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삶이 힐링되는 동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명상의 이해와 실천
1.1. 명상의 개념과 역사
1.2. 명상의 과학적 근거
1.3. 주요 명상법
1.3.1. 마음챙김명상
1.3.2. 이미지 힐링
1.3.3. 호흡 명상
1.4. 명상 실천 경험
2. 숲 유치원과 생태관광
2.1. 생태관광의 개념과 특징
2.2. 현대사회와 생태관광의 등장배경
2.3. 창녕 우포늪의 특성
2.4. 숲 유치원 교육방안
2.5. 생태관광지로서의 우포늪 평가
2.6. 우포늪 생태관광의 발전방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명상의 이해와 실천
1.1. 명상의 개념과 역사
명상은 불교에서 주로 선(禪)으로 나타나는데, 선은 깊이 생각하며 집중하는 것 또는 명상과 묵상을 통해 마음을 닦는 것에 해당한다. 동양 전통 중 자신을 알고자 하는 수련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명상 수행이다. 명상은 수행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의식과 경험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고, 나아가 내적 각성 실재로서 자기 존재 근원에 가로놓인 더 기본적인 것을 발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명상은 눈을 감고 고요하게 생각하는 것, 마음을 닦는 것, 참된 자신을 찾는 것, 참된 삶의 길을 찾는 것, 의식집중을 통해 자기 초월과 자기 성숙을 이룩하는 정신적 과정 등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명상 활동은 아동의 행동과 사고를 반듯하게 성장시켜 아동 사고와 친사회적인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자기와 이웃,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몸의 이완과 의식을 집중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기의 내면적 모습과 외부적인 것에 관하여 자기가 반응하는 방식을 알도록 하는 명상은 자기조절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1.2. 명상의 과학적 근거
명상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나타나게 된 것은 미국의 국립보건원 산하의 대체의학 연구소에서 명상의 의학적인 연구를 위하여 공식적인 연구비를 지원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에 들어옴에 따라 명상의 과학적인 연구에 대중적인 관심을 보이는 한 지표로 2003년 타임지는 표지 기사로 명상의 과학이라는 내용을 다루었고 뉴스위크지는 2005년 마음을 챙겨야 건강하다는 표제로 그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다. 2014년 타임지는 마음 챙김 혁명으로 표지 기사를 설정했고 2015년에는 미국심리학회지 중 하나인 아메리칸 사이콜로지스트에서 특집으로 마음 챙김이 치료가 된 시대를 다루었다.
최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기록 장치가 개발되어서 명상, 이완, 일반적인 휴식 상태에서 나타나는 두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장치는 특정 순간 뇌의 다양한 부위로 혈액이 흐르는 모습을 정확하게 보여주어 매 순간 어떠한 특정 뇌 부분이 활동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집중 명상에서 이루어지는 이완반응은 고전적인 개념을 더 넓혀 본격적인 명상 단계에 이르게 되면 안정과 동요라는 모순적인 상태가 뇌 안에서 동시에 나타난다는 사실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기록 장치 연구로부터 설명할 수 있다.
신경과학자들이 자기공명영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직접 뇌를 관찰하였고 신경 가소성에 따라 뇌 구조가 변화하며 명상을 통해 뇌의 특정한 부분이 더 두껍고 튼튼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낙천적이며 유연한 사고를 지닌 사람은 좌측 전두엽이 활발하고 부정적이며 근심에 사로잡힌 사람은 우측 전두엽이 활발하게 작동하는데 8주 동안 명상을 가르친 뒤 좌측 전두엽 활성화 수준은 증가했고 우측 전두엽 활동화 수준이 감소했다. 이는 충족감, 행복감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몬트리올 대학 연구진에 의하면 명상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감정과 통증을 조절하는 외의 부분이 상당히 두껍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 부분이 두꺼우면 사람은 고통을 덜 느낀다.
명상은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는데 명상은 이완반응을 일으켜서 호흡수, 맥박, 혈압, 산소 소모량이 감소함에 따라 콜레스테롤 수치, 혈압 등을 낮추며 면역계를 강화한다. 또한 우울증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8주 명상 수업을 통해 대부분 환자의 우울증과 불안증이 감소했고 4년 후 후속 연구에서도 명상 효과가 지속되었다. 명상은 임신 가능성도 높여주는데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지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자기 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중독에 빠지기 쉽지만 명상을 시행한 사람은 감정과 행동 통제에 관한 뇌 부분 혈류량이 증가해 중독에 빠지는 것을 막고 이미 빠진 사람도 중독을 제거할 유용한 방법이 된다.
명상은 수면장애도 줄여준다. 매사추세츠 의과대학의 연구진에 의하면 명상은 불면증 환자 중 절반 이상이 잠드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줄여주었고 수면제를 복용하는 불면증 환자 대부분이 복용량의 감소나 약을 중단하게 되었다. 또한 스탠퍼드 메디컬 센터 연구에 의하면 6주 동안 명상한 피험자는 잠드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절반으...
참고 자료
장현갑, 『명상에 답이 있다』, 담앤북스, 2013
정유라, 2010,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p.8~9
과학으로 본 명상의 효과, 장현갑, 주간조선, 2017.12.29.
뇌는 상상하는 대로 움직여... 긍정 이미지가 좋은 결과 낸다, 장현갑, 마음건강길, 2019.02.11.
“호흡하며 숫자 세보세요”…잡념 사라지고 마음 편안, 권수련, 농민신문, 2020.05.13.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 김은숙(인천대학교)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39148427&dir_id=1&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C%88%B2%EC%9C%A0%EC%B9%98%EC%9B%90&access=3&docLang=1&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2&ndsCategoryId=10915
숲유치원 /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http://cafe.naver.com/m2hakjum/13113)
도시에서 자연 아이로 키우기3 (인천대학교 부설 숲유치원)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097&contents_id=30256)
숲유치원 전학후, 유치원에 대한 생각
(http://raonhilzo.blog.me/220206384065)
고승익, 김 봉 공저, 현대관광학 형설출판사, 2009
강미희, 생태관광객의 여행 동기 및 태도, 한국학술정보, 2006
김홍운, 관광자원론, 형설출판사, 2004.
김훈구, 한국의 문화관광을 위한 관광자원개발에 관한 연구\", 기전여대, 2005.
박병상, 참여로 여는 생태공동체, 아르케, 2003
생태관광 활성화방안 연구, 최영국, 국토연구원, 2005
서태양, 문화관광론, 대왕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