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망상장애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망상장애 정의
1.2. 망상장애의 원인
1.3. 망상장애 진단기준
1.4. 망상장애의 간호
1.5. 망상장애의 치료
1.6. 망상장애의 재활
1.7. 망상장애 예후
2. 대상자 사정
2.1. 대상자 일반정보
2.2. 대상자의 건강력
2.3. 대상자의 과거력
2.4. 대상자의 가족력
2.5. 대상자의 현재 기능
2.6. 대상자의 신체적 건강상태
2.7. 대상자의 정신질환 치료
3. 간호과정
3.1. 주요 간호문제
3.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3.3. 간호진단별 간호계획 및 수행
3.4. 간호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망상장애 정의
망상장애는 과거 편집증으로 불렸던 질환으로 사실과 다른 강한 확신을 갖는 신념인 망상이 지속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망상 체계는 그 내용이 일관적인 경우가 많으며 조현병과 달리 망상의 영향을 제외하면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아 조현병의 경과와 구분된다. 망상을 스스로 인정하는 경우가 드물어 질환으로 받아들이지 않거나 치료에 거부적인 경우가 있으나 다른 정신질환과 유사하게 치료를 받아들이고 꾸준한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호전될 수 있다.
1.2. 망상장애의 원인
망상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크게 생물학적 원인, 정신내적 원인, 사회문화적 요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광범위한 내과적 질환이나 약물, 뇌의 질병 등이 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변연계와 기저 신경핵을 침범하는 신경과 질환에서 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정신내적 원인으로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억압된 무의식적인 동성애 경향이 부정, 반동형성, 투사 등의 방어기제를 거쳐 편집상태로 발전한다는 견해가 있다""
기타 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이민이나 이주 후의 새로운 문화에 대한 부담, 고독감, 고립감,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한 이민 정신병, 교도소에 격리된 후 생기는 교도소 정신병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망상 장애도 있다""
1.3. 망상장애 진단기준
망상장애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1개월 이상의 지속 기간을 가진 한 가지(혹은 그 이상) 망상이 존재한다. 망상은 안정적이며 체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둘째, 망상의 영향이나 파생 결과를 제외하면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고 행동이 명백하게 기이하거나 이상하지 않다. 즉, 망상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다.
셋째, 조증이나 주요 우울 삽화가 일어나는 경우, 이들은 망상기의 지속 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망상장애 환자에게서 우울이나 조증 삽화가 발생하더라도 그 지속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다.
넷째, 장애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고, 신체이형장애나 강박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망상장애는 다른 정신질환이나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다섯째, 망상의 내용에 따라 색정형, 과대형, 질투형, 피해형, 신체형, 혼합형, 불특정형 등 7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섯째, 괴이한 내용 동반 여부와 경과에 따른 구분도 명시할 수 있다.
종합하면, 망상장애는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안정적이고 체계화된 망상을 특징으로 하며, 전반적인 기능은 잘 유지되는 질환이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4. 망상장애의 간호
망상장애 환자에 대한 간호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는 망상에 대해 공공연하게 반대하거나 대상자와 논쟁하지 않아야 한다. 대신 대상자의 감정과 경험을 존중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현실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공감과 이해를 통해 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려는 태도는 대상자로 하여금 더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현실성을 확립시키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실을 강조하고 대상자와 현실을 기반으로 상호작용하며, 망상적 소재에만 머물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현실과 비현실에 기초한 사고를 구별할 수 있게 돕는다.
또한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자신에게 긍정적으로 말하기와 긍정적 사고를 가르치고, 망상적 믿음을 무시하도록 한다. 인지행동치료(CBT)의 원리에 근거하여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수정함으로써 정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더불어 간호사는 대상자가 화를 내는 상황에서 어떤 생각이 화를 유발하는지 파악하고, 그 생각이 현실과 일치하는지 도전하도록 돕는다. 또한 심호흡과 근육 이완 기법을 활용하여 긴장을 풀고 정서적 안정을 찾도록 지도한다.
마지막으로 간호사는 음악감상, TV 시청, 글쓰기, 친구와 대화하기 등의 기분전환 기법을 활용하도록 제안한다. 이를 통해 부정적인 사고 패턴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유도할 수 있다.
이처럼 간호사는 대상자의 감정과 경험을 존중하며, 현실성 유지, 긍정적 사고 향상, 정서적 안정 도모, 기분전환 활동 제공 등 다각도로 접근하여 망상장애 환자의 간호에 힘써야 한다."
1.5. 망상장애의 치료
망상장애는 적절한 약물치료로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다. 하지만 망상장애 환자는 스스로 정신과 질환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아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도록 안내하고 설득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망상 자체를 치료한다고 접근하기보다는 망상으로 인한 불안, 분노 등의 정서적 어려움, 불면과 같은 이차적인 증상을 줄이기 위해 약물복용이 필요하다고 설득하면서 치료를 시작한다. 일차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이 효과적인데, 망상으로 인한 불안을 비롯한...
참고 자료
Guy W, editor. ECDEU Assessment Manual for Psychopharmacology. 1976
송승권, 황정하(2021). 조현병 대상자를 위한 그룹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의 효과. 보건사회연구, 41(1), 193-211.
박현숙 외(2019).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제6판. 현문사
Nursing skill, https://www.els-nursingskills.kr/Dashboard, (검색일:22.10.14.).
서울대학교병원, 불안장애,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615, (검색일:22.10.14.).
서울아산병원, 망상장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8, (검색일:22.10.13.).
이성권. (2016). 『분노 표현하기』 - 분노 조절, `시작`에서 `끝`까지. 명상심리상담, 15(0), 32-38.
Lee Song Kwon. (2016). The Anger Workbook for Teens. Journal of Meditation 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15(0), 32-38.
이미형, 양수 김경희, 정명실 강리리 ,박광희 외 「정신건강간호학(6) 판 」현문사(2019)
박금주 , 김순희, 김인아, 박진아 ,서은주, 양정하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계축문화사(2019
사단법인 가족치료학회 http://www.familytherapy.or.kr/kaft/
서울아산병원 (망상 장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8
서울아산병원(분노의 표현 방법)https://amc.seoul.kr/asan/depts/mind/K/bbsDetail.do?menuId=4548&contentId=256391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editor. Texbook of neuropsychiatry. 3th ed. Seoul: iMiS company;2017.
Benjamin JS, Virginia AS, Pedro R. Kalplan & Sadock’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10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2017
서울아산병원. 건강병원 및 질환백과. 망상장애. 2024.07.31.
https://www.amc.seoul.kr/.
국가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정보. 망상장애. 2024.07.31.
https://www.mentalhealth.go.kr/.
우미영 외(2022). 정신건강간호학.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