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골절의 개요
1.1. 골절의 정의 및 원인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의 원인은 자동차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손상 또는 병리적 골절 등이 있다.
자동차 사고는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충돌 시 갑작스러운 힘이 가해져 뼈가 부러지게 된다. 낙상의 경우 지면과의 충돌로 인해 뼈가 부러지며, 구타나 뒤틀림과 같은 외부 폭력에 의해서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계에 눌리거나 압착되는 압축손상의 경우에도 골절이 초래된다. 한편 골다공증이나 골종양과 같은 병적 원인으로 인해 정상 활동 중에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병리적 골절이라 한다.
따라서 골절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력한 힘에 의해 골 조직의 연속성이 상실되는 것이며, 그 원인으로는 자동차 사고, 낙상, 폭력, 압박 손상, 그리고 병적 골 약화 등을 들 수 있다.
1.2. 골절의 분류
1.2.1. 상처상태에 따른 분류
개방(복합) 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것이다. 외부적 창상 때문에 개방 골절은 항상 주위 조직의 손상과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
폐쇄성(단순) 골절은 피부의 창상이 없어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1.2.2. 골절형태에 따른 분류
골절형태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완전골절(Complete fracture)은 뼈의 연속성이 완전히 끊어져 두 개의 골절편이 뚜렷이 나타나는 상태이다. 이러한 완전골절은 가장 흔한 형태의 골절이다.
불완전골절(Incomplete fracture)은 뼈의 한쪽면만 파괴된 것으로, 주로 어린이의 유연한 뼈에서 발생하며 빨리 치유된다.
충돌골절(Impaction fracture) 또는 감입골절(Compression fracture)은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인 뼈 조직에 박히는 형태의 골절이다. 주로 선 자세로 똑바로 추락할 때 발생한다.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은 골절편이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부서진 상태를 의미한다.
전위골절(Displaced fracture)은 완전히 골절되어 있으면서 골절편이 골절선이나 관절 밖으로 분리된 상태이다.
병리적골절(Pathological fracture)은 골다공증이나 골종양으로 인해 허약해진 뼈에서 골절이 생긴 것이다.
각형성골절(Angulated fracture)은 두 개의 골절편에 각도가 생기면서 중첩되는 형태이다.
견열골절(Avulsion fracture)은 인대와 연결되어 있는 골절편이 다른 골절편과 분리된 상태이다.
행군골절(March fracture)은 오랜 행군 끝에 심한 피로로 중족골이 골절된 상태를 말한다.
스트레스골절(Stress fracture)은 뼈에 반복되는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며, 주로 마라톤 선수들에게 흔하다.
1.2.3.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선상골절(Linear fracture)은 뼈에 금이 간 골절선이 있는 것이다. 종적골절(Longitudinal fracture)은 골절선이 세로이며 장축과 평행을 이룬다. 사선골절(Oblique fracture)은 골절선이 골 축에서 약 45° 각을 그리면서 경사가 생긴 골절이다. 나선골절(Spiral fracture)은 골절선이 뼈 둘레를 돌면서 나선을 이룬 것으로, 이는 대개 사지가 뒤틀리면서 외상을 입을 때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횡골절(Transverse fracture)은 골절선이 뼈 단면을 횡단한 경우로 골축과 수직을 이룬다.
1.3. 골절의 치유과정
1.3.1. 혈종형성단계
골절 후 즉시 그 부위에 출혈이 생기고 삼출물이 생기는 것을 "혈종형성"이라고 한다. 골막과 근접 조직의 파괴 및 혈관의 파열로 혈종이 형성되며 이것은 손상받은 뼈를 둘러싸고 골절의 갈라진 틈까지 꽉 채운다.
24시간 이내에 울혈이 생기며 혈종 내의 혈액이 엉겨 붙어서 섬유소 그물망을 형성한다. 이 섬유망은 손상 받은 뼈를 보호하며 모세혈관과 섬유아세포의 발달을 위한 발판 구실을 한다.
울혈 된 혈종 내에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기고 섬유아세포와 함께 결합되어 24시간 후에는 골절된 뼈의 말단에서 혈액 공급이 증가한다.
보통의 혈종과는 달리 골절을 둘러싸고 있는 혈종은 치유되는 동안 흡수되지 않고 변화되어 육아조직으로 발달한다.
1.3.2. 세포증식(육아조직 형성)
세포와 새로운 모세혈관이 점차적으로 모여 2~3일 내로 혈종은 육아조직으로 대치된다. 손상 후 이틀째에는 적혈구와 괴사조직이 식세포에 의해 제거된다. 동시에 혈종 주변을 섬유아세포가 둘러싸며, 섬유아세포가 골절부위 둘레에 연조직 가골을 형성함으로써 회복과정이 시작된다.
1.3.3. 가골형성
손상 후 6~10일정도 되면 육아조직이 변화되어 가골이 형성된다. 새롭게 형성된 연골과 골기질(근접한 뼈끝의 골막과 골내막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유리됨)은 연조직가골을 통해서 흩어진다. 이들은 가골이 형성될 때까지 증가한다. 가골은 정상적인 뼈의 직경보다 상당히 넓고 크고 느슨하게 짜여진 뼈와 연골의 덩어리이다. 복잡하지 않은 골절일 경우, 손상 후 14~21일이 경과되면 가골은 최대의 크기에 도달한다. 이 가골 덩어리는 계속하여 재형성된다. 가골은 일시적인 골절편을 결합시킬 수 있지만 체중부하를 견디거나 근염좌를 잘 견디어낼 만큼 충분히 강하지는 않다.
1.3.4. 골화
영구적인 진성가골인 단단한 뼈는 무기염류가 축적됨으로써 형성된다. 골화과정의 첫 번째 단계는 골막과 피질 사이에 외가골이 형성되고, 그 다음에는 골수내가골, 마지막으로 피질절편 사이에 가골이 형성된다. 3~10주가 지나면서 가골은 뼈로 변화된다. 이러한 뼈의 형성은 골절 끝과 함께 단단히 결합되며 치유단계가 종결된다. 이 과정을 통해 골절의 치유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1.3.5. 골 재형성
가골은 점차 진성뼈가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