 메신저
플래티넘 홈페이지-트렌드, 김민정, 2018.6.27. 국내 모바일 메신저 점유율, 카카오톡 94.4%로 1위
국가기록원-기록으로 만나는 대한민국
중앙일보, 이에스더, 2018.7.23. 13년간 ‘OCED 자살율 1위’ 한국이 갑자기 2위로 내려온 이유
경향신문, 박용하, 2018.4.24. 한국 행복지수 낮은 까닭? 사회여건 기여도 적은 탓
데일리라이프, 2018.1.28. 한국인이라면 공감! 우리나라의 뛰어난 민족성
김혜경·최미건, 2019,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리더의 감성리더십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2
김종명, 2017, 리더, 자기생각에 속지마라,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