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홍보 전략
1.1. 서론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무역의 발달로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이제는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무력과 경제력이 국가의 힘이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정보력, 기술력, 관광산업 심지어는 서비스업까지도 한 나라를 대표하는 얼굴이 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국가 간 경쟁이 이루어지는 요즘, 각국의 전통문화 역시 국가 경쟁력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한 나라를 대표하는 음식은 국가 이미지 향상 및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문화 상품으로써 인정받고 있다. 한국의 경우 K-pop, 드라마 등이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며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와 비교하여 한식은 이미 오래전부터 잘 알려진 '김치', '비빔밥' 등 외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저자는 이 보고서를 통해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홍보 전략을 그동안 이루어졌던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 다른 나라가 자국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행한 노력,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홍보 전략 등의 순서로 알아보고자 한다.
1.2. 본론
1.2.1. 한식 세계화를 위한 노력
1.2.1.1. 한식진흥원
우리나라에서는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하여 한식진흥원(KFPI)을 운영하고 있다. 한식진흥원은 한식인프라 고도화, 한식당 경쟁력 강화, 한식 전문인력 양성, 한식의 국내외 확산, 한식 교육기관 지원, 한식산업 브랜드화, 한식진흥법 제정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며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식 진흥원의 목표는 한식의 역사성, 문화성에 중점을 두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여 지구촌 브랜드로 키워나가는 것에 있다. 멕시코와 음식문화 교류전 개최, 필리핀 및 베트남 등에서 한식 강좌 개최, 2020 코리아 고메 위크 개최, 2020 장문화 국제 포럼 개최 등 국가적 차원에서 한국의 식문화를 알리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1.2.1.2. 예능 프로그램
최근 들어 세계 각지에서 한식당을 운영하여 현지인들이 한식을 접할 수 있게 하는 미디어 프로그램들이 늘어나고 있다. 첫 번째는 'tvN의 예능 프로그램 '현지에서 먹힐까?'이다. '현지에서 먹힐까?'는 한국화 된 세계요리를 본래 그 음식의 출산국가를 찾아가 푸드트럭을 운영하여 현지인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까지는 태국, 중국, 미국의 세 국가에서 진행되었다. 두 번째는 'tvN의 예능 프로그램 '윤식당'이다. '윤식당'은 '현지에서 먹힐까?'와 달리 불고기 라이스, 불고기 누들, 파전 등 전통 한식 및 퓨전 한식을 파는 한식당을 현지에서 직접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은 TV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 쉽고 유튜브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전 세계 사람들에게도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방법을 채용했다고 볼 수 있다.
1.2.2. 타국의 음식 세계화를 위한 노력
1.2.2.1. 태국
태국은 정권의 교체와 상관없이 일관적으로 음식의 세계화를 추진해왔다. 2001년부터 태국음식세계화본부를 설립하여 2004년부터 태국 음식 세계화 프로젝트를 활성화 시켰다. 그 중 대표적인 음식이 팟타이인데 이는 태국이 '태국다움'을 내세우면서도 외국인들이 좋아할 만한 향과 신맛을 살려 해외진출 주력상품으로 내세웠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태국음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태국 문화 전파와 음식에 필요한 양념, 향신료, 원자재 수출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태국 정부는 태국음식 세계화 프로젝트를 통해 전통적인 태국 음식 문화를 보존하면서도 외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현지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펼쳐왔다고 볼 수 있다."
1.2.2.2. 일본
일본의 경우 1960년대부터 일본 음식 세계화를 추진하였는데, 특히 요리의 고급화 및 차별화에 집중했다. 병풍, 서예작품 등과 기모노, 마네키네코 등과 목재를 기본으로 한 인테리어, 목기와 도자기, 플레이팅 등 시각적 이미지가 큰 역할을 했다. 음식의 현지화 역시 시행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가 캘리포니아 롤이다. 외국인에게 낯선 날생선에 익숙함을 느낄 아보카도, 다양한 채소를 사용하고 김은 밥의 안쪽으로 넣어 현지인의 취향에 맞게 일본요리를 선보였으며 이러한 전략이 자국 음식 세계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1.2.3. 한식 세계화를 위한 홍보전략
1.2.3.1. 한식의 장단점 파악
한식의 장점은 식물성 식품과 동물성 식품이 균형을 잘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곡류, 채소류, 버섯, 해조류 등이 80%를 차지하고 육류, 지방, 설탕, 유제품 등은 20%정도만 차지하며 8:2의 균형 및 절제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깨소금, 고춧가루, 생강, 파, 마늘 등의 양념은 음식의 맛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 육류, 생선류는 삶거나 끓이고 찌는 방법으로 부드럽게 조리하고, 채소류는 영양소 보존을 위해 생으로 먹거나 물에 데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젓갈 등 발효식품으로 기호성과 저장성, 영양을 챙겼으며 음양오행의 음식으로 5대 영양소를 골고루 혼합하고 색채가 조화를 이루는 상차림 등이 있다. 한식의 단점은 현대로 오면서 식습관의 변화와 건강기능식품의 오남용, 구매 위주의 식생활로 변화 및 인스턴트 식품의 선호도 상승, 한식에 대한 종합적 연구 개발 및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