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미생물학 실습 Ⅰ
1.1. 실험 목적
5% NaCl BHI와 BEAA (bile esculin azide agar) test를 통해 Genus Streptococcus와 Enterococcus faecalis를 구별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이는 이들 두 균종을 감별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Enterococcus faecalis는 개인위생이 불량한 환자나 장기간 입원환자에서 흔히 발견되며, 요로감염, 복강내 감염, 균혈증을 일으킨다. 또한 이 균은 Cephalosporin계 항생제에 자연내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간 다양한 항생제 치료를 받은 노인환자에서 잘 발견된다. 따라서 Enterococcus faecalis와 Streptococcus를 감별할 수 있는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번 실험에서는 6.5% NaCl BHI 배지와 BEAA (bile esculin azide agar) 배지를 이용하여 두 균종을 구별하고자 한다. 6.5% NaCl BHI 배지에서 Enterococcus faecalis는 생장할 수 있지만 Streptococcus는 생장하지 못하므로, 배지의 혼탁도로 이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BEAA 배지에서 Enterococcus faecalis는 에스쿨린을 분해하여 배지를 암갈색으로 변화시키지만, Streptococcus는 에스쿨린을 분해하지 못하여 배지 색상이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두 균종을 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실험을 통해 Enterococcus faecalis와 Streptococcus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실험에 사용된 균종
1.2.1.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alis는 Lancefield group D Streptococci에 해당되는 균종이다. Enterococcus 중에서 80~90%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균이다. 이 균은 catalase에 음성인 그람양성 알균이다. Enterococcus의 용혈성은 균종에 따라서 α, β 혹은 γ이며, Enterococcus faecalis의 약 1/3은 토끼, 말, 사람의 혈액으로 만든 혈액우무에서 β용혈을 보이지만, 면양혈액으로 만든 배지에서는 용혈성이 없다. 이 균의 집락은 Streptoccocus보다 크고 융기되어 보이며, 회백색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 균은 10~45도에서 증식하고, 대부분의 균종은 6.5%의 식염이 들은 배지에서 증식한다. Enterococcus faecalis는 복강내 감염, 요로감염 및 균혈증을 일으키는 일이 흔하다. 또한 C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