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례 검색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조례 검색 방법
3. 조사한 사회복지관련 조례 소개
3.1.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지원 조례
3.2. 송파구 노인복지지원 조례
4. 문제점 및 개선 방안
4.1. 지원 대상 및 지원 금액에 대한 명확성 부족
4.2. 지원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방법 미흡
5. 조례제정 절차
6. 사회복지관련 삼척시 조례현황
7. 삼척시 아동보호 및 복지증진에 관한 조례
7.1. 제정 목적 및 내용 정리
7.2. 개선방안
8. 삼척시 장애인 복지증진 조례
8.1. 제정 목적 및 내용 정리
8.2. 개선방안
9. 개선방안
9.1. 조례 정보 접근성 및 변경 내용 투명성 제고
9.2. 지원 기준 및 권리구제 절차의 구체화
10. 결론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는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사회복지에 대한 정책이나 조례는 시민들의 삶과 복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인이 거주하는 시·군·구 기초자치단체에서 제정되어 현재 시행 중인 사회복지관련 조례 2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조례 검색 방법
조례 검색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치법규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이 거주하는 시ㆍ군ㆍ구의 사회복지관련 조례를 검색하였다. 우선 해당 시ㆍ군ㆍ구 홈페이지의 자치법규배너를 클릭하고, "조례"를 선택하여 검색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시행 중인 여러 사회복지관련 조례 중에서 관심 있는 분야의 조례 2개를 선택할 수 있었다.
3. 조사한 사회복지관련 조례 소개
3.1.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지원 조례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지원 조례'는 아동복지지원의 효율적인 제공 및 아동복지지원체계의 확립 등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이 조례는 아동복지지원사업의 종류와 운영, 지원대상 및 기준, 지원금액 및 지원방법 등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아동복지지원사업의 종류로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 아동복지지원센터 운영, 지역아동센터 지원, 아동학대예방 상담 등이 포함된다. 지원대상으로는 가정 내 아동학대 위험이 높은 아동, 가정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 정신적, 신체적 장애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 등이 규정되어 있다. 지원금액은 지원사업의 종류와 지원대상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며, 지원방법은 지자체 직접운영, 위탁운영, 업무협약 등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지원 조례는 서울시 내 아동복지지원사업의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고, 아동복지지원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보다 효율적인 아동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3.2. 송파구 노인복지지원 조례
'송파구 노인복지지원 조례'는 노인들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한 노인복지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노인복지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제정된 조례이다. 이 조례는 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와 제공방법, 노인복지시설 운영 및 관리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로는 노인복지센터, 노인교실, 노인복지시설 등을 포함하고 있다. 노인복지센터는 노인들이 모여 휴식, 운동, 문화활동 등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노인교실은 노인들의 교육과 문화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노인복지시설은 노인들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일자리 제공,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시설을 규정하고 있다.
노인복지서비스의 제공방법으로는 직접운영, 위탁운영, 업무협약 등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노인복지시설의 운영 및 관리 방법, 노인복지서비스 제공 시 권리와 의무 등도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송파구 노인복지지원 조례는 노인들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한 노인복지서비스 제도를 마련하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노인복지서비스 제공을 강화하여 노인들의 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이 조례는 노인복지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자체와 시민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노인복지서비스 제도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규정들을 제공하여 사회복지분야의 발전과 지역사회의 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4. 문제점 및 개선 방안
4.1. 지원 대상 및 지원 금액에 대한 명확성 부족
조사한 두 조례 중에서 문제점을 발견하였는데, 지원 대상 및 지원 금액에 대한 세부 사항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지원 조례와 송파구 노인복지지원 조례 모두 지원 대상과 지원 금액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선정 방법을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이 지원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원 대상의 실제 상황을 고...
참고 자료
자치법규정보시스템 (https://www.law.go.kr/main.do)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사회복지법제와실천,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교육자료실, 2022
서향진, 여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장애인복지증진에 관한 연구, 2002
유경민,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보건ㆍ복지서비스 연계에 관한 연구, 2006
김미숙ㆍ양심영ㆍ김기현ㆍ하태정, 지역사회기반 아동보호체계의 서비스 연계 촉진요인 검증, 한국아동복지학 49호(2015), 85-115
민소영ㆍ김세원ㆍ정해린, 학대피해아동보호 전문서비스의 지역사회 협력 경험, 한국아동복지학 66호(2019), 1-37
국가법령정보센터, 현행자치법규, https://www.law.go.kr/, 삼척시자치법규(202209현재)
사회복지조례의 제정권 강화에 관한 연구/이경은/이화여자대학교/2019
https://www.sbc.go.kr/kr/news/bbsLaw.do?reform=view&key=bda584056eb9957d6c681e00079eff36fec289e2a0432a4221b95438dfef5ca4/긴급복지조례
https://www.sbc.go.kr/kr/main.do/성북구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