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무용은 고대사회부터 문명을 거쳐 현재 21세기까지 지속되어온 예술 활동이다. 무용은 가장 형이상학적이고 초자연적인 종교적 제의 역할을 지니기도 하고, 남녀가 서로 사람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며 유혹하는 구애의 수단이 되기도 하며, 어떠한 존재를 표명하며 세계관을 드러내는 예술 그 자체이기도 하다. 무용은 제례의식에 쓰이는 원시무용으로부터 기원하였으며, 중세시대인 카톨릭 교회 성장 시기에 로마 교황청으로 부터 무용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크댄스, 연희 댄스 등을 통해 이어졌다. 이는 르네상스 시대로 이어져 궁정 안으로 들여져 궁정 춤이 되었고, 이것이 나아가 발레로 이어졌다. 이 이후에 발레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고, 20세기 초에는 미국, 독일 등을 중심으로 아예 새로운 춤인 현대무용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현대 무용은 현재까지 컨템포러리 댄스로 이어지고 있다. 다음 보고서에서는 무용의 역사에 있어서 가장 큰 획을 그었던 고전발레와 현대무용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2. 발레의 역사와 발전
2.1. 원시무용과 중세 발레
원시무용은 인류 문명의 시작과 함께 나타난 가장 원초적인 형태의 무용으로, 주로 종교적 제의나 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원시무용은 의식의 성격에 따라 주술적 기원의 무용, 경배와 기원의 무용, 그리고 개인 또는 집단의 자아표현을 위한 무용 등으로 구분된다. 이후 중세시대에는 교회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무용이 금지되기도 하였지만, 포크댄스와 연희 댄스 등을 통해 전승되어 왔다. 이러한 중세 무용은 종교적 성격이 강했고, 주로 축제와 의식을 위한 무용이 발달하였다. 이후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궁정에서 궁정춤이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점차 발레로 발전해나가게 된다.
2.2. 궁정 발레와 낭만 발레
궁정 발레와 낭만 발레는 발레의 발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궁정 발레는 15세기 이탈리아 궁정에서 시작되었는데, 귀족들이 주연이 되어 춤추는 형태였다. 궁정 발레는 귀족들의 화려한 의상과 우아한 춤사위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내용적으로도 궁정 정치나 신화적 이야기를 다루었다. 궁정 발레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발레 드 라 누이』(1581)가 있다. 이 작품은 이탈리아 궁정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발레 공연으로, 귀족들이 출연하여 춤추었다. 이처럼 궁정 발레는 귀족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이후 17세기 프랑스에서는 왕실 주도로 궁정 발레가 발전하게 되는데, 특히 루이 14세가 이를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루이 14세 자신도 직접 발레에 출연하면서 궁정 발레의 위상을 높였다. 또한 프랑스 궁정 무용가였던 피에르 보쉬는 발레의 기본적인 동작과 형식을 정립했다.
한편 18세기에는 궁정 발레에서 낭만 발레로 전환되었다. 낭만 발레는 이전의 궁정 발레와는 달리 서민들의 문화적 요소를 반영하기 시작했다. 낭만 발레의 대표작으로는 『라 실피드』(1832)가 있다. 이 작품은 새로운 형식의 여성 주인공 등장과 자연 속 요정들의 신비로운 춤으로 크게 주목받았다. 이처럼 낭만 발레는 이전 궁정 발레와 달리 일반 서민들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감성적 요소를 강조했다.
2.3. 러시아 고전 발레
러시아 고전 발레는 이전의 낭만 발레의 클래식 테크닉이나 여성의 아름다움이 초점으로 맞춘 것은 유지하되, 조화, 대칭, 질서 등의 형식적인 가치를 추구하며 러시아만의 스타일로 재탄생시킨 발레이다. 마리우스 쁘띠빠는 발레를 러시아로 들여오면서 이러한 러시아적 취향과 제국주의 스타일을 잘 해석해 결합시켰고, 그 결과 고전발레의 구조를 세울 수 있었다. 특히 이때, 토슈즈의 발달과 러시아적 스타일이 발레에 가미되면서 이전보다 훨씬 발달된 테크닉과 동작이 개발되었다. 또한, 서민의 문화였던 낭만 발레와 달리, 귀족들이 발레의 주 고객이 되면서 가시 귀족 이야기와 궁전 배경으로 복귀하였다.
3. 현대무용의 등장과 발전
3.1. 현대무용의 특징
현대무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현대무용은 20세기 초반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이전의 고전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