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생애 주기(life cycle, 生涯週期)는 사람의 생애를 개인이나 가족의 생활에서 발생하는 커다란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단계로 구분하는 과정이다. 또한 각각의 생애 주기 단계마다 수행하도록 기대되는 역할이 있는데, 이를 발달 과업이라고 한다. 개인 생애 주기는 개인의 발달 단계에 따라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년기, 중년기, 노년기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 청소년기는 만 12~19세에 해당하는 연령대로, 청소년기의 신체 발달을 제2 성장 급등기라고 하는데 이는 급속한 신체 변화, 성적 성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급속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면서 정서나 대인관계 및 이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변화를 갖게 된다. 청소년기에 성취해야 할 발달 과업으로는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고, 신체적·지적·사회적·도덕적으로 균형 있는 발달을 이루며,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렇듯 각 시기의 발달 과업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한 단계에서의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다음 단계에서 과업 수행이 원활해질 수 있다. 그래서 각 생애 주기에 따른 단계별 발달 과업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잘 적응해 나가는 것이 개인이나 가족 구성원으로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2. 청소년 문제
2.1. 청소년기의 특성
청소년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발달의 특징이 있다. 성장 비율이 이전 시기보다 2배 정도 빨라지고, 키와 몸무게가 급격하게 늘어나며, 골격과 근육, 소화기, 폐, 심장과 같은 내부 기관도 발달한다. 이렇게 커다란 신체 변화를 겪게 되면서 남녀의 성호르몬 분비로 인해 2차 성징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성적 성숙이 급격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외모에 관심이 높아진다""
둘째, 심리적 발달의 특성으로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등 자신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고 자기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자아정체성을 형성한다. 즉 부모에게서 독립하고 싶어하며,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정서적인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다""
셋째, 사회적 발달의 특성으로 청소년기는 인간관계의 범위가 확대되고 부모로부터의 독립을 원하는 과정에서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이 생기는 '제2의 반항기'이다. 아동도 성인도 아닌 주변인 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부모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기 쉬운 시기이다""
넷째, 자아중심적 사고의 특성이다. 청소년기에는 자신이 특별한 존재라고 믿고 있어서 자아중심적으로 생각한다. 마치 무대에서 자신이 주인공처럼 행동하고 다른 사람들을 모두 자신 관중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상대를 관찰하기보다는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가에 관심을 둔다""
다섯째, 정서발달의 특성이다. 감수성이 예민하고 기분에 따라 충동적으로 행동하며 감정의 기복이 심해서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기 쉬운 시기이다. 이러한 정서적 특징 때문에 청소년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라 한다. 청소년기의 극단적 정서변화는 성적으로 성숙하면서 성 의식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성적 수치심이 강해지거나 이성에 대한 호기심이 있으면서도 반대로 반항적 행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2.2. 청소년 문제
청소년기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는 시기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청소년기의 대표적인 문제로는 첫째, 정신장애 문제이다. 청소년기에는 감수성이 높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여 불안장애, 공포증, 우울증, 자살, 약물중독 등과 같은 정신장애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청소년의 자살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자살은 청소년기 사망 원인 1순위이며, 실제 청소년 자살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십대임신과 미혼모 문제이다. 성적 성숙이 급격히 이루어지면서 청소년들의 성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