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 환자 교육 계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술 관련 간호
1.1. 총 갑상선 절제술
1.2. 복강경적 근종절제술
2. 근종 (Myoma)의 이해
2.1. 정의 및 적응증
2.2. 복강경 수술의 장점
3. 갑상선 질환 및 수술
3.1. 갑상선암의 분류
3.2. 갑상선 절제술의 종류
4. 수술 전후 간호활동
4.1. 수술 전 대상자 준비
4.2. 수술 중 간호활동
4.3. 마취제 및 투약
4.4. 배액관 및 검체 관리
5. 합병증 예방 및 관리
5.1. 통증 관리
5.2. 가스 팽만 관리
5.3. 일상생활 복귀 증진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술 관련 간호
1.1. 총 갑상선 절제술
갑상선 전 절제술은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를 위해 시행되는 수술로, 갑상선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는 술식이다. 갑상선 전 절제술은 갑상선암의 치료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며, 수술 후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하게 된다.
갑상선 전 절제술의 적응증은 갑상선암, 다발성 갑상선 결절,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암 및 갑상선 결절의 병변이 양측 갑상선에 걸쳐 있는 경우 등이다. 갑상선암의 경우 수술 전 병변의 범위와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평가하여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게 된다.
수술 방법은 경부 절개를 통해 갑상선 양측 엽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다. 먼저 경부 절개를 통해 갑상선 전체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갑상선 동맥과 정맥을 결찰하여 갑상선 조직을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반회 후두신경과 부갑상선 기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후에는 배액관을 삽입하여 수술 부위로부터의 출혈이나 삼출액을 제거하게 된다.
갑상선 전 절제술 후에는 갑상선 호르몬 대체요법이 필수적이다. 수술 후 발생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치료하기 위해 갑상선 호르몬제를 평생 복용해야 한다. 또한 수술 후 합병증으로 저칼슘혈증, 성대마비, 호흡곤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다.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 교육을 통해 수술의 목적과 과정, 수술 후 관리 등에 대해 설명하고, 수술 중에는 환자의 활력징후와 출혈 여부, 신경 손상 등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수술 후에는 호흡곤란, 저칼슘혈증, 성대마비 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갑상선 전 절제술은 갑상선 암 환자의 치료를 위한 대표적인 수술 방법이다. 이 수술은 갑상선 조직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암 조직의 근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대부분의 갑상선암은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완치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갑상선 전 절제술의 적응증은 갑상선암, 다발성 갑상선 결절, 갑상선 기능항진증, 그리고 양측 갑상선에 걸쳐 있는 갑상선암 및 결절 등이 있다. 갑상선암의 경우 수술 전 정확한 병변 범위와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평가하여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게 된다.
수술 방법은 경부 절개를 통해 갑상선 양측 엽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경부 피부 절개를 통해 갑상선 전체가 노출되도록 한 뒤, 갑상선 동맥과 정맥을 결찰하여 갑상선 조직을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반회 후두신경과 부갑상선 기능을 보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술 후에는 출혈이나 삼출액 배출을 위해 배액관이 삽입된다.
갑상선 전 절제술 후에는 필연적으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 제제의 평생 복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저칼슘혈증, 성대마비, 호흡곤란 등의 수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 교육을 통해 수술의 목적과 과정, 수술 후 관리 등을 설명하고, 수술 중에는 환자의 활력징후와 출혈, 신경 손상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수술 후에는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간호사의 주요 역할이다.
1.2. 복강경적 근종절제술
복강경적 근종절제술이란 자궁근종을 복강경을 통해 최소 침습적으로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는 개복 수술과 달리 작은 절개창을 통해 수술이 가능하므로 회복기간이 빠르고 외모상 장점이 있다.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종양으로, 여성의 약 20~40%가 가지고 있다. 대부분 증상이 없어 방치되지만,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근종의 크기가 크거나 개수가 많은 경우, 환자의 비만도가 높거나 이전 수술로 인한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복강경 수술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복 수술이 더 적합할 수 있다.
복강경적 근종절제술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복 수술에 비해 절개창이 작아 수술 후 통증과 회복기간이 단축된다. 둘째, 흉터가 최소화되어 미용적 효과가 크다. 셋째, 수술 중 출혈이 적고 장 마비 등의 합병증 발생률이 낮다. 넷째, 입원기간이 짧고 빠른 사회 복귀가 가능하다.
복강경적 근종절제술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신마취 하에 쇄석위 자세로 수술을 시작한다. 배꼽 부위에 작은 절개창을 내어 복강경을 삽입하고 CO2 가스를 주입하여 복강 내 시야를 확보한다. 이후 복부 다른 부위에 3-4개의 작은 구멍을 내어 수술 기구들을 삽입한다. 근종을 확인하고 전기수술기나 초음파 가위 등을 이용해 근종을 절제한 뒤 수술 검체를 회수 백에 담아 꺼내낸다. 출혈 확인 및 지혈, 배액관 삽입 등의 과정을 거친 뒤 절개창을 봉합하여 수술을 마무리한다.
복강경적 근종절제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빠른 회복이 가능하고 미용적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하지만 술기가 어렵고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있어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근종의 크기와 개수,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술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2. 근종 (Myoma)의 이해
2.1. 정의 및 적응증
자궁근종(uterine myoma)은 평활근세포에서 발생되어 근종(myoma) 또는 평활근종 (leiomyoma)으로 부른다.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35세 이상의 여성...
참고 자료
하영수 외(2016) 여성모성간호학1,2 신광출판사
2017 김영희교수님 여성건강간호학 workbook
T Heather Herd man 외(2016)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2015-2017 정담미디어
대한산부인과학회(2007) 부인과학
서울아산병원, <갑상선절제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
do?managementId=395
김한나 외, 「갑상선암 수술 환자들이 원하는 교육은?」, 2013.11
조경숙 외,「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6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암 수술 후 상처 및 흉터 관리>
https://www.youtube.com/watch?v=3Tv5LcKZL8Y
강북삼성병원, <[유방·갑상선암센터] 갑상선 수술 후 목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c2dsOieT8I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20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검사/시술/수술정보, 자궁근종절제술(Hysteromyomec
-tomy)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76
차의과대학교-차 여성의학연구소(강남), 복강경·자궁경클리닉
https://chaimc.m.chamc.co.kr:447/clinic/celoscope/celo1.cha
고신대학교복음병원, 건강질병정보, 자궁 근종과 복강경수술
https://www.kosinmed.or.kr/05service/service03.htm?mode=faq_all_detail&i_fno=132
조경숙 외,「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3445#home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as-and-gas-pains/diagnosis-treatment/drc-20372714
https://www.healthdirect.gov.au/abdominal-pain
https://www.hopkinsmedicine.org/health/treatment-tests-and-therapies/lapa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