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수설계전략 및 적용
1.1. 교수설계전략 소개
과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이론을 적용하였다. ADDIE 모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 의 5단계로 구성된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습자 요구 분석, 시스템 환경 및 기술 분석, 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해 정규 학년기를 지난 성년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시간이 부족한 가정주부 및 직장인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단계별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설계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전략 수립, 내용 설계 및 구성, 프로토타입 개발, 스토리보드 작성 등을 진행하였다. 교수설계 전략으로 Keller의 ARCS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을 고려한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또한 과정별 교수설계 전략을 수립하고 정기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교안 개발, 프로토타입 스토리보드 개발 및 시연, 다양한 평가방법 개발 등을 실시하였다. 특히 SME(Subject Matter Expert)와의 피드백을 통해 교안 및 스토리보드를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CDMS(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를 통한 콘텐츠 질 관리 절차를 마련하였다. 1단계 테스트 서버 1차 검수, 2단계 테스트 서버 2차 검수, 3단계 LMS 검수 등의 단계별 콘텐츠 검수 과정을 통해 품질을 관리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과정 설명회 실시, 질관리 운영위원회 운영, 학습자 지식·기능·태도 등의 변화 정도 및 전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정 개발 완료 후 내부 임직원을 대상으로 과정 설명회를 개최하여 피드백을 수렴하였고, 학사 담당자 및 내부 관리자로 구성된 질관리 운영위원회를 통해 SME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ADDIE 모형의 5단계에 따라 단계별 주요 활동과 산출물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교수설계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였다.
1.2. 교수설계전략 적용
실무에서 개발한 산출물을 ADDIE 모형이론 단계별로 적용하였다."이다. 개발 단계별 주요활동과 적용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 단계에서는 콘텐츠 개발 계획 및 전략 수립, 학습자 유형 분석, 타 기관 콘텐츠 분석, 신규개발과목 콘텐츠 개선 사항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 환경분석, 과제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효과적인 교수설계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
설계 단계에서는 과정별 교수설계 전략 수립, 평가도구 개발, 교수전략 계열화, SME 오리엔테이션 등을 진행하였다. 과정별 특성에 따른 교수설계 전략을 Keller의 ARCS 모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수립하였고, 정기평가 도구 마련 등 성취도 평가에 대한 준비도 함께 하였다. 또한 SME와의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개발방향, 학습내용 등에 대한 공유와 역할 수립도 이루어졌다.
개발 단계에서는 교안 개발, 스토리보드 작성, 다양한 평가방법 개발 등이 이루어졌...