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은 신생아 질환 중 흔한 질병이며 큰 합병증 없이 회복이 잘되는 질병이다. 만삭아에서 1000명당 약 5.7명 가량에서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회복이 빠르고 잘 되지만 미숙아보다 만삭아에게서 주로 생긴다는 점, 그리고 치료경과는 좋지만 발생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대부분 1주 이내에 호전되는 TTN은 간호실습생으로서 회복하는 과정들과 간호들도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호활동에 참여 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TTN에 대해 자세히 공부하며 조사함으로써 보다 더 수준 높은 간호활동을 하기 위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2.1. 정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은 일시적인 빈호흡을 주 증상으로 하는 양성질환이다. 주로 만삭아, 만삭아에 가까운 미숙아, 제왕절개로 출산한 신생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신생아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한 질병이다. 최근에는 미숙아에서도 나타난다. 이 질병은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정상적인 흡수가 지연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2.2. 병태생리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태아의 폐는 출생 전까지 폐액으로 가득 차있다. 그러나 출생 후 첫 울음과 함께 폐가 팽창되면서 공기가 들어가고 폐의 폐포가 늘어나 호흡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폐액의 일부는 구토나 흡인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1/3 정도는 림프절을 통해 흡수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이러한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폐 속에 조금의 폐액이 남게 되는데, 이로 인해 폐의 탄성이 감소하고 기도 저항이 증가하면서 호흡곤란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환기가 잘 되지 않는 폐포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빈호흡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 TTN의 병태생리이다.
이러한 폐액 흡수의 지연은 제왕절개 출산, 경산부의 아기, 산모의 약물 과다 투여, 둔위 분만 등의 위험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 이 경우 중심 정맥압이 높아지면서 흉선으로부터의 폐액 흡수를 지연시키게 된다. 그 결과 폐 주변의 림프관과 기관지 혈관 공간에 폐액이 차게 되어 폐의 탄성이 저하되고 기도 저항이 증가하는 것이다."
2.3. 증상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의 전형적인 증상은 출생 시부터 나타나는 빠른 호흡, 흉부 함몰, 신음 호흡 등의 호흡곤란 증상이다. 이 질환은 시간 경과에 따른 증상의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