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식습관의 변화와 올바르지 않은 생활 습관들로 당뇨병과 고혈압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흔한 질병으로 자리 잡았다. 이 질병들은 관리를 잘하지 못하면 다양한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르게 만드는 질환들이다. 요양병원에서 실습을 진행하다 보니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고혈압과 당뇨는 기본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다양한 질환을 가진 환자들 중 고혈압과 당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중 신부전과 협심증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신부전을 갖고 있는 환자는 매주 3회씩 투석도 진행하고 있었고, 투석을 다녀온 후에는 굉장히 컨디션이 좋지 않은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협심증으로 인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들을 케이스로 선정하여 더욱 깊이 있는 공부를 진행하고 싶다고 생각하였다."
2. 만성 신부전
2.1. 정의
만성 신부전은 노폐물을 제거하는 신기능이 감소하여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는 단계의 질환을 의미한다. 즉, 신장이 제 기능을 유지하는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남아 있는 신장 기능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저하되어 결국은 신 대체 요법(투석이나 신이식술)이 필요한 말기 신 질환으로 진행한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이 90이상으로 정상이지만, 신 손상의 증거인 소변 검사의 이상 혹은 신장 요로계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동반된다. 2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이 60~89로 약간 감소된 상태이다.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은 없으며, 기저 질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3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이 30~59로 중등도로 감소된 상태이다.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치료해야 하며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4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이 15~29로 심하게 감소된 상태이다. 신장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투석 혹은 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에 대한 준비를 해야한다. 5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이 15미만으로, 투석 혹은 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의 시작을 고려해야 한다. 4~5단계에서는 칼륨과 인 섭취량도 제한해야 한다. 인이 많은 식품은 게란, 유제품, 육류 등이다.
2.2. 원인
만성 신부전의 원인은 지역과 나이에 따라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만성 신부전의 원인은 당뇨, 고혈압, 사구체 질환, 다낭신 등이다. 말기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의 원인 질환 분포를 보면, 당뇨가 49%, 고혈압 21%, 사구체 질환이 10% 정도이다."
그 외에도 혈관 질환, 유전성 신장 질환, 선천적 요로계 기형, 요로 폐쇄, 아밀로이드증, 요로 결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 신장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사구체 기능 장애 : 사구체 신염, 당뇨병성 신장 병변, 고혈압성 신경화증
② 전신 질환 : 공피증, 다발성 동맥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혈관염
③ 요로 폐쇄 : 전립선 종양, 방광 종양, 림프선종, 요관 폐쇄, 결석
④ 기타 : 만성 신우신염, 신증후군, 다낭포성 신장질환, 신허혈증, 다발성 골수종
이처럼 만성 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질환 등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혈관, 유전, 요로계 질환이 만성 신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2.3. 증상
만성 신부전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신체 조직 원인 증상/징후 평가 기준이다. 조혈계에는 적혈구 조혈 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적혈구 수명 단축, 출혈로 인한 실혈, 경한 혈소판 감소증, 혈소판의 활동력 감소로 인해 빈혈, 백혈구 증가증, 혈소판 기능 손상, 혈소판 감소증,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혈소판 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혈관계에는 체액 과다, Renin-angiotensin 기전으로 인한 체액 과다, 빈혈, 만성 고혈압, 연조직의 석회화, 심낭 내 요독성 독소, 심외막에 섬유소 형성으로 인해 고혈량증, 고혈압, 빈맥, 부정맥, 심부전, 심낭염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호흡기계에는 대사성 산증에 대한 보상 작용, 요독성 독소로 인한 요독성 폐, 수분 과다로 인한 Kussmaul 호흡, 요독성 악취, 점착성이 강한 객담, 기침시 통증, 체온상승, 폐부종, 폐렴, 늑막 마찰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장관계에는 혈소판 작용의 변화, 혈청 요독소,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식욕 감퇴, 오심, 구토, 위장관 출혈, 복부 팽만, 설사, 변비, 대변 양상, 복통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신경계에는 요독소, 전해질 불균형, 수분 이동에 의한 대뇌 부종으로 인한 기면, 혼돈, 경련, 혼미, 혼수, 수면 장애, 고정자세불능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골격계에는 칼슘 흡수 감소, 인 배설 감소로 인한 골이영양증, 신장성 구루병, 관절통, 성장 지연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피부계에는 빈혈, 색소 침착, 땀샘 크기의 감소, 지방샘 기능의 감소로 인한 피부 건조, 인 침착, 창백, 색소 침착, 가려움증, 점상 출혈, 표피 박리, 요독성 등의 증상이 관찰된다. 비뇨기계에는 네프론 손상으로 인한 소변량 감소, 소변 비중 고정, 단백뇨, 소변 내 원주체와 세포들, 소변 내 나트륨 감소 등이 나타난다. 생식기계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빈혈, 고혈압, 영양 결핍으로 인해 약물, 무월경, 사춘기 지연, 불임증, 성욕 감퇴, 발기부전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2.4. 진단
만성 신부전의 진단은 단백뇨 검사와 사구체 여과율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단백뇨 검사를 실시하고 양성인 경우 사구체 여과율을 파악한다. 사구체 여과율은 콩팥이 혈액으로부터 대사산물을 걸러내는 능력을 의미하며, 혈액 내 크레아티닌 수치와 연령, 성별, 체중이나 체표면적 등을 공식에 삽입하여 예측한다. 또한 혈액화학검사, CBC, 소변분석 등도 시행한다. KUB를 촬영하여 신장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말기신장기능상실 환자의 신장은 위축되어 있으며 초음파 혹은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폐색 여부를 평가한다. 급성신장기능상실과 만성신장기능상실 모두 컴퓨터 단층촬영 시 신장 독성이 있는 조영제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2.5. 치료
만성 신부전의 치료는 크게 투석과 신장 이식으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를 통해 신기능 저하를 지연시키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투석 치료를 받게 된다. 투석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으며, 말기 신부전 환자의 경우 신장이식술을 고려하게 된다.
혈액투석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