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남신의주유동박시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석의 시 세계
1.1. 향수와 민족의식이 담긴 시
1.1.1. 여우난골족
1.1.2. 흰 바람벽이 있어
1.2. 자아성찰과 삶에 대한 인식
1.2.1.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1.2.2.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2. 백석 시의 특징과 상징성
2.1. 방언과 민요적 어법
2.2. 주제 표현을 위한 상징적 이미지
3. 백석의 문학관과 연구동향
3.1. 방랑의 인생관과 문학적 내면
3.2. 백석 시 연구의 주요 흐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석의 시 세계
1.1. 향수와 민족의식이 담긴 시
1.1.1. 여우난골족
'여우난골족'은 백석의 초기 시작품으로, 명절날 여우난골 부근에 사는 일가 친척들이 큰집에 모여 하루를 보내는 모습을 어린 화자의 시각으로 서사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이 시는 유년 화자가 "엄매아배따라" 아침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큰집에서 경험한 일들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처음과 중간, 끝이 있는 서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의 구조는 단형의 여러 문장이 아닌 장형의 네 개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어 호흡이 매우 길다. 또한 어린 아이의 어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반복과 열거를 주요 표현 수단으로 삼고 있어 숨 가쁘고 어지럽게 이어지는 명절날이 풍성하게 상상될 뿐만 아니라 화자의 순진무구한 정서가 자연스레 나타난다.
작품 전반에 사용된 평안도 방언은 작품 이해에 어려움을 줄 수 있지만 토속적이고 향토적인 분위기를 부여해 고향과 공동체적 삶에 대한 그리움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명절날 대가족이 모여있는 떠들썩하고 풍성한 느낌에 더욱 실감을 부여하는 것은 각종 먹거리와 놀이의 상세한 나열이다. 백석의 시에서 맛과 음식의 묘사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단순히 대상을 사실적으로 그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화자의 원초적이고 건강한 삶의 실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어린아이의 시각으로 쓰인 이 시를 통해 백석은 어린 시절 떠들썩하고 풍요로웠던 가족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화자가 말하는 요소 하나하나가 마치 독자의 추억처럼 느껴지게 함으로써, 백석이 시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 즉 사라져가는 전통과 공동체의 정서를 되돌려주고자 한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흰 바람벽이 있어
'흰 바람벽이 있어'에서 백석은 고향을 떠나 객지의 좁은 방에서 외로움에 젖어있는 화자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을 마주하고 있는 화자에게 이 "흰 바람벽"은 영화 스크린과 같은 역할을 하며, 그리운 사람들의 모습을 비춰내는 장소가 된다. 백석은 이를 통해 화자의 내적 욕망과 그리움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화자는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 하고 /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라며, 자...
참고 자료
백석,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진은영, 「나는」
오세영. 장부일 저, 시창작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06.
이성관(1995). 시 창작력 신장을 위한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심리교육협회 - www.kpei.co.kr
백석 시의 동심지향성 (이혜원, 『생명의 거미줄』, 소명출판, 2007)
백석의 시 연구(임형섭, 건국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3)
백석 시의 반복 기법 연구(이경수, 『상허학보』 7집, 2001.8)
백석 시의 숭고와 그 의미, (박민규, 『한국시학연구』 23호, 2008.12)
백석 시어의 힘, (최정례, 서정시학,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