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관악구 보건소에서 작성한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15년~2018년)을 찾아 관악구의 인구통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관악구의 인구학적 특징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보건사업을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검토할 것이다. 또한 이를 지역사회간호학 수업시간에 배운 이론과 비교해봄으로써 관악구에서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적절하게 작성되었는지 알아볼 것이다."
2. 관악구 지역사회 현황 분석
2.1. 인구 현황
2.1.1. 생애주기별 인구 분포
관악구 생애주기별 인구 분포를 살펴보면, 성인 인구가 76.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노인 인구가 10.8%, 어린이 인구가 9.2%, 영유아 인구가 5.1%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관악구의 인구 구조는 성인 인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노인 인구와 어린이 인구의 비율도 높은 편이다. 이는 관악구가 고령화 사회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생애주기별 인구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보건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1.2. 20~30대 인구 비율
관악구는 전체 인구의 37.4%를 차지하는 20~30대 인구가 서울시 평균 32.3%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경제적 기반이 약한 고시생, 사회초년생 등의 인구층이 많으며, 이와 함께 관악구의 1인 가구 비율이 2010년 기준 38.8%로 서울시 평균인 24.4%보다 월등히 높아 서울시 최고 수준에 달한다. 이러한 관악구 1인 가구 중 73%는 2030세대로 지역에 착근하지 못하고 생활여건에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2030세대를 위한 특별한 보건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1.3. 노령자 인구 현황
관악구의 노령자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65세 이상 고령자 수는 54,717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0%에 해당한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은 서울시 평균보다는 낮지만, 노인인구 수는 서울시 5위로 증가추세이다. 관악구 노인인구의 20.7%가 독거노인으로 나타났다. 관악구 노인인구 현황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7.9%('09) → 9.47%('10) → 9.8%('11) → 9.5%('12) → 10.8%('13)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관악구는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독거노인 비율도 높은 편이다. 고령화와 더불어 독거노인 증가는 관악구의 주요한 인구구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 관련 보건의료서비스 및 돌봄 체계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2.1.4. 의료취약계층 현황
관악구의 의료취약계층 현황은 다음과 같다. 관악구의 기초생활수급자는 서울시에서 3번째로 높고, 차상위 포함 취약계층은 서울시 2위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등록 아동 수 1위로 매우 열악한 사회, 경제적 인구 구조를 가지고 있다. 2012년 관악구 주민의 주관적 건강 나쁨 비율은 14.2%로 이는 서울시 2위를 차지한다. 이는 높은 취약계층 인구비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도시 내 취약 지역별 의료취약계층 비율도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관악구의 취약계층 인구비율이 높아, 이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천적인 보건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보건 지표
2.2.1. 영유아 및 모성 관련 지표
영유아 및 모성 관련 지표에 따르면, 관악구의 합계출산율은 전국 평균 수준이지만 서울시 평균보다는 약간 낮은 편이다. 특히 최근 5년간 합계출산율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출산을 미루거나 기피하는 사회적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악구의 고령 산모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다소 높은 편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경제활동 참여도 상승에 따른 결혼 및 출산 시기의 지연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관악구의 미숙아 출생률은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데, 고령 산모 증가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관악구의 저출산 문제와 고령 산모 및 미숙아 출생 증가 등은 지역 보건정책 수립 시 주요 고려 대상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관악구 보건소는 임산부와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2.2.2. 성인 건강 지표
성인 건강 지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악구의 성인 건강지표는 전반적으로 서울시 평균보다 좋지 않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