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적장애 유발 염색체 이상 증후군 특성과 교육지원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적장애의 원인
2.1. 유전적 요인
2.1.1. 성염색체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
2.1.2. 상염색체 우성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
2.1.3. 상염색체 열성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
2.2. 생물학적 요인
2.3. 심리사회적 요인
3.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대표적인 증후군
3.1. 다운증후군
3.2. 안젤만 증후군
3.3. 프래더-윌리 증후군
3.4. 윌리엄스 증후군
4.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
4.1. 언어지도 방법
4.2. 교수-학습 지도 원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 날, 지적장애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이해의 확대로 특수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특수교육대상자 수는 2018년 90,780명에서 2020년 95,420명, 2022년 103,695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고, 특히 교육· 보육기관 이용 영유아 수가 늘면서 영유아에 대한 특수교육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지적장애란 평균 이하의 지적 기능, 외부적 환경에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는 적응 행동의 결함, 18세 이전의 장애 출현 이 세 가지를 요소로 하는 신경발달 장애이다. 이러한 지적장애를 야기하는 원인의 규명률은 50%에 불과할 정도로, 아직까지 다양하고 복합적인 장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최근 유전학과 염색체 분석 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적으로 중증 지적장애 아동 75%의 장애 원인이 생물학적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생물학적 원인은 대부분 염색체의 수나 구조의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염색체 이상을 원인으로 유발되는 대표적인 지적장애 증상과 그 특성을 알아보고, 이들을 위한 교육 지원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2. 지적장애의 원인
2.1. 유전적 요인
2.1.1. 성염색체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
성염색체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에는 취약X증후군, 레트증후군, 레쉬-니한 증후군 등이 있다.
취약X증후군은 성염색체 X에 존재하는 FMR-1 유전자의 비정상적 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남아의 경우 행동장애 및 지능저하 증상을 보이며, 긴 얼굴형, 앞으로 튀어나온 턱, 큰 귀 등의 신체적 특징이 나타난다. 여아의 경우 지능저하 증상만 보이게 된다.
레트증후군은 여아에게서 나타나는 유전적 장애로, 머리 둘레 성장 발달이 둔화되고 습득했던 인지, 운동, 언어 기능이 급격히 상실된다. 손의 상동 행동 등 기능적 손 사용이 퇴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레쉬-니한 증후군은 지적장애, 경련, 자해행동, 발달장애 및 뇌성마비와 함께 요산뇨, 고요산혈증, 요로결석, 통풍성 관절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얼굴 기형과 두정부 첨형, 사지 합지증 등의 신체적 특징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성염색체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은 다양한 신체적, 인지적, 행동적 증상을 동반하며 심각한 수준의 지적장애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2. 상염색체 우성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
상염색체 우성 유전에 따른 장애 및 질병에는 신경섬유 종증과 결절성 경화증이 있다.
신경섬유 종증은 피부와 중추신경계의 특징적인 이상을 동반하는 신경피부증후군에 속하며, 유전 질환으로서 환자의 50%는 가족력이 없이 새로운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환자 중 10% 정도가 정신발달 지연을 보이며, 학습, 언어, 집중, 행동, 운동 기능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결절성 경화증은 신체의 모든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환된 각 기관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현된다. 지적장애와 관련해서는 지능 저하와 자폐 증세, 그리고 어린 시기의 발작이 주요 증상이다. 그러나 45% ...
참고 자료
도명애, 서석진, 최성욱, 김성화, 박순길, 윤치연, 양경애, 조규영, 『특수아동의 이해』, 창지사(2016년), p. 99-120
정희연(2011) “지적장애 아동의 유전· 환경적 원인 조사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연구”,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 연구센터, p. 46
교육부, “장애학생 맞춤형 교육으로 특수교육에 국가책임을 다하다”
https://blog.naver.com/moeblog/222940294589 (2023.02.11.)
서울아산병원 의학유전학센터, “다운 증후군(Down's syndrome, trisomy 21 syndrome)",
“삼염색체성 질환”,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mg/K/bbsDetail.do?menuId=3799&contentId=247221(2023.02.11.)
서울아산병원 의학유전학센터,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s syndrome)", "성염색체 질환”,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mg/K/bbsDetail.do?pageIndex=1&menuId=3800&contentId=247337&searchCondition=&searchKeyword=(2023.02.11.)
서울아산병원 의학유전학센터, “유약 X 증후군, 취약 X 증후군(Fragile X syndrome)", "염색체 결실 질환”,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mg/K/bbsDetail.do?pageIndex=1&menuId=3
801&contentId=247292&searchCondition=&searchKeyword=fragile+x(2023.02.11.)
백은희, 지적장애 이해와 교육, 교육과학사, 2020.
전병운 외, 특수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6.
황운하 기자, 발달장애, 증상 알아야 편견도 줄어 든다, 중앙일보, 2010.4.19.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https://www.amc.seoul.kr/asa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