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본교 주변의 유동인구는 대략 5만 명, 하루 평균 5천3백 여 대 이상의 차량이 북문을 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와 승객수가 많아 시내버스 노선이 우선 배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칠곡, 달서구, 수성구를 중심으로 본교를 지나는 노선의 버스가 턱없이 모자라고 배차간격이 짧고 노선이 한정되어 있는 문제가 많다. 또한 셔틀버스 이용에 있어서도 굳이 셔틀버스를 이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를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는 스쿨버스가 존재하는 의의에 대한 의문을 던지게끔 한다. 이러한 애로사항들이 발생함에 따라서 우선 OO대학교 학생들의 통학실태를 올바로 파악하고자 한다. 통학 시 이용하는 교통수단, 통학 시에 소요되는 시간, 선호도와 수요, 통학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가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본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본교 학생들의 통학에 대한 고충을 데이터 형식으로 파악하여 정확한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1.2. 조사 개요
OO대학교 학생들의 통학 실태 및 인식 조사 개요는 다음과 같다.
본교 주변의 유동인구는 대략 5만 명, 하루 평균 5천3백 여 대 이상의 차량이 북문을 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인구와 승객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칠곡, 달서구, 수성구를 중심으로 본교를 지나는 노선의 버스가 턱없이 모자라고 배차간격이 짧고 노선이 한정되어 있는 문제가 많다. 또한 셔틀버스 이용에 있어서도 과연 셔틀버스를 이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를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애로사항들이 발생함에 따라 OO대학교 학생들의 통학실태를 올바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통학 시 이용하는 교통수단, 통학 시에 소요되는 시간, 선호도와 수요, 통학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가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교 학생들의 통학에 대한 고충을 데이터 형식으로 파악하여 정확한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2. 통학실태 분석
2.1. 통학수단 현황
본교 학생들의 통학수단 현황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통학수단은 버스로 전체 응답자의 39%가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도보 24.6%, 지하철 11.5%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자전거 4.4%, 기차 5.9%, 승용차 4.6%, 셔틀버스 7.9%의 비율로 이용되고 있다"" 통학 시 환승 횟수는 0회가 48.1%로 가장 많았고, 1회 35.2%, 2회 14.8% 순이었다"" 이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 번 이상 환승을 해야 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장거리 통학생들의 경우 환승 횟수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통학수단 및 환승 현황은 본교 학생들의 통학 환경이 편리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2.2. 통학시간 및 비용
통학시간 및 비용에 대해 살펴보면, 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통학 시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10분 미만"이 15.7%, "10분 이상~20분 미만"이 11.4%, "20분 이상~40분 미만"이 24.8%, "40분 이상~1시간 미만"이 30.0%, "1시간 이상"이 18.1%로 나타났다. 장거리 통학생(40분 이상~1시간 미만, 1시간 이상)이 48.1%, 단ㆍ중거리 통학생(10분 미만, 10분 이상~20분 미만, 20분 이상~40분 미만)이 51.9%로 나타나 장거리 통학생이 적지 않은 수치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교 학생들의 통학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통학 시 하루에 드는 평균 비용 역시 다양한 분포를 보였는데, "없다"가 24.8%, "2000원 미만"이 34.8%, "2000원 이상~5000원 미만"이 27.1%, "5000원 이상~10000원 미만"이 5.2%, "10000원 이상"이 8.1%로 나타났다. 장거리 통학생들의 경우 "2000원 이상~5000원 미만", "5000원 이상~10000원 미만", "10000원 이상"의 비용 답변이 단ㆍ중거리 통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 즉, 통학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용도 더 많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