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글 없는 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그림책의 개념과 특성
1.2.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1.3. 우수한 환상그림책 선정의 필요성
2. 본론
2.1. 우수한 환상그림책 선정 및 문학적 요소 분석
2.1.1. 글 있는 환상그림책 분석: 「구름빵」
2.1.2. 글 없는 환상그림책 분석: 「눈사람 아저씨」
2.2. 2019 개정 누리과정 내용체계에 따른 그림책 분석
2.2.1. 나를 알고 존중하기: 「강아지똥」
2.2.2. 사회에 관심 가지기: 「팥죽할멈과 호랑이」
2.2.3. 아름다움 찾아보기: 「무지개물고기」
2.3. 반응중심 문학교육 방법에 따른 활동계획
2.3.1. 「무지개물고기」- 언어반응활동
2.3.2. 반응중심 문학 활동 계획안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그림책 교육의 시사점
3.3. 후속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그림책의 개념과 특성
그림책은 그림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책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의미를 전달한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어우러져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낸 것으로, 다른 문학작품과 구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책은 유아의 학습과 이해를 도와주며 시각적 표현 매체, 문화상품, 독서 치료의 매체로서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그림책은 아이들이 처음 접하게 되는 책이므로 그림의 역할이 매우 크고 중요하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동등한 비중으로 이야기를 전달하거나, 때로는 그림만으로도 이야기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림책은 유아들에게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무한한 상상력을 풍부하게 해준다.
1.2.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그림책은 유아에게 있어 매우 유용한 교육 도구이다. 그림책은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므로 언어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유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그림책은 인간의 삶과 자연에 관한 지식을 포함하고 있어 유아가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유아는 그림책을 통해 독서의 즐거움을 느끼며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취향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환상그림책은 판타지적 요소와 예술적 요소가 풍부하여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력 발달에 효과적이다. 환상그림책을 접한 유아는 동화 속 주인공처럼 모험을 즐기고 꿈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된다. 이는 유아의 미래 비전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발달단계와 요구에 적합한 우수한 환상그림책을 선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우수한 환상그림책 선정의 필요성
우수한 환상그림책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그림책은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환상그림책은 판타지적 요소와 예술적 요소가 풍부하여 유아들이 그 속에서 자유롭게 상상하고 발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둘째, 환상그림책은 유아의 호기심과 꿈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상그림책 속 주인공들은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지고 거대한 모험을 즐기며 자신의 꿈을 이루어간다. 유아들은 이러한 모습에서 자신도 그렇게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며, 이는 유아의 미래 비전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환상그림책은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우수한 환상그림책은 가족 간의 사랑, 친구간의 우정, 나와 타인에 대한 배려 등의 주제를 다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인간 관계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을 기르며, 바람직한 인성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상상력, 창의성, 꿈, 사회정서발달 등을 고려할 때 우수한 환상그림책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본론
2.1. 우수한 환상그림책 선정 및 문학적 요소 분석
2.1.1. 글 있는 환상그림책 분석: 「구름빵」
「구름빵」은 백희나 작가가 쓴 어린이 환상그림책이다. 이 책은 어린이다운 상상력을 발휘하여 가족간의 사랑을 담은 작품으로, 유아들에게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여 그림책에 빠져들게 하고 창의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이 그림책의 주제는 누구나 어릴 적 한번쯤은 하늘을 날고 싶다는 상상과 함께 구름을 만져보고 싶은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아이들에게 구름빵이라는 재미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어른 아이들 할 것없이 모두에게 동심의 세계로 빠져들게 해준다. 재미와 즐거움을 주면서도 마음을 따뜻하게 전해주는 좋은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등장인물은 엄마, 아빠, 홍비와 동생 등 4인 가족이다. 작품 속 두 형제는 풍부한 상상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어린아이다운 자유와 창의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가족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엄마는 아이들에게 구름빵을 만들어주는 인물로 아이들의 상상을 실재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배경은 비 오는 날 아침이며, 동생을 깨워 밖으로 나갔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는 작은 구름을 발견하고서 엄마에게 가져다 주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구름빵의 이야기는 시간순으로 전개되는데, 비 오는 날 아이들은 밖에 나가놀지 못하기 때문에 구름을 주워온다. 아침에 밖으로 나간 아이들은 나뭇가지에 걸려있는 작은 구름을 붙잡게 되고 엄마는 이것을 가지고 구름빵으로 만들어준다. 아빠는 이미 집에서 나간 상태라 빵을 먹던 아이들은 아빠에게 구름빵을 가져다 드리기로 한다.
플롯을 살펴보면, 어느날 아침 비가 내리자 아이들이 구름을 따와 엄마께 보여주고, 엄마는 오븐에 구름빵을 구워준다. 아이들은 구름빵을 먹고 두둥실 날아오르게 되고, 허둥지둥 굶고 출근하신 아빠를 찾아가 구름빵을 건넨다. 아빠도 빵을 드시자 훨훨 날아서 회사에 지각하지 않고 도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이 우리 집 지붕 위에서 빵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이처럼 「구름빵」은 아이들의 순수한 동심의 세계로 이끌어 유아들에게 상상력을 발휘하고 호기심을 유발하게 해준다. 또한 가족간 사랑과 형제간 우애를 느낄 수 있는 교훈을 전해준다는 점에서 훌륭한 환상그림책이라고 할 수 있다.
2.1.2. 글 없는 환상그림책 분석: 「눈사람 아저씨」
「눈사원 아저씨」는 글이 없는 환상그림책으로 레이먼드 브릭스가 쓴 작품이다. 이 동화는 눈사원 아저씨와 소년의 아름다운 우정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글자 없는 ...
참고 자료
김자연, 아동문학 이해와 창작의 실제, 청동거울, 2003
레이먼드 브릭스, 「눈사람아저씨」, 마루벌, 1994
백희나, 「구름빵」, 한솔수복, 2003
권정생, 「강지똥」, 길벗어린이, 1996
마르쿠스 피스터, 무지개 물고기, 시공주니어, 2010
아동문학의 공간에 나타난 환상성과 상상력 교육, 홍인영, 국어교육연구, 2020, 45호, 189p~214p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648395777
디지털 시대, 그림책과 아동문학에 나타난 구술 서사의 귀환,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25권 25호, 325p~361p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602964542
영재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아동문학 활용 방향 탐색, 강지은, 심경석, 순천향대학교, 2018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42068047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이조은, 조희숙, 부산대학교, 2015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95093981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이연규, 대전과학기술대학교, 2016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95080236
반응 중심의 문학교육, 김경복, 경상남도교육청, 2007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13589585
반응 중심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류덕체, 대구교육대학교, 2005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0843407
반응 중심 문학교육 방법과 협동학습을 통합한 시 교수·학습 방안 연구, 고윤진, 경북대학교, 2015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17668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